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경부암환자에 발생한 Q Fever 1 예

        김동규,김영태,김재욱,박규현,이원영,이미화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2

        저자들은 1예의 고열을 동반한 침윤성 자궁경부 암환자의 말초혈액 임파구에서 C. burnetii 감염과 털세포변형을 확인하였으며, 경구 리팜핀의 투여로 임상증상의 호전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Q Fever is caused by Coxiella burnetii an boligate intracellular parasite that lives within the phagolysosome of infected cells. The infection can be asymptomatic, acute or chronic. Latently infected hosts with an immunocompromised condition may reactivate and experience Q Fever . Several cases of Q fever were reported as a complication fo malignancy. Recently Coxiella burnetii infected human peripheral blood lymphocyte (PBL) has been reported to undergo hairy cell transformation and therefore we can suggest the relationship between Coxiella burnetii infection and hairy cell leukemia. We report here a case of Q fever in 47-year-old patient with invasive cervical carcinoma and review the literature related to this disease.

      • KCI등재

        폐 전이된 침윤성 자궁경부암

        김동규,김영태,김재욱,윤혜정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2

        1985년 1월 1일부터 1995년 6월 30일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에서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된 586예의 환자 중 폐전이를 진단받은 22예를 대상으로 임상분석을 통하여 관련된 위험인자, 임상적 특성, 치료방법 및 생존기간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궁경부암을 진단받은 중앙연령은 51.2세(범위, 37-70세)이었으며, 전체 폐전이가 일어난 빈도는 3.4%이었고, 임상적 병기는 제 1기가 3예(2.0%), 제 2기가 11예(3.1%), 제 3기가 6예(8.8%), 제 4기가 2예(22.2%)로 병기가 증가할 수록 폐 전이 빈도도 증가하였다. 2. 세포형은 모두 편평상피형이었다. 3. 자궁경부암 진단 후 폐 전이가 발견된 기간의 중앙치는 31.5개월(범위, 4-59개월)이었고, 조직학적으로 폐 전이가 확진된 경우는 기관지 내시경을 2예(9.1%), 경피세침생검을 5예(22.7%), 흉막생검을 1예(4.5%), 흉막천자를 4예(18.2%)에서 시행하여 모두 12예(54.5%)이었다. 4. 증상없이 정기 추적 흉부 방사선사진소견으로 폐 전이를 의심한 예는 5예이었고, 다발성 소결절과 흉막삼출이 각 6예(27.3%)로 가장 흔한 소견이었으며, 단일 소결절과 망상형소견이 각 2예(9.1%), 종격동 종괴와 간질성 폐 부종이 각 1예(4.5%)이었다. 5. 폐 이외에도 50%인 11예에서 골조직, 간, 대장, 횡경막, 뇌에 원격전이가 있었다. 6. 폐 전이를 진단받은 후 7예는 대중적 치료를 받았고, 8예는 항암약물요법을, 6예는 항암약물요법과 방사성치료를, 1예는 폐엽절제술을 받았으나, 예후는 불량하여 생존기간의 중앙치는 13개월이었으며, 장기생존자는 폐엽절제술을 받은 환자 1예로 42개월 이상 생존해 있다. 결론적으로 폐 전이된 자궁경부암 환자의 예후는 불량하나, 자궁경부암 환자를 추적관찰시에는 임상증상이 없더라도 폐 전이에 대한 정기적인 흉부 방사선사진촬영으로 조기발견이 중요하며, 적극적인 항암화학요법과 적응증이 될 경우 전이된 폐를 절제하는 외과적 수술요법이 생존율을 더욱 증가시키리라 생각된다. The records of five hundred and eighty-six patients treated for cervical carcinoma were review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January 1985 to June 1995. Twenty-two patients(3.4%) revealed to have pulmonary metastases. The median age of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s was 51.2 years(range, 37-70 years). The incidence of pulmonary metastases in patients with cervical carcinomas was 2.0% in stage I, 3.1% in stage II, 8.8% in stage III, and 22.2% in stage IV, respectively. Histologically, all patients had squamous cell carcinomas. The median time interval from initial cervical cancer diagnosis to lung metastases was 31.5 months(range, 4-59 months), and histologic documentation of the pulmonary lesions actually was obtained in 12 patients(54.5%). The diagnosis of pulmonary metastasis in 5 patients without symptoms was made by routine periodic chest X rays. The most common X ray pattern was multiple nodules(27.3%) and pleural effusion(27.3%). 50% of the patients had other distant metastatic lesions. The main treatment for these patients was chemotherapy based on platinum, and surgical resection of the pulmonary lesion may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the patients who have no lesions in other site.

      • KCI등재

        미세침윤 자궁경부암의 임상병리학적 분석

        김동규,김영태,김재욱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5

        1987년 11월부터 1995년 5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 내원하여 세포진도말검사, 질확대경 조준하생검 및 자궁경부 원추절제술을 실시하여 자궁경부 미세침윤암으로 진단받은 후 치료를 시행받은 총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55예에서 환자들으 연령분포를 조사하여 보면 중앙연령 값은 39세였으며 30대가 23예로 41.8%를 차지하여 가장 빈도가 높았으며 40대, 50대 순으로 연령분포가 나타났다. 2. 기왕분만력을 살펴보면 분만과거력이 없는 경우가 2예로 전체의 3.6%를 차지하였으며 1회의 분만력을 가진 경우가 4예(7.2%)이었고 2회이상으 분만력을 가진 경우가 49예로 전체의 89.2%를 차지하였다. 3. 임상주증상을 살펴보면 아무런 증상없이 정기적 자궁경부암 검진시 발견된 경우가 22예로 36.1%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성교후 질출혈, 대하증, 요통, 복통의 순으로 나타났다. 4. 미세침윤암 환자의 육안적 자궁경부소견은 자궁경부 미란이 직경 1 cm미만인 경증의 경우가 9예, 2 cm까지의 중등도의 경우가 16예 그리고 그 이상의 중증의 경우가 15예이었으며 육안적으로 특이한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던 경우도 8예로 14.5%를 차지하였다. 5. 질세포진도말검사의 결과는 저등급편평상피내병변(low 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이 2예(3.6%), 고등급편평상피내병변(high 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이 31예(56.4%), 암종(carcinoma)의 경우가 20예(36.4%)를 차지하여 한등급내 조직진단과의 정확도는 92.8%이였으며 정상으로 나타난 경우도 3.6%를 차지하였다. 6. 질확대경조준하 생검결과는 미세침윤암의 소견이 40예(72.7%), 자궁경부상피내종양 3도(CIN III)가 14예(25.5%)였고 자궁경부상피내종양 2도(CIN II)가 1예(1.8%)로 나타났다. 진단적 원추생검도 전예에서 시행되었는데 미세침윤암의 소견이 44예(80%), 자궁경부상피내종양 3도(CIN III)가 8예(14.5%)였으며 만성자궁경부염으로 보고된 경우도 3예있었다. 7. 치료는 기질침윤 깊이에 따라 1 mm미만의 기질침윤이 있었던 경우에는 제 1형 확장자궁절제술을 23예(71.9%)에서 시행하였고 제 2형 확장자궁절제술은 7예(21.9%)에서 시행하였으며 치료적 원추절제술만을 시행한 경우도 2예있었다. 기질침윤이 1 mm에서 3 mm의 경우에는 제 1형 확장자궁절제술을 3예(13.5%에서 시행하였고 제 2형 확장자궁절제술은 19예(82.6%)에서 시행하였으며 심장판박수술을 시행받고 내과적 합병증이 있는 1예에서는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은 1예에서 창상감염이 있었고 2예에서 방광염증상이 나타났으나 대증치료후 호전되었으며 또한 외과적인 치료를 시행받은 환자에 있어서는 추가적인 치료를 시행한 경우는 없었으며 총 55예의 환자의 외래추적 관찰기간은 7개월에서 88개월로 평균 63개월이었으며 전에에서 재발없이 추적관찰중이다. 또한 수술로 인해 사망한 경우는 1예도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자궁경부 미세침윤암의 진단에 있어서는 절단면의 침윤유무, 침윤 깊이 및 수평 확산을 파악하기 위해 반드시 자궁경부원추생검이 필요하고 ㅣㅊ료에 있어서도 원추생검 후 3 mm이하이 미세침윤암의 경우에는 제 2형 확장자궁절제술(type II extended hysterectomy)미만의 수술로도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후향적인 연구방법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향후 정해진 치료방법(designed protocol)을 가지고 다기관(multi-institutional cooperation) 협조하에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해야만 확실한 결론을 내릴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microinvasive cervical cancer remains a controversial subject. Most authorities define microinvasion by depth of penetration by cancer cells of less than an arbitrarily and subjectively determined 1 or 3 or 5 or more millimeters beneath the basement membrance. Recently,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Obstetrics and Gynecology(FIGO) has developed a new cervical cancer staging. We used the definition as stromal invasion of cancer cell with maximum depth of 3 mm and no wider than 7 mm from the base of the epithelium. We conducted this retrospective study in order to evaluate the results of therapeutic approaches in patients with microinvasive cervical cancer. We have experienced 55 cases with microinvasive cervical cancer from November 1987 to May 1995. The age of the study subjects ranged from 39 to 71 years with a median of 39 years. Pregnancy was never experienced in 2 cases(3.6%) and the mean parity was 2.7. The most frequent complaint was postcoital bleeding which was shown in 20 cases(32.1%), whereas most cases were revealed incidentally through the routine Pap smear. The corresponding rate of Pap smear to histologic diagnosis was approximately 36.4%. However, corresponding rate within on histologic grade was about 92.8%. As to the reports of colposcopically directed biopsy, 72.7% of cases showed microinvasion. Type I extended hysterectomy was performed in 26 cases and type II extended hysterectomy was done in 7 cases with less than 1mm invasion and 19 cases with greater than 1 mm and no greater than 3 mm stromal invasion. There was no surgery-related deaths in this series and 5 year survival was 100%.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less radical therapeutic approach for the patients with no greater 3 mm stromal invasion may be beneficial. But further prospective study based on larger numbers of cases with multi-institutional cooperation and designed protocol will be necessary.

      • KCI등재

        자궁경부암 환자에서의 coxiella burnetii 감염실태

        김동규,김영태,김재욱,박규현,이원영,이미화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7

        1994년 1월부터 6월까지 연세의료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항암약물요법 및 방사선치료를 받지 않은 자궁경부암환자 20명과 대조군으로 양성부인과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말초혈액 임파구 의 coxiella burnetii 감염을 anti-coxiella rabbit혈청을 이용한 간접 면역형광항체법으로 검사하여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의 coxiella burnetii 감염정도를 알아보았으며 이를 대조군과 비교하 였고 자궁 경부암 환자중에 감염군과 비감염군에 대해 암 파급정도(임상병기), 세포형태, 종 양표지물질 등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궁경부암환자 20명중 5명에서 말초혈액임파구의 coxiella burnetii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1명은 현성감염의 증상을 나타내었고, 4명은 불현성 감염상태였다. 대조군 10명은 모두 coxiella burnetii 감염 음성이었으나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coxiella burnetii 감염으로 나타난 5명의 말초혈액 임파구에서 모두 털세포변형이 관찰되었 으나 범혈구감소증, 간비장 증대 등 털세포백혈병의 임상적 특징을 보인 예는 없었다. 3. 자궁경부암 환자중 coxiella burnetii 감염군과 비감염군감에 암파급(임상병기), 세포형태, 종양표지물질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자궁경부암 환자에서의 coxiella burnetii 감염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 의성은 없었으나 그 빈도가 증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자궁경부암의 예후인자들과 coxiella burnetii 감염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Q fever is a worldwide zoonosis caused by the rickettsial organism coxiella burnetii, and obligate intracellular organism, living in the phagolysosome of infected cells. coxiella burnetii is extremely infectious for human and animal and it is responsible for both acute and chronic diseae. As in other infections with intracellular parasites, host defence in Q fever is dependent on cell-mediated immunity in which T cells enhance the microbicidal action of macrophages. Recently several cases of Q fever arising in the patient with immunocompromised conditions including malignacy have been reported but little attention was given to the cancer patients with Q fe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serum coxiella burnetii antigen in cervical cancer patients and to compare the prognostic factors of stage, cell type and tumor markers in coxiellemia and non-coxiellemia cervical cancer patients. With use of rabbit antiserum to coxiella burnetii as first antibody and a fluorescein isothyiocyanate-conjugated antiserum to rabbit immunoglobulin as secondary antibody. coxiella burnetii was examined by immunofluorescence method in 20 cervical cancer patients and 10 controls(benign gynecologic disease). Coxiellemia was found in 25% of cervical cancer patients and 0% of controls respectively but statisticall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p$gt;0.05).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ge , cell type, SCC antigen level and urine polyamine between coxillemia and non-coxiellemian cervical cancer patients. In conclusion, We found that 25% of cervical cancer patients were diagnosed as coxiella burnetii infection even though majority of patients did not have clinical symptoms of Q fever. And coxiella burnetii infection was not correlated with stage, cell type and tumor markers in cervical cancer.

      • KCI등재

        바르톨린선의 선양 낭포성암 1 예

        김동규,이정필,김재욱,김행수,조환승,한세열,김규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6 No.10

        바르톨린선의 선양 낭포성암 1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 patient with adenoid cystic carcinoma of Bartholins gland is reported and the literature related to this disease is reviewed. It is rare disease of which incidence is 10-15% of Bartholins gland carcinoma. Major clinical symptom is perineal pain and vulvar mass and it can be misdiagnosed as abscess or cyst. Histologically , this tumor is characterized by perineural invasion , cribriform pattern cancer cell and pseudocyst. Most acceptable treatemnt modality is radical vulvectomy but , the efficacy of inguinal femoral lymphadenectomy and postoperative adjuvant radiotherapy is controversial , yet.

      • KCI등재

        양성 난소기형종과 합병된 난소섬유종 1 예

        김동규,박찬규,김영태,김재욱,김경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1

        저자들은 양성난소기형종과 합병된 난소섬유종 1예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Ovarian fibromas account for approximately 3% to 5% of all tumor of this origin. They are usually asymptomatic, incidental findings at laparotomy. They are usually seen in the premenopausal woman, the average age being 48 years, the range 16 to 80 years. A case of ovarian fibroma with teratoma of the ovary in 20 year old woman was presented and reviewed briefly.

      • KCI등재

        Cisplatinum이 혈청 및 소변 전해질변동에 미치는 영향

        김동규,김재욱,김용범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5

        1985년 3월부터 1991년 2월 28일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 내원하여 진단된 환자중 정기적인 항암화학요법을 cisplatinum제제를 포함한 복합항암화학요법을 받은 난소암 환자 및 재발된 자궁경부암 환자 14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던 총 120예의 항암화학요법 횟수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120예중 혈청 저마그네슘치를 나타내었던 경우가 45예로 37.5%이었으며 마그네슘치는 0.8~1.6 mg/dl범위였다. 2. BUN, creatinine 및 CCr이 정상이었던 경우 혈청 저마그네슘치의 발생빈도는 각각 37.0%, 37.1% 그리고 39.1%이었으며 BUN, creatinine 및 CCr이 비정상이었던 경우에서는 각각 100%, 50% 그리고 33%에서 나타났다. 3. Cisplatinum의 누적용량에 따른 혈청 마그네슘치는 cisplatinum투여 하기전보다 투여후 누적용량이 450 mg이상에서부터 증가할 수록 혈청 마그네슘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4. Cisplatinum을 50 mg/m2로 투여한 저용량군과 100 mg/m2로 투여한 고용량군에서의 혈청 마그네슘치 및 creatinine clearance rate는 저용량군에서 투여횟수와 관계없이 비교적 정상 혈청 마그네슘 및 creatinine clearance rate를 유지하였으나 고용량군에서는 투여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혈청 마그네슘 및 creatinine clearance rate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cisplatinum사용으로 유발될 수 있는 여러 부작용중 혈청 저마그네슘증은 심각한 부작용으로 신독성이 나타나기전에도 유발될 수 있으며, 특히 고용량으로 cisplatinum을 투여했을시 더욱 심한 증상을 나타내므로 앞으로 cisplatinum제재를 고용량으로 장기간 투여시에는 혈청의 마그네슘치를 철저히 반복측정하므로써 혈청 저마그네슘증을 대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ince cisplatinum(cis-diaminedichloroplatinum Ⅱ) was introduced into the clinical medicine in early 1970`s it has been used in the chemotherapy regimen for treating patients in various cancer including gynecological malignancies for better results. Cisplatinum is a coordinate metal complex with significant antineoplastic activity and various adverse effects including acute and chronic renal insufficiency resulting serum hypomagnesemia. This renal toxicity has emerged as a factor that limits the therapeutic usefulness of cisplatinum.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isplatinum on serum electrolytes and renal magnesium wastage was evaluated on 14 patients in 120 chemotherapy cycles who receiving cisplatinum in their chemotherapy regimen for treatment of cervical and ovarian carcinoma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incidence of hypomagnesemia was 45 out of 120 cycle giving 37.5% and the serum magnesium range was between 0.8~1.6 mg/dl. The renal toxicity was monitored by serum indices of BUN(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and creatinine clearance rate (CCr). Even when these indicies, BUN, creatinine, CCr were in normal ranges, the serum hypomagnesemia was developed in 37.0%, 37.1% and 39.1% each respectively. While the incidence of serum hypomagnesemia with clinically suspected renal toxicity were 100%, 50% and 33% each respectively and it`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ummulative dose effects of cisplatinum on serum magnesium level was quiet interesting. As cummulative dose increases, the serum magnesium level decreased as suspected. But this findings were only confined in cummulative dose range of cisplatinum between 450~585 mg as 1.2 mg/dl and 1.0 mg/dl each respectively. In low dose group, the serum magnesium level, BUN, creatinine and CCr were not dependent to chemotherapy cycles. It may implied that at low dose of cisplatinum the toxicity is almost noncontributable. But in high dose group, as chemotherapy cycles increase the serum magnesium level and CCr were considerably decreased but it`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자궁경부암 근치술후의 성생활의 변화에 관한 연구

        김승조,정재근,남궁성은,지용헌,김대훈,김도강,이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1

        본 연구는 가톨릭의과대학 부속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 환자중 경부암 근치술을 받은 53명을 실험군으로 하고 단순자궁절제술을 받은 51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양군의 성생활과 관련된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에 대한 면담조사 및 Hamilton의 우울척도에 의한 우울성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경부암 근치술을 받은 환자는 단순자궁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비하여 교육수준과 경제력이 낮았다. 2. 성생활에 있어서 경부암근치술을 받은 환자는 단순자궁절제술을 받은 환자보다 극치감 감소, 성욕감소, 불감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남편의 성생활에 있어 발기불능, 조루, 사정불능, 외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욕감소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일상생활의 문제점에 있어 경부암근치술을 받은 환자는 단순자궁절제술을 받은 환자보다 남편의 관심상실 우려, 여자로서 자아의 상실에 대한 우려, 남편의 태도변화 우려, 재발우려, 남편에 대한 피해의식이 많았고 같은 환자와의 대화가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4. 우울성향은 경부암근치술을 받은 환자가 단순자궁절제술을 받은 환자보다 높았다. 5. Hamilton의 우울척도에 있어서 경부암근치술을 받은 환자는 단순자궁절제술을 받은 환자보다 우울감정, 죄의식, 자살, 불면증, 일과 활동, 정신운동 지체, 초조, 정신적 신체적 불안, 일반적 신체증상, 건강 염려증, 무력감, 절망감, 허무감 등이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므로 경부암 근치술 후의 환자관리는 성생활의 변화와 우울감정에 대하여 충고를 해주고 같은 환자와의 접촉을 권하며 가족, 특히 남편의 이해와 협조를 얻어 자기의 생활을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and depression after radical hysterectomy by means of clinical interview and Hamilton`s rating scale for depression. The structured interviews of 53 radical hysterectomy patients as experimental group and 51 total hysterectomy patients as control group were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ducational and economical levels of radical hysterectomy patients were lower than that of total hysterectomy patients. 2.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loss of orgasm, loss of sexual desire and frigidity.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otence, premature ejaculation, retarded ejaculation and extramarital sex on the part of the husband except in sexual desire. 3. Significantly more patients of radical hysterectomy thought of loss of husband`s affection, loss of womanliness and change of husband`s attitude as the problem of life than total hysterectomy patients. More radical hysterectomy patients replied that their disease had come from husband and the conversations with the same disease were helpful to them. 4. Depression of radical hysterectomy patients was inclined to be higer than that of total hysterectomy patients. 5. Hamilton`s depression score of radical hysterectomy patient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otal hysterectomy patients in depressive mood, guilt, suicide, insomnia, work and interest, retardation, agitation, psychic and somatic anxiety, somatic general, hypochodriasis, helplessness, hopelessness and worthlessness. In the process of radical hysterectomy patient treating, it is required to advise the patient on change of sexual life and depression, to help the patients to maintain her life through conversations with the same disease and to help the patient to get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from her husband and members of her family as their attitude has influence on patient`s adaptation.

      • KCI등재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표피성장인자 수용체 및 c-erbB-2 암유전자 단백산물의 발현과 신보조 항암화학요법 반응도와의 상관관계

        김동규,박금자,김영태,김재욱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5

        1995년 1월부터 1996년 1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학교실에서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되어 신보조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는 3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신보조항암화학요법의 반응도와 표피성장인자수용체(EGFR) 및 c-erbB-2 암유전자단백산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사환자의 연령분포는 35세에서 76세였고 중앙연령 값은 49.5세였다. 폐경전 환자는 17예(53.1%)이었고, 폐경후 환자는 15예(46.9%)이었으며 Kamofsky 전신수행상태는 모두 70%이상이었다. 임상병기별 분포는 제 1기가 6예 제 2기가 20예로 가장 많았으며 제 3기는 6예이었다. 조직학적으로는 편평상피세포형(squamous type)이 27예로 가장 많았고 선암(adenocarinoma)이 3예, 선평평상피세포형(adenosquamous type)이 2예 순이었다. 2. 초기종양 크기와 혈중 SCC항원, 요중 polyamine, 표피성장인자수용체(EGFR) 및 c-erbB-2 암유전자단백산물의 측정치와는 상관관계를 조사한 바, 표피성장인자수용체(EGFR)의 Rs값은 0.3891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성향을 보였으나 미약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며 초기병변의 크기와 c-erbB-2 암유전자단백산물의 측정값 사이에는 Rs값 0.1094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자궁경부암 환자의 최초종양의 크기와 혈중 SCC 항원 및 요중 polyamine 측정값 사이에는 전혀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3. 암종양감소율과의 상관관계를 구하여본 바, 조직내 표피성장인자수용체(EGFR) 측정값과는 Rs 값-0.08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혈중 SCC항원 및 요중 polyamine 측정값 사이에도 전혀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종양감소율과 c-erbB-2 암유전자단백산물의 측정값 사이에는 Rs값 -0.71로 두 변수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중 종양조직내에 c-erbB-2 암유전자단백이 증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신보조항암화학요법에 불량한 반응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암유전자단백산물을 미리 측정함으로써 신보조항암화학요법의 반응도를 선별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는 종양감소율을 평면적으로 측정하였으므로 3차원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어야하며 좀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한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Neoadjuvant chemotherapy prior to definitive radical surgery or radiotherapy may be effective in reducing tumor volume or clinical stage and may even enhance pelvic control and survival.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limitations to the use of neoadjuvant therapy in non-responder group. They include delayed total treatment course, presence of drug resistant clones which result in accelerated tumor growth, and limited bone marrow reserve for subsequent difinitive therapy. Thus, there is a need to identify parameters providing a more precise indication of the response to neoadjuvant chemotherapy. From Jan. 1995 to Jan. 1996, neoadjuvant chemotherapy with 3 courses cisplatin and vincristine was used in 32 patients with invasive cervical cancer(FIGO stage Ib to IIIb; tumor size greater than 2 cm). Prior to chemotherapy, quantitative tissue levels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EGFR) and c-erbB-2 oncogene protein were measured by using an enzyme-linked imunosorbent assay(ELISA). Also, sera from patients were evaluated for squamous cell carcinoma(SCC) antigen by using a radioimmunoassay(RIA) and for urine polyamine by creatinine enzyme method. Tumor size was estimated before and after chemotherapy. Relations among oncopreteins, tumor markers and reductions of tumor size were evaluated. Tumor size prior to neoadjuvant chemotherapy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either with the concentrations of EGFR and c-erbB-2 oncoprotein or with levels of serum SCC antigen and urine polyamine. Also, reduction rate of tumor mass did not manifest correlation with EGFR, SCC antigen and urine polymine. However, reduction rate of tumor mass had an inverse linear correlation with the c-erbB-2 oncoprotein(Rs=-0.71, P$lt;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erbB-2 oncoprotein is associated with a reduced response to neoadjiuvant chemotherapy in primary treatment of invasive cervical cancer and may be useful in directing therapeutic approaches.

      • KCI등재

        13-cis-Retinoic Acid 가 자궁경부암의 항암화학요법에 미치는 영향

        김동규,이정필,송찬호,김영태,김재욱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5

        1994년 1월부터 1995년 1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에서 침윤 성 편평상피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되어 신보조화학요법만을 시행받은 20명의 제 1군과 신보 조화학요법과 병용하여 13-cis-Retinoic Acid를 투여받은 20명의 제2군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 료효과 및 합병증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신보조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치료반응을 판정할 수 있었던 총 40예중 제 1군의 경우, 부분 관해가 6예(30%), 그리고 무반응예가 14예(70%)를 보여 임상반응율은 30%를 나타내었으며 제2군의 경우에는 완전관해가 1예(5%), 부분관해가 6예(30%) 그리고 무반응예가 13예(65%) 를 나타내어 임상반응율은 35%를 보였다. 2. 제 1군에서 신보조화학요법 전후를 SCC 항원을 측정하여 본 결과 혈중 SCC항원의 중앙 값은 각가 1.65ng/ml 0.90 ng/ml로 나타나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p$lt;0.05), 제 2군에서도 각 각 2.90 ng/ml, 1.75 ng/ml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p$lt;0.05)그러나 제 1 군 및 제 2군의 화학요법 후 혈중 SCC항원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두 군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신보조화학요법으로 인한 부작용 골수억제, 위장관장애, 신 및 간독성이 있었으며 제 2 군의 경우에는 35예(59.3%)에서 경증의 피부건조증 및 구순염이 나타났으나 보존적인 치료로 회복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신보조화학요법만을 시행한 군보다 신화학요법과 13-cis-Retinoic Acid를 병용투여한 군에서 향상된 완전관해를 나타내었으나 국소요법후 지속적인 추적 관찰 로 치료실패율 및 무병생존율에 대한 연구 및 화학요법의 반응을 예측선별할 수 있는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Retinoid are strong inhibitors of epithelial cancer promotion and progression in experimental carcinogenesis. Recently, therapeutic trial of retinoids have demonstrated activites in cervical cancer and precancerous lesion of cervix, Our purpose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administraion of 13-cis-Retinoic Acid is more effectual in the neoadjuvant chemotherapy of cervical carcinoma. METHODS : From January 1994 through January 1995, 40 patients with invasive cervical cancer were enrolled in this prospective study and divided by two groups. group 1 had neoadjuvant chemotherapy plus 13-cis-Retinoic Acid (RA) at a dosage of 1mg/kg/day for 1 month. Patients between group 1 and group 2 were similar with respect to age, parity, clinical stage, and histological subtype. Therapeutic responses were compared using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 RA increased the complete response rate of neoadjuvant chemotherapy from 0% in the group 1 to 5% in group 2. but difference of overall response rate between two group was not evident. The drug toxicities between group 1 and group 2 included anemia in 30.0% and 23.7%, leukopenia in 6.7% and 15.2% and hepatotoxicity in 6.7% and 6.8% respectively. More skin side effectes were seen in the patients of group 2, but these effects were mild and reversible. CONCLUSION : It would be suggested that RA plus chemotherapy may be superior chemotherapy alone in increasing the complete response rate of neoadjuvant chemotherapy for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The impact of such a treatment on survical needs to be futher explo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