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강의평가 운영에 대한 교수 인식 분석

        최금진(Choi Keum jin),권성연(Kwon Soung youn),김은정(Kim Eun jeong),박일수(Park Il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대학교육의 질 관리 체제로서 운영되는 강의평가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충북 소재 A대학교 교수들을 대상으로 강의평가 실태와 강의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 강의평가문항의 적절성, 강의평가(운영 및 결과활용)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A대학 126명 교수의 설문지에 대해 빈도와 백분율 등 통계분석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의평가결과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확인한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강의평가 방법의 타당성과 강의평가의 신뢰성에 대해서는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과목에 대한 흥미, 강좌 난이도, 교수의 열정 요인 순으로 강의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강의평가 문항 가운데 상호작용 및 수업참여, 수업방법 및 매체, 교재 및 학습자료 등 주로 방법적인 측면의 문항을 보다 적절하다고 인식하였고 수업을 통해 향상된 역량 정도, 학습내용과 분량, 평가방법의 적절성 문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넷째, 강의평가 개선방안과 관련하여, 강의평가 참여자로 학생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교수 자신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기말 강의평가 1회 실시, PC 및 모바일 접속을 통한 온라인 강의 평가 방법에 대한 선호가 높았으며, 강의의 질 제고에 초점을 둔 강의평가, 담당 교과목 교수에게만 평가결과 공개, 강의평가 결과가 낮은 교원에게 교수법 연수 실시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 강의평가의 주요 이해 당사자인 교수의 인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강의평가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fessor’s perception on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of course evaluation for educational quality management. For this purpose, the professors in A university in Chung-buk province were surveyed to identify their perception of the current state, the relevance of questionnaires and the improvement of course evaluation. A total of 126 professors from A University were asked questionnaire of perception on course evalu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rofessors interested in and checked the results of course evaluation, but their preception of validity of evaluation method and reliability of course evaluation result were low. Second, students’ interest in a course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make course evaluation, and difficulty of a course, professor’s passion were influential factors in order on course evaluation. Third, among the course evaluation questions, facilitating interaction and engagement during the class, instructional method and media, text book and teaching material were relevant questions, however, the qu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through the course, the composition and quantity of the course content, evaluation method in a course were perceived as irrelevant. In addition, the differentiation of questionnaire depending on the lecture type was preferred. Fourth, more than half of the professors regarded student as the most appropriate course evaluation, and the next was professor himself. Implementing course evaluation once per semester, complementary mobile evaluation method, Focusing on the quality improvement, undisclosed evaluation result except oneself, were preferred to improve course evalu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course evaluation by analyze the perception of professor, important stakeholder of course evaluation.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교육실습 경험의 교육적 의미 탐색

        최금진(Choi, Keum Jin),박선희(Park, Sun Hee),조성희(Cho, Sung Hee)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COVID-19 속 중등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경험을 분석하여 교육적 의미를 분석하고 중등 교육실습 운영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H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등 예비교사 40명의 반성적 글쓰기와 비구조화된 설문지 응답을 빈도분석과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COVID-19의 영향으로 교육실습 동안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을 병행하거나 직접 수업을 하지 못한 예도 있었으며, 학생상담의 기회 역시 없는 경우가 많았다. 교육실습의 의미는 교직에 대한 확신을 가진 시간, 진로 결정에 대한 고민의 시간, 성장과 보람의 시간, 중등교사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동기를 부여하는 시간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은 교수내용지식에 대한 전문성을 비롯하여 7개로 정리되었다. 교육실습 전 대학의 교육지원으로는 실질적이면서 온라인 수업을 대비한 교육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실습과정의 어려운 점으로 실제 수업 경험에 대한 반성과 해결해가는 과정에 대한 어려움,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학생들을 참여하게 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 학생과의 관계 형성을 위한 노력, 비대면 수업을 진행함에 따른 혼란과 어려움, 제한적인 교육실습 기회에 따른 피드백과 소통 부족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등 교육실습제도의 개선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prospective secondary school teachers during COVID-19 and analyze the educational meaning by drawing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of secondary education practices. To this end, reflective writing and ill-structured questionnaire responses of 40 prospective secondary school teachers attending H University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text mining techniques. According to the analysis,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there were cases where face-to-face classes and non face-to-face classes were not available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period, and there were often no opportunities for student counseling.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practice was found to be a time to gain confidence in the teaching profession, to contemplate career decisions, to improve and gain worth, and to motivate and change the percep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skills required by teachers were organized into 7 categories included expertise in contents knowledge. It was found that more practical education support and preparations for online classes were needed as the educational support that universities should provide before training. Also, the difficulties that they experienced during the training included reflecting and solving real-life classroom experiences, efforts to effectively engage students in classes, building relationships with students, confusion and difficulties due to non face-to-face classes, and the lack of feedback and communication due to the limited opportunities for education practi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on the improvement of the secondary education teaching practicum system were proposed.

      • KCI등재

        조선대학교 기계공학프로그램의 교육목표(PEO) 평가 사례연구

        최금진(Keum-jin Choi),고현선(Hyun-Sun Go),박길문(Gil-Moon Park) 한국공학교육학회 2012 공학교육연구 Vol.15 No.6

        This paper has been studied to evaluate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PEO) for mechanical engineering program at Chosun University.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were set up the educational goals with relationof college educational objectives and ability or quality of engineers after 3 years of graduation, and educated the basic competance of engineers are the equipments of high-level education enviroments, faculty and curriculum for effective engineering educations. This paper were to announce PEO to current students, to establish and to improve PEO throughout accesment and analysis of PEO evaluation. The improvement and documentation of PEO accesement system, collecton and analysis of PEO were conducted industial surveys for engineers graduated this program. The results are served as a substantial basis for setting furture educational goals, renewed PEO by the closed loop and making decision for quality of engineering education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This study would be comfined measurements, analysis and achievements of PEO for graduated engineers in this program.

      • KCI등재

        ツア一コンダクタ一」の感情勞동が職務態度に及ぽす影響

        최금진 ( Keum Jin Choi ),이정순 ( Jung Soon Lee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3 觀光硏究 Vol.28 No.4

        대표적인 서비스상품의 제공자라고 할 수 있는 여행사의 여행인솔자(T/C)는 고객과의 접촉시간 및 빈도가 집중적으로 높다고 할 수 있다. 여행인솔자는 접객과정에서 고객만족을 제고시키기 위해 본심과는 다른 감정표현 및 감정관리가 요구되어지는 감정 노동자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행인솔자의 감정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및 그 영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직요인이 무엇인가를 밝히고자 구조방정식모델을 통해 그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감정노동의 정도가 강할수록 감정소모의 발생이 증가하고, 감정소모는 직무불만족 및 서비스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향의 정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상사지원 및 동료지원으로 나타났다. 상사지원 및 동료지원의 정도가 낮은 그룹일수록 감정소모가 서비스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조직요인은 감정소모의 조절요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여행인솔자(T/C)의 감정 관리는 직무만족과 대고객서비스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ur of tour conductors on their job attitudes and organisational factors, which may regulate the extent of their influence. I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ose influencin g factor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more intense emotional labour becomes, the worse emotional exhaustion grows and that emotional labour influences job dissatisfaction and service attitudes. It also shows that the elements which regulate the extent of the influence and have meaningful differences are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 support. In sum,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emotion management of tour conductors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has effect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service attitudes.

      • KCI등재

        영국의 고등교육과 질 관리 평가에 관한 연구

        최금진(Choi, Keum-J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5 比較敎育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영국 고등교육 평가제도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평가제도가 안정적으로 본정착할 수 있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영국의 고등교육현황, 질 관리를 위한 고등교육 평가제도의 시행배경, 고등교육평가의 평가체제, 그리고 고등교육에 대한 재정 및 법적 기반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정책적 시사점 및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질 보장과 향상, 그리고 책임성 확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자율과 외부 평가 사이의 조화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의 경쟁력과 고등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하여 국가적 질 기준에 부합되면서도 국제적 표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평가기준 및 지표개발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구성원인 학생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평가에 반영하고 학생들이 평가활동에 다양하게 참여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넷째, 현장방문평가를 자체평가결과에 따라 융통성 있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대학에 지원한 재정지원금에 대한 자율적 운영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대학이 질 개선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일 수 있도록 평가결과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대학에 대한 재정지원은 정부가 직접 통제・관리하는 것보다 재정지원기구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Higher Education Review of England. This will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Higher Education Evaluation System of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major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Higher Education status of England and trial background of Quality Management Evaluation were analyzed. Second, Evaluation System of Higher Education Riview were analyzed.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balance between autonomy of university and external evalu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ppraisal standard and indicator which to improv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and reinforcement of university competitiveness. Third, it is necessary to reflect opinion of student and actively to participate in evaluation activ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operate site visit Evaluation flexibly as the result of self evaluation. Fifth, it is necessary to be draw up measures which to guarantee autonomous management. Sixth, in order to continue the effort for university quality improvement, evaluation results are needed to use. Seventh, it is necessary that financial support to university use the financial support organization, not government control.

      • DPEAC 평가단계에 따른 학교컨설팅 효과분석

        최금진(Keum Jin Choi),박선희(Sun Hee Park)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4 학습과학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DPEAC<SUP>3</SUP> 평가단계를 적용하여 학교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학교컨설팅이 적절하게 시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컨설턴트와 의뢰인의 인식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설문응답자는 2011~2013년 컨설턴트 경험이 있는 55명과 의뢰인 74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진단평가영역의 경우 컨설턴트 입장에서는 학교를 이해하고 분석하고 해결안을 제시하는 역할수행에 필요한 자료제공을 충분히 받지 못한고 업무를 수행한 것으로 인식한다. 둘째, 계획 평가영역의 경우 컨설턴트가 학교에 평가를 나가기 전에 학교에서 제시하는 아젠다를 충분하게 들을 기회가 미약하다는 것이다. 셋째, 탐색 평가영역의 경우 컨설턴트들은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하였지만 의뢰인 입장에서는 좀더 많은 해결책을 제시하기를 원했다. 넷째, 종료 평가영역의 경우 컨설턴트는 보고서를 자세하게 기술하였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의뢰인 입장에서는 좀 더 완벽한 체계적인 보고서를 원했다. 마지막으로 의뢰인의 자발성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지원과 아젠다별로 전문화된 컨설턴트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er aims to apply DPEAC Evaluation Stage. Then, the researchers examined whether school consulting is applying accurately. Then, they analyzed the effects of evaluation model according to the stages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consultants as well as clients. The 55 consultants and 74 clients completed the surve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elicited from the study. First, in terms of diagnosis evaluation area, consultants responded that they had usually completed their tasks without receiving sufficient information. Therefore, they reported that they were not given enough information about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schools. Second, in terms of plan evaluation area, consultants reported that they were not given sufficient opportunities to explore the background of school agenda before their consultation. Third, regarding exploration evaluation area, the consultants believed that they had offered various solutions. However, the clients responded that they had wished to receive more diverse solutions. Lastly, in terms of conclusion evaluation area, the consultants reported that they had created a well-prepared report whereas the clients wished to receive more detailed, completed, and systematic reports. In conclusion, political service with client"s spontaneity and special consultant with agenda are requested.

      • KCI등재

        주요국의 대학평가체제 비교 분석

        최금진(Keum-jin Choi)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미래교육학연구 Vol.17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valuation system of academic organization evaluation betwee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 university[college]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decide o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So various countries are strengthening evaluation about higher education to manage quality of university. This study was purposed to understand the evaluation system of academic organization evaluation and to acquire suggestion on the institutional accreditation. Evaluation system consist of evaluation subjects, evaluation purposes, evaluation standards, evaluation method and evaluation result utiliz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y compared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England, Japan, and Korea. An academic evaluation of each nation was according to evaluation purposes and direction of academic policy. However, there were some common factors on the whole. The common elements of the evaluation system are as follows: First, all countries(America, England, Japan) operate the independent assessment organization to evaluat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Second, the purpose of an academic evaluation is to manag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Third, each countries(America, England, Japan) take self-evaluation of University[college] seriously. Fourth, external expert execute on-site evaluation. Finally, evaluation results is reported to University[college] quickly and accurately. The research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independent assessment organization to assure the specialization and to conduct proper and fair college evaluations. 오늘날 대학교육이 국가경쟁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됨에 따라 세계 각 국에서는 대학의 질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 대학에 대한 평가 및 평가인정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의 대학평가와 우리나라 대학평가인정제의 평가체제를 비교 분석한 연구로 국가별로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는 대학평가의 평가체제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대학평가인정제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대학평가체제는 평가주체, 평가목적, 평가대상, 평가기준, 평가방법, 평가결과의 활용 등으로 구성되며, 각 국의 대학평가는 대학정책의 방향과 평가목적에 따라 평가방법이 달라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 몇 가지 공통적인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고등교육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문적인 평가기구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 , 둘째 , 대학교육의 질 향상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 셋째, 대학의 자체평가를 중시하고 있다는 점, 넷째, 외부전문가가 현지방문평가를 수행하고 있다는 점, 다섯째, 평가결과는 대학에 신속ㆍ정확하게 보고된다는 점 등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볼 때 대학평가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도 대학평가를 전담하는 전문적인 평가기구의 설립을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공과대학 신입생의 학습전략 활용을 위한 학습양식 분석

        최금진(Keum-jin Choi),김지심(),신동은() 한국공학교육학회 2011 공학교육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arning strategies by learning style of first-year engineering students in order to find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in engineering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73 first-year students in two universities in Korea. Following were the results: First, there were Sensing learners(72.2%), Visual learners(84.6%), Reflective learners(64.8%), and Sequential learners(58.2%) and the level of learning strategies was 3.28(SD=0.38). Secondly, the finding revealed that there was on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strategies on Information processing dimension and Active students demonstrated higher level of learning strategies than Reflective students. To be more specific,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meta-cognitive, and internal and external management. For engineering education, implications for teaching strategies in classroom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공학교육프로그램 인증기준 비교 연구

        곽진숙(Jin-Sook Kwak),강소연(So-Yean Kang),최금진(Keum-Jin Choi)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공학교육프로그램 평가에서 전제되고 있는 교육의 개념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 초기 Washington Accord 가입국을 중심으로 공학교육프로그램 인증기준을 비교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인증기준을 재구조화한 연구다 여기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교육의 개념은 ‘교육=학교태’, 기능주의적 교육관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공학교육프로그램의 평가기준을 분석하기 위해 평가영역을 교육의 결과, 교육의 환경, 교육의 과정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평가기준을 교육의 내적인 구성요소와 교육의 환경이나 결과 등 교육의 외적인 관련 요소로 나누는 것은, 교육의 질을 높이고 개선해나가고자 하는 공학교육 인증제의 본래적 취지에 부합할 것이다 이는 공학교육인증제가 타당성과 신뢰성이 있는 교육평가로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고, 공학교육이나 교육평가 분야의 이론적인 안목을 확대하는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research, we examine the concept and its problems of the education which has been presupposed in the education evaluation program, compare the criteria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maintained by the members of the Washington Accord. Based on this study, we also reconstructed the accreditation criteria. Typically they assume the equality: 'education=schooling', or they have a functionalism. Next we divided the range of the educational evaluation into the result, the surroundings and the procedure of education, in order to analyse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We argue that this division into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constituents better suits the original aim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to enhance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lso it will work positively to make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evolve to the education accreditation. Finally, it is expected to enlarge the theoretical viewpoints on the area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and the education evaluation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