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풍동실험에 의한 붐식 살포 농약의 노즐형태와 분사압력에 따른 비산 특성 분석

        박진선 ( Park¸ Jinseon ),이세연 ( Lee¸ Se-yeon ),최락영 ( Choi¸ Lak-yeong ),정한나 ( Jeong¸ Hanna ),노현호 ( Noh¸ Hyun Ho ),유승화 ( Yu¸ Seung-hwa ),송호성 ( Song¸ Hosung ),홍세운 ( Hong¸ Se-woon ) 한국농공학회 2021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3 No.5

        With rising concerns about pesticide spray drifts, this study analyzed the drift patterns of two typically-used nozzles, XR nozzle and AI nozzle, concerning their working pressures and wind speeds by wind tunnel experiments. AI nozzle showed low drift potential with larger droplet sizes compared to XR nozzle. Airborne and deposition drifts of XR nozzle were two times higher than those of AI nozzle under high wind speeds (≥2 m s<sup>-1</sup>). In all cases, higher working pressures decreased the droplet sizes, thereby increasing the airborne and deposition drifts. Higher wind speeds also resulted in more airborne drifts, while ground deposition was increased under lower wind speeds. These effects of working pressures and wind speeds on the airborne and deposition drifts were observed at leeward distances less than 4 m from the nozzles. However, the airborne and deposition drifts were barely affected by the working pressures and wind speeds at leeward distances more than 11 m. The measurements were fitted to regression models of the drift curve with acceptable R2 values greater than 0.8, demonstrating that further studies will be useful to settle domestic issues of spray drifts.

      • <i>RASSF1A</i> is not appropriate as an early detection marker or a prognostic marker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Choi, Naeyun,Son, Dae‐,Soon,Song, Inseung,Lee, Hye‐,Sook,Lim, Yoo‐,Sung,Song, Min Sup,Lim, Dae‐,Sik,Lee, Jinseon,Kim, Hojoong,Kim, Jhingook Wiley Subscription Services, Inc., A Wiley Company 2005 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Journal internati Vol.115 No.4

        <P><B>Abstract</B></P><P>Aberrant methylation of several tumor suppressor genes often occurs during the pathogenesis of lung cancer. RASSF1A is one of the tumor suppressor genes, and it is frequently inactivated by hypermethylation of its promoter region in a variety of human cancers, including lung cancer. It has recently been suggested that RASSF1A methylation was frequently observed in poorly differentiated tumors, and that it was correlated with adverse survival in lung adenocarcinoma (Tomizawa Y, <I>et al</I>., Clin Cancer Res 2002;8:2362–8).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athogenetic and clinicopathologic significance of RASSF1A methylation for the development and/or progression of non small cell lung cancer (NSCLC). We examined 116 cases of NSCLC for the methylation status of RASSF1A. Methylation‐specific analysis demonstrated that 40.5% (47 of 116) of the cases were methylated at the CpG sites in the promoter. Methylation of RASSF1A was associated with cellular differentiation (<I>p</I> = 0.0244) and it was related to survival (<I>p</I> = 0.0276). However,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RASSF1A methylation and the individual clinicopathologic features: TNM stage (<I>p</I> > 0.1), recurrence (<I>p</I> > 0.1), lymphatic permeation (<I>p</I> > 0.1) and smoking duration time (<I>p</I> > 0.1). Furthermore, we analyzed RASSF1A's probability as a prognostic marker by using stepwise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testing. As a result, the stage prov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p</I> = 0.0089), more than any other factors such as age, gender, cell type, methylation status, differentiation, smoking duration time, tumor size and lymph node permeation. There was no other significant factor other than stage and age. These results show that epigenetic inactivation of RASSF1A cannot be a prognostic marker of NSCLC. © 2005 Wiley‐Liss, Inc.</P>

      • SCISCIESCOPUS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lung cancer cell line, SMC-L001, from a lung adenocarcinoma.

        Choi, So-Jung,Lee, Hyeseon,Choe, Chungyoul,Shin, Yong-Sung,Lee, Jinseon,Moon, Sung-Hwan,Kim, Jhingook Springer 2014 In vitro cellular & developmental biology Animal Vol.50 No.6

        <P>Lung cancer cell lines are a valuable tool for elucidating lung tumorigenesis and developing novel therapies. However, the majority of cell lines currently available were established from tumors in patients of Caucasian origin, limiting our ability to investigate how cancers in patients of different ethnicities differ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tumor biology and drug responses.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human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cell line, SMC-L001, and characterized its genome and tumorigenic potential. SMC-L001 cells were isolated from a Korean lung adenocarcinoma patient (male, pStage IIb) and were propagated in culture. SMC-L001 cells were adherent. DNA fingerprinting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MC-L001 cell line originated from parental tumor tissue. Comparison of the genomic profile of the SMC-L001 cell line and the original tumor revealed an identical profile with 739 mutations in 46 cancer-related genes, including mutations in TP53 and KRAS. Furthermore, SMC-L001 cells were highly tumorigenic, as evidenced by the induction of solid tumors in immunodeficient mice. In summary, we established a new lung cancer cell line with point mutations in TP53 and KRAS from a Korean lung adenocarcinoma patient that will be useful for investigating ethnic differences in lung cancer biology and drug response.</P>

      • Development of adverse outcome pathway (AOP) of silver nanoparticles using comparative toxicogenomics database (CTD) and AOP wiki

        Jinseon Son(손진선),Jinhee Choi(최진희) 환경독성보건학회 2021 한국독성학회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2021 No.5

        An adverse outcome pathway (AOP) is a framework that organizes the predictive relationships between molecular initiating events (MIEs), key events (KEs), and adverse outcomes (AOs), which contributes to providing evidence based mechanistic insights. Meanwhile, integrating and utilizing the massive and heterogeneous data from different biological levels is a laborious and time intensive process, brings a challenge in AOP’s construction. Fortunately, mining available publicly database through computational and bioinformatics approaches can make the mass of biological information into better serve as the basis for creating expert-derived AOPs in a much more efficient way. The Comparative Toxicogenomics Database (CTD, http://ctdbase.org/), as a comprehensive, continuously updated and publicly available database, provides manually curated associations between and among chemicals, genes, phenotypes, diseases captured from the scientific literatures. The chemical-phenotype module of CTD provides numerous opportunities for users to unravel the complex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al exposure and molecular and functional changes in organisms. As a part of OECD AOP program, the AOP Wiki (http://aopkb.org) serves as the primary repository of qualitative information for the international AOP development effort, provides insights to identify the upstream or downstream of KEs. We present a case study discerning the role of silver nanoparticles (AgNPs) in influencing phenotypes preceding infertility, a disease related to reproductive toxicity. Combining CTD’s phenotype-disease inference data, AgNPs-phenotypes were anchored to infertility. Through integrating analysis in AOP wiki knowledge base, filtered phenotypes were linked to key events consisting of AOPs and assembled together based on upstream and downstream relationships. A subset of 13 phenotypes were filtered from CTD as potential key events. Selected phenotypes were used to construct a predictive AOP connecting AgNPs to infertility. Independent MIEs represent a curated interaction between AgNPs and 11 genes are directly annotated to infertility from CTD’s disease core. This study will help address the existing knowledge gaps for future experimental verifi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will help discover and connect information to expand the predictive AOPs, as well as interrelate other AOPs to generate hypotheses about chemical exposures and environmentally influenced disease.

      • 농업 및 농촌에 대한 대학생 인식조사 비교 연구

        박진선 ( Jinseon Park ),최수광 ( Soogwang Choi ),김난영 ( Nanyeong Kim ),김혜지 ( Heyji Kim ),유승종 ( Seungjong Yoo ),김태헌 ( Taeheon Kim ),윤성수 ( Seongsoo Yoon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농업과 농촌은 우리나라의 근간을 이루는 산업이자 그 산업이 유지되는 공간이었으나, 산업의 규모는 축소되고 농촌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농업 장려와 농촌 공간 활성화 사업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기술력을 도입하여 농업 생산성을 증진시키고, 이를 통해 소득 증대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귀농·귀촌 정책의 활성화로 농업 및 농촌으로 회귀하려는 인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책 및 정보가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농업과 농촌은 여전히 젊은 계층에게는 생소하고 기피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국민이 느끼는 농업과 농촌에 대한 인식조사와 젊은 계층을 대표하는 대학생의 인식을 비교하고, 농업계열 전공자와 비농업계열 전공 대학생이 갖는 농업과 농촌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학생은 충북대학교 학생 1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4차 산업혁명의 농업 적용, 농업 및 농촌 정책, 농업 및 농촌 이주 선호도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설문방법은 구글 설문과 설문지 배포를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 결과를 통해 농업 및 농촌 정책에 대한 인지 및 이해의 정도를 파악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대학생들의 농업 및 농촌에 대한 선호도 및 기피이유 등을 살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농약 비산 저감을 위한 경계 작물의 공력 저항 및 차단 효과 분석

        박진선 ( Jinseon Park ),이세연 ( Se-yeon Lee ),최락영 ( Lak-yeong Choi ),홍세운 ( Se-woon Ho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농작업 과정 중 방제의 기계화가 보편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드론을 활용한 방제가 활발하다. 드론을 활용한 방제는 공기 중 분사로 작업효율이 높고, 작업 속도가 빨라 비용 절감 및 인력 투입에 유리하다. 이때 공기 중 약액 입자는 기상 작용에 의한 풍속 및 풍향과 드론에서 발생하는 하향풍의 영향으로 목표 작물을 벗어나 주변 지역으로 비산되기 쉽다. 한편, 대기 중 약액이 비산될 때 주변 지역에 수목 또는 기타 작물이 존재 할 경우 약액 입자를 운반하는 공기의 투과성이 저하되고, 공기 중에 분포하던 약액 입자는 작물에 부착되어 비산 도달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작물의 공기 투과 저항력은 작물의 엽면적의 크기 및 밀도에 영향을 받는데, 이와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엽면적 지수를 꼽을 수 있다. 또한 작물의 공기 투과 저항력은 일정 풍압이 발생할 때 작물을 중심으로 전후의 압력을 측정하고, 그 차이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엽면적 지수와 외부 풍속을 달리하여 식물의 공기 투과 저항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실험 설계는 실내 비산 모의 챔버를 활용하였으며, 식물은 잎의 밀도를 달리하여 엽면적 지수를 세 단계로 구분하였고, 풍속은 1-3 m s<sup>-1</sup> 로 설정하여 풍동 구간 내 발생하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작물 앞과 뒤에 동일 간격을 두고 압력계를 설치하였다. 압력은 정압과 동압의 합으로 얻어지며 동압은 내부에 바람이 일정한 속도로 불기 때문에 전구간이 동일하여 정압을 측정하여 작물의 공기 투과 저항력을 추정하였다. 작물의 공기 투과 저항력은 경험식과 Darcy-Forchheimer가 제안한 식을 활용하여 경향을 분석하였다.

      • 지상방제기를 활용한 과수 엽면적지수에 따른 비산 특성 분석

        박진선 ( Jinseon Park ),이세연 ( Se-yeon Lee ),최락영 ( Lak-yeong Choi ),( Daniel Kehinde Favour ),홍세운 ( Se-woon Hong ),이채린 ( Chaerin Lee ),김경섭 ( Kyeongseop Kim ),강지혜 ( Jihye Kang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과수의 방제 작업 효율 증대를 목적으로 활용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Speed Sprayer, SS기)는 과수 농가의 인력 부족 문제 해결 및 작업 시간 단축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살포 방법의 특성 상 약액 비산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2019년 본격 시행된 농약허용기준강화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에 따라 비의도적 농약오염에 대한 사회적 관심 또한 더욱 증대되어 농약 비산 측정 및 정량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농약 비산은 다양한 환경적·기술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방제 시기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엽면적지수의 차이에 따른 비산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SS기를 활용한 방제 실험 수행을 위해 전남 나주에 위치한 전남대학교 농장에 시험포를 조성하였고, 대상 과수는 사과나무이며 5 그루를 방제 및 비산 약액 포집 대상으로 구성하고, 2회에 걸쳐 약액 살포 및 포집 실험을 수행하였다. 나무 사이의 거리는 3.4m이며, 포집 위치는 나무 뒤편과 나무 사이로 구분하였고, 수평 거리는 1, 3, 9m, 수직 거리는 1, 2, 3m에서 ISO 22866 기준에 맞추어 나일론 스크린을 거치하여 포집하고, 총유기탄소량(Total Organic Carbon, TOC) 측정 기법을 활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엽면적지수의 측정은 LI-3000C (LI-COR, NE, US)를 활용하여 비파괴 측정하였다. 그 결과 나무 뒤편과 나무 사이 모두 수평 관측 거리 9 m 지점까지 비산 약액이 관측되었고, 수직 관측 지점 또한 3 m 지점까지 비산 약액을 포집할 수 있었다. 나일론 스크린을 통해 포집된 비산 약액의 농도는 1 m 지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잎의 밀도가 가장 높은 2m 지점에서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수고보다 높은 3 m 지점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약액을 살포한 시기는 개화기로 엽면적지수는 0.78로 측정되었다. 엽면적지수에 따른 비산 특성의 규명은 잎이 증가하였다가 적과 후 하계전정 과정 및 잎따기 등을 거치며 엽면적이 감소하면서 방제 시 약액 비산이 증가할 우려가 있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기초 연구로 의의를 갖는다.

      • 드론 방제에 의한 농약 비산 특성 분석을 위한 시험포 구축 및 예비 실험

        박진선 ( Jinseon Park ),이세연 ( Se-yeon Lee ),최락영 ( Lak-yeong Choi ),홍세운 ( Se-woon Ho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농업 분야는 농업 인구의 지속적인 감소 및 고령화로 노동력 절감과 생산성 제고를 위해 농작업 기계화를 정책적으로 수행하였다. 농작업 과정 중 노동 집약적인 방제작업의 기계화를 목적으로 항공 방제의 도입이 활발해졌고, 드론을 활용한 방제작업의 비율이 2003년 201 ha에서 2019년 194,000 ha로 약 965배 증가하였고, 전체 논 면적의 30%를 담당하게 되었다. 이와같이 드론을 활용한 방제작업은 높은 효율과 투입 인력 감소 및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으나 분사한 농약이 방재를 목적한 작물 이외에 주변 농경지로 비산하여 퇴적 및 잔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 및 농약 사용 관리를 위해 2019년부터 농약허용기준강화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를 시행하고 있는데, 농약 비산으로 인한 타 작물의 농약 검출로 농민 간 법적 분쟁이 발생하는 등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농약 비산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비산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농약비산은 약액 입자의 크기, 살포 특성과 같은 물리적 요인과 온도 및 습도, 풍속 및 풍향과 같은 기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아 실증적 규명에 한계가 있다. 또한 농약을 사용한 비산 실험 과정에서 인근 농경지의 소유주 및 주민들의 민원이 제기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실험에 적합한 장소를 마련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 실험을 통한 드론 방제에 따른 비산 특성의 실증적 규명을 위해 시험포를 구성하고, 살포 시기 및 기상 조건을 고려하여 비산되는 약액을 포집 방법을 정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구성한 시험포는 전라남도 나주시 전남대학교 농장에 위치하며, 주변 지역 비산을 측정하기 위해 85m × 75 m의 부지 내에 20 m × 20 m 구역을 특정하여 약액을 살포하고, 살포 지역으로부터 3 m, 9 m, 27 m 떨어진 지점에서 나일론 스크린을 활용하여 비산된 약액을 포집하였다. 드론은 E-616s로 국내 보급이 활발한 기종이며, 노즐은 국내·외 붐식(Boom Type) 살포기에 주로 이용되는 TeeJet™의 XR11002 노즐을 활용하여 풍속을 다양한 조건으로 적용하여 약액 살포 실험을 수행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