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역상 HPLC-자외선 및 형광검출기를 이용한 국내 수산자원의 비타민 B₁, B₂ 및 B₃ 분석 및 검증

        정보미(Bomi Jeong),박수진(Su-Jin Park),박예은(Ye-Eun Park),곽유정(Yu-Jeong Gwak),김정(Jeong Kim),윤나영(Na-Young Yoon),김연계(Yeon-Kye Kim),천지연(Jiyeon Ch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12

        본 연구는 국내 수산자원에 대하여 HPLC-PDA와 HPLCFLD 분석법을 이용한 수용성 비타민 B₁, B₂ 및 B₃ 활성을 나타내는 thiamin, FAD, FMN, riboflavin, nicotinic acid 및 nicotinamide 6종 분석에 대한 분석법 검증과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하고, 검증된 분석법을 적용하여 수산자원 20종에 대한 신뢰도가 확보된 비타민 B₁, B₂ 및 B₃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수산자원의 수용성 비타민 분석법 검증은 분석수행지표(특이성, 직선성, 민감성, 정확성 및 정밀성)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비타민 B₁과 B₃의 표준용액과 수산자원 시료를 분석 비교한 결과 PDA spectrum과 HPLC retention time이 모두 일치하여 분석의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비타민 B₁, B₂ 및 B₃ 모든 성분에서 넓은 범위에서의 분석 직선성(R²=0.9989~1.0000)이 확인되었다. 비타민 B₁(thiamin)의 LOQ는 0.0010 ㎎/100 g을 보였으며, 비타민 B₂(FAD, FMN, riboflavin)의 LOQ는 각각 0.00014, 0.00006, 0.00001 ㎎/100 g을 나타내었다. 또한, 비타민 B₃(nicotinic acid와 nicotinamide)의 LOQ는 각각 0.0008과 0.0021 ㎎/100 g을 나타내어 수산자원의 낮은 수준으로 존재하는 수용성 비타민을 정량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준참고물질 SRM을 이용한 회수율 측정 결과 98.5~105.8%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비타민 B₁의 반복성과 재현성은 각각 5.4%와 8.0%, 비타민 B₂는 각각 3.5%와 4.2%, 비타민 B₃는 각각 3.1%와 5.9%를 나타내어 분석법의 정확성과 정밀성의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수산자원 20종의 비타민 B₁, B₂ 및 B₃ 함량은 각각 0.00~0.84, 0.05~0.47 및 0.00~11.96 ㎎/100 g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수산자원 6군으로부터의 thiamin, nicotinic acid, nicotinamide, FAD, FMN 및 riboflavin 6종 분석 회수율은 79.9~120.1%의 범위를 나타냈는데, 이는 AOA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수용범위 수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부 분석품질 관리도표와 외부 분석 숙련도 시험 결과를 통해 우수한 숙련도와 분석품질이 분석 전 기간 관리하에 진행되었음이 확인되어 분석 데이터의 신뢰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한 수산자원 20종의 비타민 B₁, B₂ 및 B₃ 분석 데이터는 국내 수산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HPLC/PDA를 이용한 비타민 B₁과 B₃ 동시분석법과 HPLC/FLD를 이용한 비타민 B₂ 분석법은 향후 국내 다양한 수산자원 분석에 확대 적용하여 국가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alidate simultaneous analyses using reverse phas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diode-array detection for vitamin B₁ (thiamin) and B₃ (nicotinic acid and nicotinamide) and HPLC-fluorescence detection for vitamin B₂ (flavin adenine dinucleotide (FAD), riboflavin 5′-monophosphate (FMN), and riboflavin) in seafood. The validated methods were applied for the analysis of B1~3 vitamers in 20 kinds of seafood (4 fish, 3 crustaceans, 3 sea algae, 3 cephalopods, 4 shellfish, and 3 others). The quantification limits (㎎/100 g) of the vitamin analyses were 0.0010 ㎎/100 g for thiamin, 0.0007∼0.0021 ㎎/100 g for FAD, FMN, and riboflavin, and 0.00001∼0.00014 ㎎/100 g for nicotinic acid and nicotinamide, with the lowest for riboflavin. Recovery of thiamin, riboflavin, nicotinic acid, and nicotinamide from standard reference materials 1849a and 3290 was 98.5∼105.8%, whereas it showed a wide range of 79.9∼120.1% for B1∼3 vitamers from seafood. Specifically, FMN was found to give the lowest (from mussel) and the highest (from Pacific herring) recoveries, which were acceptable as per official guidelines. Analyses of B1~3 vitamers showed coefficient variations of 3.1~5.4% for repeatability and 4.2∼8.0% for reproducibility, showing good precision. Total vitamin B₁, B₂, and B₃ content (㎎/100 g) of 20 types of seafood were 0.00∼0.84, 0.05∼0.47, and 0.00∼11.96, respectively. Nicotinic acid was detected in most types of seafood, whereas nicotinamide was found in only four. B₂ vitamers were observed in all seafood. The z-scores of proficiency tests for vitamin B1∼3 analyses were within ±2, indicating excellent proficiency. This study provides reliable analysis data on B₁, B₂, and B₃ vitamers of seafood, which would be used to update the national nutrient food composition table.

      • SCOPUSKCI등재SCIE

        Cancer risk based on alcohol consumption levels: a comprehensiv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eunghee Jun(Seunghee Jun),Hyunjin Park(Hyunjin Park),Ui-Jeong Kim(Ui-Jeong Kim),Eun Jeong Choi(Eun Jeong Choi),Hye Ah Lee(Hye Ah Lee),Bomi Park(Bomi Park),Soon Young Lee(Soon Young Lee),Sun Ha Jee(Su 한국역학회 2023 Epidemiology and Health Vol.45 No.-

        OBJECTIVES: Alcohol consumption is a well-established risk factor for cancer. Despite extensive research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cancer risk, the effect of light alcohol consumption on cancer risk remains a topic of debate. To contribute to this discourse,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Our systematic review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different levels of alcohol consumption and the risk of several cancer types. We focused on analyzing prospective associations using data from 139 cohort studies. Among them, 106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after a quantitative synthesis. RESULTS: Our analysis did not fin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light alcohol consumption and all-cause cancer risk (relative risk, 1.02; 95% confidence interval, 0.99 to 1.04), but we observed a dose-response relationship. Light alcohol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risks of esophageal, colorectal, and breast cancers. Light to moderate drinking was associated with elevated risks of esophageal, colorectal, laryngeal, and breast cancers. Heavy drinking was also found to contribute to the risk of stomach, liver, pancreas, and prostate cancers, thereby increasing the risk of almost all types of cancer. Additionally, females generally had lower cancer risks compared to males. CONCLUSIONS: Our findings highlight that cancer risks extend beyond heavy alcohol consumption to include light alcohol consumption as we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no safe level of alcohol consumption associated with cancer risk. Our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public health interventions addressing alcohol consumption to mitigate cancer risks.

      • Poster Session : PS 1583 ; Lung Cancer : Mimicking Metastatic Lung Tumor: A Case of Primary Squamous Cell Lung Carcinoma with a Literature Review

        ( Bomi Park ),( Kwang In Park ),( Sung Min Kim ),( Jin Whan Kim ),( Chung Sik Lee ),( Jae Wook Jeong ),( Dong Il Park ),( Jae Young Moon ),( Jeong Eun Lee ),( Sung Soo Jeong ),( Ju Ock Kim ),( Sun You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4 No.1

        A 84-year-old man presented with chronic cough lasted for a year. Posterior-anterior upright methods of chest roentgenography showed multiple metastatic lung nodules in both lung fi eld. And bronchoscopy showed masses in the accessory bronchus in right distal trachea side and anterior basal trunk in right lower lobe. Therefore, he was underwent histological examination for each lesion. The results of histology had been reported in the necrotic tissue and aspergillosis, respectively. However, we thought it`s a result of the contamination, he was underwent further evaluation. A percutaneous needle biopsy revealed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 of unknown origin. In PET-CT and brain MRI, we found a single cerebellar metastatic lesion and multiple metastatic muscle lesions. Strangely, SUV values of lung nodules were not high but there was increased uptake in paraesophageal area in the PET-CT. Additional duodenoscopic examination proved no abnormality. In order to fi nd the origin site of cancer, we conducted additional immunohistochemial studies, and as a result, p63 and CK5/6 were positive, TTF-1 and napsin-A were negative, respectively. At last, we defi nitely diagnosed as squamous lung cancer and he had underwent chemotherapy. We experienced a casediscovered in multiple metastatic lung nodules that is differen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squamous lung cancer of central invasion. So we would like to discuss differential diagnosis from metastatic cancer and sarcoidosis which can have similar image fi nding.

      • KCI등재

        ‘캠벨얼리’와 ‘탐나라’ 포도의 꽃과 소포자 발달

        임보미(Bomi Yim),문정환(Jeong-Hwan Mun),정영민(Young-Min Jeong),허윤영(Youn Young Hur),유희주(Hee-Ju Yu) 한국원예학회 2015 원예과학기술지 Vol.33 No.3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대부분의 포도 꽃은 완전화로서 개개의 꽃들이 모여 화서를 이룬다. 포도 꽃은 5개의 수술, 1개의 암술, 5개의 꽃잎이 융합된 구조인 화관, 그리고 융합된 형태의 꽃받침을 가지며 화방 내 각각의 꽃은 수정하여 과립으로 발달한다. 포도에서는 과립 형성이나 과립비대, 당도의 축적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된 반면 배우체의 형태 형성, 꽃 기관의 구조, 그리고 꽃 발달과 같은 꽃의 형태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캠벨얼리’와 ‘탐나라’의 두 품종에서 꽃의 구조와 발달에 따른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포도 꽃의 발달 단계 결정은 애기장대에서 소포자의 형성부터 수 배우체의 발달 시기인 꽃발달 9단계부터 13단계로만 한정하였다. 포도 꽃 발달 9단계에서는 4분포자가 나타났고 꽃 발달 10에서 11단계 동안에는 단세포성 소포자에서부터 중기 2세포성 화분으로 발달하였다. 개화 직전의 꽃 발달 12단계 말에는 성숙한 3세포성화분으로 발달하였다. 꽃 발달 13단계에는 화관이 탈락하고 개화가 일어났다. 꽃 발달 9단계부터 12단계까지 꽃받침 길이는 거의 변하지 않았지만 화관의 길이는 계속 증가했다. 두 포도 품종에서 ‘꽃받침 길이에 대한 화관 길이의 비율’의 평균은 꽃 발달 9단계에서는 2.0, 꽃 발달 10단계에서는 3.0, 꽃 발달 11단계에서는 4.5, 꽃 발달 12단계에서는 6.5로 나타났으며, ‘꽃받침 길이에 대한 화관 길이의 비율’을 사용하여 꽃 발달 단계를 판별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 ‘캠벨얼리’와 ‘탐나라’에서 꽃 발달 단계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형태적 지표가 개발되었다. 이를 이용하면 두 품종에서 소포자 배양 시기의 판정이나 ‘탐나라’에서 무핵과 유도를 위한 지베렐린 처리 시기의 판정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ajority of cultivated varieties of grape have perfect flowers that are clustered in an individual inflorescence. Grape flower has a single pistil, five stamens, a protective flower cap (calyptra), and a calyx. After fertilization, an individual flower develops into a single berry. Although there are a number of reported studies focusing on berry formation, berry enlargement, and sugar accumulation in grape, the morphological studies of flower, including gametophyte morphogenesis and structural change in floral organs, have not yet been studied in detai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lower structure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grape using microscopy and defined the floral development stages 9 to 13 based on microspore or male gametophyte development stage from tetrad to mature pollen. We used seeded diploid table grapes ‘Campbell Early’ (Vitis labruscana) and ‘Tamnara’ (V. spp.) as plant materials. At floral development stage 9, pollen mother cells develop to tetrads. During floral development stages 10 to 11, unicellular microspore develop to mid bicellular pollen. At the end of floral stage 12, male gametophyte develops to mature tricelluar pollen. In floral stage 13, the flower cap falls off and flower bud opens. During floral development stages 9 to 12, there were no major changes in calyx length, whereas the length of the flower cap continuously increased. The flower cap-to-calyx length ratio was 2.0, 3.0, 4.5, and 6.5 at floral stages 9, 10, 11, and 12, respectively. The flower cap-to-calyx length ratio was consistent in the two grape cultivars, suggesting that the ratio is a morphological character representing floral development stage. This study provides a reference for determining floral development stage of the two grape cultivars. It will be useful for the determination of optimum time for microspore culture needed to generate doubled haploid lines and appropriate gibberellic acid treatment needed to induce parthenocarpic fruit development in ‘Tamnara’ grape.

      • 스마트 앱을 이용한 밀 품종 판별 기초 연구

        정보미 ( Bomi Jeong ),서영욱 ( Youngwook Seo ),박종률 ( Jongryul Park ),김기영 ( Giyoung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

        D.N.A. is an important keywor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stands for data, network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application of D.N.A. has rapidly increased to agricultural area. The Autonomous Greenhouse Challenge, for example, is the third international competition to find the optimal algorithm to continuously growing vegetables in greenhouses. In this study, MIT App Inventor (MAI) was used to develop an app for smart devices that allow to classifying wheat grain varieties. Conventionally, image aquisition, construction of a region of interest, background removal, and classification model development has been used for feature recognition process. Features obtained from the images acquired using several 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longest length, shortest length, eccentricity, circularity, direction, and area. Using MAI to take single grain photos of all varieties and label the images, the feature recognition runs without any additional image processing methods. In this study, 7 varieties (Geungang, GG; Goso, GS; Baikjung, BJ; Arijinheuk, AJH; Ariheuk, AH; Yeonbaik, YB; Hwanggeumal, HGA) were used. Among them, white varieties are YB, GG and BJ. AJH and AH are black and red are GS and HGA. AJH has the lowest L* value of 31.82±1.14, while YB is 57.88±2.14. AJH has a positive a* value of 8.31±1.29 and YB has a positive b* value of 29.57±0.11.

      • 매실 가공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한 장아찌의 품종 및 숙성 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비교

        정보미 ( Bomi Jeong ),김기영 ( Giyoung Kim ),서영욱 ( Youngwook Seo ),김용훈 ( Yonghoon Kim ),박종률 ( Jongryul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매실은 유기산, 무기성분 및 항산화성분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피로회복, 항균활성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 매실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매실은 주로 음료, 청, 주류 및 장아찌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판매하고 있다. 그 중 장아찌는 발효 숙성 과정 중 유익한 성분들이 생성되어 영양소를 보충해주는 밑반찬으로서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매실 장아찌 제조 시 세척, 탈수 및 과육과 씨를 분리하는 시간과 비용 및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매실 가공 공정 기계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매실 절임가공 전과정 기계화에 앞서 매실 세척·탈수, 씨제거 및 과육절단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한 매실 장아찌의 품종과 숙성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매실 장아찌를 30일, 90일 동안 숙성한 결과, 수분함량(36.29-39.41%, 36.59-38.36%)과 경도(1.78-7.23, 2.87-4.10 kgf/cm)는 옥영이 가장 높았으며, 당도(9.90-12.60, 9.90-11.30%Brix)의 경우 남고가 12.60%로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90일 숙성 후 옥영이 11.30%로 가장 높은 당도를 보였다. pH(2.69-2.84, 2.78-2.83)는 남고가 2.84로 높게 나타났으나 90일 숙성 후 천매가 pH 2.83으로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 3가지 품종 모두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함량이 0.13-0.18 mg/g에서 0.15-0.21mg/g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총 플라보노이드는 모든 품종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총 유기산 함량은 숙성 기간이 30일에서 90일로 길어지는 동안 옥영(29.98, 28.79 mg/g)과 남고(30.62, 29.05 mg/g)에서 감소된 반면, 천매의 경우 29.55 mg/g에서 30.71 mg/g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80일 숙성한 매실 장아찌의 품질특성 연구로 이어갈 예정이며, 이후 과육과 부재료 계량 및 혼합 기계화 시스템의 품질측정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