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 및 농어촌 지역 거주 청중년 여성 1인가구의 건강수준 특성 비교 연구

        김보람 ( Kim¸ Boram ),이경수 ( Lee¸ Kyung-soo ),정미영 ( Jung¸ Mi-yeong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3

        최근 부부와 자녀 중심으로 이루어진 가구 형태는 감소하고 1인가구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1인가구는 라이프 스타일, 삶의 변화 등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의 하나이다. 1인가구는 음주, 흡연, 비만 등의 건강생활행태에 있어 다인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높은 집단으로 양극화, 고령화, 여성화의 특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들은 신 건강취약계층으로 건강 사각지대에 놓일 가능성이 높아 향후 이들에 대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점차 증가하게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특히 여성 1인가구의 증가는 여성의 빈곤화를 초래할 수 있어 본 연구는 여성 1인가구를 대상으로 농어촌과 도시지역에 따른 두 집단 간의 건강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장년층 1인가구 여성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건강한 삶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공받은 2019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변수는 사회인구학적 특성,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 의료 이용, 정신건강, 사회적 연결망 및 사회활동 참여를 바탕으로 여성 1인가구의 거주지역에 따른 도시와 농어촌 두 집단 간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성 1인가구의 건강행태 및 수준을 보면, 청년은 생애주기 중 가장 건강한 시기이므로 농어촌과 도시 간 건강수준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중년의 경우, 주관적 불건강인지율(p<.001), 높은 현재흡연율(p=.013)과 고위험음주율(p=.038)의 불건강행태가 도시에서 높았고, 농어촌은 비만율(p<.001), 아침식사(주5-7회) 비율이 높았다(p=.009). 정신건강은 청년(p=.567)과 중년(p=.149) 모두 도시와 농어촌 두 집단간 스트레스 인지율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우울감 경험율은 청년(p<.001)과 중년(p<.001) 모두 도시가 농어촌보다 높았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연결망 및 참여는 청년의 경우 농어촌이 친척(p<.001), 이웃(p<.001)과의 만남이 도시 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사회활동은 친목활동(p=.040), 여가레저활동(p=.036), 자선단체 활동(p<.001)이 농어촌에 비해 도시가 더 활발하였다. 중년의 경우, 친척(p<.001), 이웃(p<.001)과의 만남이 농어촌이 도시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사회활동은 종교활동(p=.102), 여가레저활동(p=.145)은 도시에서 높았던 반면 친목활동(p=.381)과 자선단체활동(p=.364)은 농어촌에서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 동안 노인 여성 1인가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왔던 반면 청중년 여성 1인가구를 바탕으로 한 건강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청중년 여성 1인가구의 특성을 분석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이들의 건강증진 및 유지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Recently, the number of households centered on couples and children has decreased and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s increased rapidly. Single-person households are one of the factors that affect health, such as lifestyle and life changes.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olarization, aging, and feminization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so single-person households are likely to be in a health blind spot as one of a set of newly identified health vulnerable groups. Among them, the purpose is to analyze the health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main groups according to urban, farming, and fishing areas, especially focusing on single female households. According to the health behavior and level of single-woman households, young peopl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level among urban, farming, and fishing areas, because it is the healthiest time of their lives, but in middle age, subjective poor self-rated health(p<.001), high current smoking rates(p=.013) and high risk drinking rates(p=.038) was high in cities, and farming and fishing areas had an obesity rate of(p<.001), while breakfast consumption(5-7 times a week) rates were high(p=.009). Mental health in young people is(p=.567) and in middle-aged people recorded at(p=.14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recognition rates among urban, farming, and fishing areas, but both young people(p<.001) and middle-aged folk(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s cities were higher statistically than farming and fishing areas. Social networks and participation are related to young people in farming and fishing areas(p<.001) and meeting with neighbors(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ity, while social activities were social activities(p=.040), leisure activities (p=.036), and charity work(p<.001) was more active in the city than in farming and fishing areas. In middle age, connection to relatives(p<.001) and neighbors(p<.00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ity, and social activities such as religious activities(p=.102) and leisure activities(p=.145) were higher in the city while social activities(p=.381) and charity work(p=.364) was high in farming and fishing area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propose suggestions for the promotion and maintenance of healt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 female households in the target audience age group according to the region.

      • KCI등재

        장애 영유아의 아버지가 참여한 국내 연구 동향

        남보람 ( Nam¸ Boram ),장영선 ( Chang¸ Youngseon ),박지연 ( Park¸ Jiye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 영유아의 아버지가 참여한 국내 문헌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 영유아 아버지 지원의 실제와 후속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현재까지 수행된 장애 영유아 가족 참여 연구 중 아버지의 역할이 명확하거나 아버지 변인을 정확히 구분하여 제시한 연구 총 21편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동향과 연구설계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 영유아의 가족이 참여한 연구 중에서 아버지 참여가 명확하게 드러난 연구는 극히 소수였다. 둘째, 양적연구 16편 중 11편이 조사연구였으며 조사연구의 주요 주제는 양육참여, 양육스트레스, 행복감, 지원 요구 등이었다. 나머지 5편은 실험연구로, 아버지가 참여한 부모실행중재의 긍정적 성과를 보고하였다. 셋째, 질적 연구는 5편이었으며, 아버지의 양육경험을 기반으로 삶의 어려움과 극복, 성장 등이 제시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 영유아 아버지 참여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trends in Korean studies that involved the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implications on the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for the father support. Method: The articles that clearly describe the fathers’ involvement or specify the father-related variables were selected among the studies published from 2000 to the present. Twenty-one studies were selected and the overall trends were analyzed. As well, the studies were categorized by research design and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were analyzed for each category. Results: First, only a few studies have clearly demonstrated the father involvement. Second, 16 articles were quantitative research and 11 among them were survey studies. The main themes of the survey studies were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parenting stress, happiness, support needs, etc. The rest five experimental studies reported the positive outcomes as the results of parent-implemented interventions conducted by the fathers. Third, in the five qualitative studies, the fathers seemed to have overcome and outgrown the difficulties of life through parenting experiences. Conclusion: Suggestions for revitalizing the father involvement in interventions and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국가유공자를 간호하는 보훈병원 간호사의 자기자비, 적극적 대처 및 소극적 대처가 공감피로와 공감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보람 ( Lee¸ Boram ),안숙희 ( Ahn¸ Sukhee ) 부산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21 글로벌 건강과 간호 Vol.11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levels of self-compassion, active coping, passive coping, and compassion fatigue and satisfaction, and explore the influence of self-compassion, active coping, and passive coping on compassion fatigue and satisfaction among nurses working at veterans’ hospitals. Methods: A cor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The respondents were 148 staff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a year in the general ward of four veterans’ hospital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April 2019 vi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sults: The respondents’ mean age was 31.49±6.85 and clinical experience 8.82±6.67 years. While compassion fatig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urses having veterans in the family (t=-2.59, p=.010), compassion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aged 41 and above (F=4.18, p=.018), married (t=-2.38, p=.018), having a higher monthly income (t=-2.59, p=.010), and having a hobby (t=-3.34,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fatigue and satisfaction (r=.21, p=.010).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ompassion fatigue score was higher when nurses had veterans in the family(β=.21, t=2.68, p=.008), with a 4.8% explained variance. Nurses engaging in more active coping (β=.34, t=3.70, p<.001) and less passive coping (β=-.24, t=-2.89, p=.004), and having a hobby (β=.19, t=2.50, p=.013) reported higher levels of compassion satisfaction. Conclusion: More active coping and less passive coping impacted compassion satisfaction significantly. Thus, there is a need to provide support to nurses so that they can utilize effective ways of coping with stress to improve their compassion satisfaction.

      • KCI등재

        OECD Education 2030의 역량에 기초한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 체계 논의

        박보람 ( Park¸ Bo-ra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1 윤리교육연구 Vol.0 No.59

        OECD Education 2030의 교육과정 내용 맵핑은 교과 교육과정이 Education 2030의 역량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Education 2030에서 제시하는 28가지 역량 대부분은 2015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 및 성취기준에 반영되어 있다. 특히, “자신과의 관계” 영역에는 11개의 역량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영역에 기초하여 도덕과 교육과정의 영역과 내용체계를 재구성하며,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The mapping of curriculum content in OECD Education 2030 determine how well the curriculum reflects the competencies of Education 2030. In addition, it aims to obtain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curriculum that can cultivate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future society. Most of the 28 competencies presented in Education 2030 are reflected in the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particular, 11 competencies are reflected in the “relationship with yourself” a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domain and content system of the moral curriculum based on these areas, and to diversif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s.

      • KCI등재

        쓰기 과제 오류의 문법적 분석을 통한 교육 방안 연구 - 베트남 학습자의 쓰기 과제를 중심으로 -

        조보람 ( Cho¸ Bo-ram ),소인호 ( So¸ In-ho ) 택민국학연구원 2020 국학연구론총 Vol.0 No.26

        여러 언어 기능 중에 쓰기는 해당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 문제를 인지하고 생각을 체계화하여 정리하는 지적 기술이다. 또한 언어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의 언어 숙달도를 점검해 보는 도구이기도 하다. 한국어 쓰기는 정확한 문법과 풍부한 어휘표현력 등을 요구하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들에게는 언어 기능 중 가장 어려운 영역이기도 하다. 학습자의 한국어 쓰기 결과물을 통해 다양한 오류를 관찰할 수 있으며, 쓰기는 물론 문법 교육에 이르기까지 오류 분석을 통해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볼 수도 있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과제 결과물을 분석해 보았다. 쓰기 과정 중에 나타나는 오류를 유형별로 나누어 문법적으로 분석하고,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기초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문법, 어휘 교육 등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writing errors of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by type, and suggests an educational method that can be useful for overcoming writing errors in the field of education. It was performed through a grammatical analysis of writing errors that appear during writing exercises at a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 Among the various language functions, Korean writing is accepted as an intellectual skill that recognizes communication problems and organizes thoughts using the Korean language. It is also a tool to check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in the course of language learning. Moreover, writing in Korean is the most difficult area of language skills for Korean learners because it requires accurate grammar and abundant vocabulary. Various errors can be observed in the results of learners' Korean writing. Education methods can be explored through error analysis, not only in writing, but also in grammar education.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writing assignments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were analyzed grammatically, and the educational method was examined for errors in the writing process. Through the analysis of writing results based on these studies, discussions on writing, grammar and vocabulary education for Korean learners should continue.

      • KCI등재

        김유정의 「소낙비」에 나타난 ‘소리풍경’ 연구

        임보람 ( Im¸ Bo-ram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1 감성연구 Vol.- No.23

        이 글은 김유정의 「소낙비」에 나타난 소리의 형상을 ‘소리풍경’으로 읽어보고 그것의 의미를 밝혀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소리풍경’을 소설의 분석 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용어를 정의하고, 이 개념이 선행연구와의 관계에서 「소낙비」를 해명하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이 글은 작가가 독자에게 청자로서 ‘듣는’ 역할을 요구하기 위해서 소리의 수사적 상황을 구축하고 있다고 전제하며 출발한다. 작가가 서사적 요소들과 맺는 관계에서 비롯되는 소리의 효과를 중요한 소설의 기술방식으로 삼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지점이 독자가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소리를 듣는 과정이 소설 구조의 일부가 될 수 있다고 가정하는 이 글의 논의를 뒷받침한다. 본론에서는 작중인물들의 ‘듣는’ 국면이 중요하게 그려지고 있는 수사적 상황에 주목하여 서사 전개에서 소리의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본다. 소낙비가 내리는 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2장에서는 소낙비가 내리기 시작하는 상황을, 3장에서는 소낙비가 내리고/ 그치는 상황을 각각 분석한다. 2장에서는 ‘소리풍경’을 형성하는 매개체인 바람의 역동성을 밝히고, 3장에서는 소낙비 소리의 존재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소리풍경’의 양상을 분석한다. ‘소리풍경’은 ‘보는 풍경’이 아니라 ‘들리는 풍경’이다. 이 풍경에서는 언제나 청자가 상정되기 때문에 소리의 감각을 기반으로 소리 주체와 청자의 공동 관계가 형성된다. 소설의 내적구성이 이 관계와 효과를 담지하기 때문에 ‘소리풍경’은 작중인물의 감각과 심리, 독자의 상상력, 소설의 구조와 서사 등을 만들어내는 역동적 힘을 지닌다. 나아가 ‘소리풍경’은 작가의 주제 의식까지 아우를 수 있는 수사학적 장치로 기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연구에서 윤리적으로 문제 되었던 아내 팔기 모티프의 부정성을 미학적 층위에서 다시 고찰할 수 있는 지점을 마련해 준다. This article attempts to read the shape of the sound in “Sudden Shower” as Soundscape and reveal its meaning. To this end, this article defines the term so that Soundscape can be used as an analysis framework for novels, and attempts to examine how this concept plays a role in clarifying “Sudden Shower” in its relationship with previous studies. This article starts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author is building a rhetorical situation of sound to ask the reader to play the role of ‘listening’ as a listener. This is because this article believes that the effect of sound resulting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or and the narrative elements is an important method of description of the novel. This point supports the discussion in this article, assuming that the process of the reader listening to sound through literary imagination can be part of the novel structure. In the main topic, we look at the aesthetic structure of sound in narrative development, paying attention to the rhetorical situation in which the ‘listening’ phases of the characters in the work are depicted as important. Chapter 2 reveals the dynamics of the wind as a medium that combines sound and scenery to form a Soundscape. Chapter 3 analyzes the aspect of the Soundscape of the shower rain, focusing on the situation in which the shower rain falls and the situation in which it stops. Soundscape is not ‘visible Scenery’ but ‘hearing Scenery.’ In Soundscape, listeners are always assumed, so a common relationship between the sound subject and the listener is formed to realize a sense of being together. Since the inner composition of the novel contains this relationship and effect, Soundscape is a rhetorical device that has the dynamic power to create the senses and psychology of the person in the work, the reader's imagination, the structure and narrative of the novel, and can encompass theme consciousness. Therefore, the Soundscape provides a point where the negativity of the motif of selling wire, which was ethically problematic in existing studies, can be reconsidered at the aesthetic level.

      • KCI등재

        19세기 경화학계 개혁론의 가치 지향과 현실 대응

        한보람 ( Han¸ Bo-ram ) 한국사상사학회 2021 韓國思想史學 Vol.- No.67

        본 논문은 서울을 지역적 기반으로 하는 경화학계, 그 중에서도 18세기 연암그룹의 인적 네트워크와 사상적 특징이 19세기 박규수 계열 개혁세력에게 어떻게 이어지고 있었는지를 고찰하는 작업이다. 지금까지 18~19세기를 연속적으로 바라보고자 한 연구 경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며, 18세기의 실학을 19세기의 개화사상과 연결시키는 시도가 대표적이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시도는 ‘전근대적’ 유학에서 ‘근대적’ 실학을 분리시키거나 개화사상의 ‘근대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개화사상을 전통사회의 연결고리와 분리시켜 따로 세우려는 노력으로 인해 오히려 조선후기의 역사적 맥락과 단절시키는 결과를 낳은 측면이 있다. 또한 19세기개혁 세력, 특히 ‘개화파’ 인물들 대부분을 박규수라는 한 인물의 문하로 단순히 연결시키는 경향도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서울 지역을 기반으로 한 ‘개화파’ 인물들의 인적 연결망의 범위를 18세기 노론 경화학계의 인적 네트워크까지 확장하고, 그 속에서 연암그룹의 연결망을 더 세밀하게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박지원과 홍대용의 사상과 교유, 박지원과 노론 경화학계의 학맥, 혼맥, 친족의 연결고리, 소론과 교유와 연대 등 다양한 인적 연결망을 살펴보고, 그러한 네트워크가 세대를 넘어 19세기 박규수 계열 개혁세력으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복원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대표적인 개화파 인물 유길준이 일반적으로 박규수 문하로 설명되어 왔지만 민영익 계열과 친밀한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었던 측면도 살펴보았다. 또한 연암그룹과 박규수 계열 개혁세력의 개혁론이 ‘사(士)’의식과 집권층의 책임의식, 전통적 가치와 체제에 대한 신뢰를 기반으로 한 보수성 등에서 공통된 가치 지향을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책임의식이 기반이 되어 19세기 박규수 계열이 농민항쟁과 개국이라는 현안에 대처함에 있어 민생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하는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었던 점을 짚어보았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ideological features and networking of the Capital Based Learned Circles which has a regional base in Seoul, particularly the Yeonam Club, had descended to the reform force affiliated with Park Gyu-su. Previous research has viewed the 18-19<sup>th</sup> centuriessequentially, typically attempting to connect 18<sup>th</sup>-century Silhak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with 19<sup>th</sup>century’ senlightenment ideology. However, these attempts result in severing enlightenment ideology from historical contex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ecause most previous studies have tried to distinguish modern Silhak from premodern Confucianism or separate enlightenment ideology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to emphasize the modernity of the enlightenment idea. In addition to this,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simply link most of the enlightenment party to Park Gyu-su’s affiliates. Motivated by these concerns, this research seeks to expand the enlightenment party’s networking range, whose regional base was Seoul, to that of Noron’s Capital Based Learned Circle, understanding the detailed network within the Yeonam Club. By examining the ideology and social intercourse between Park Ji-won and Hong Dae-yong, a variety of networking in school and marriage ties and domestic relations between Park Ji-won and Noron’s Capital Based Learned Circles, and social intercourse and solidarity within Soron, this study aims to restore the linkage between these networks and the next generation’s reform force affiliated with Park Gyu-su in the 19thcentury. Within these efforts, this research also investigates how Yoo Gil-joon, who was are presentative figure of the enlightenment party,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Min Young-ik’s affiliates, even though Yoo has been perceived as a pupil of Park Gyu-su. The Yeonam Club and the reform force affiliated with Park Gyu-su shared the value orientation in terms of classical scholarly consciousness, a ruling clique’s sense of responsibility, and conservatism based on the confidence in the traditional value and system. From this sense of responsibility, Park Gyu-su’s affiliates had been preparing countermeasures to cope with the uprising of the peasants and port opening, putting the most emphasis on the stabilization of the people’s livelihood; this research critically discusses these aspec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