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따른 창의성의 변화 비교

        우수경(Soo Kyeong Woo),김호(Ho Kim),박숙희(Sook Hee Par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 수준에 따른 창의성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T광역시 소재 유치원의 만 4세 유아 147명을 대상으로, 우수경(2002)의 유아 사회적 능력 검사와 전경원(2001)의 유아 도형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 째, 사회적 능력이 높은 유아들이 낮은 유아들보다 창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능력과 창의성 측정 시기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능력이 높은 유아들의 창의성은 측정 시기마다 점점 증가한 반면, 사회적 능 력이 낮은 유아들은 창의성이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였다. 둘째, 창의성 하위요인별 로 볼 때, 유창성, 독창성, 개방성은 사회적 능력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민감성은 차 이가 없었다. 그리고 창의성 하위요인 중 독창성은 사회적 능력과 독창성의 측정 시 기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능력이 높은 유아들의 독창성 은 측정 시기마다 점점 증가한 반면, 사회적 능력이 낮은 유아들은 독창성이 증가했 다가 다시 감소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change process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social competence. Participants consist of 147 kindergarten children in T-city. The instruments are Woo``s(2002)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cale and Chon``s(2001) the Korean Figural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hild’s creativity differs according to the child’s level of social competence. Children displaying high social competence demonstrate, as time goes by, increased creativity. Second, a child’s fluency, originality, and openness differ according to the child’s level of social competence, though no difference is observed regarding sensitivity. An interaction effect is found in originality and social competence such that a high level of social competence is associated, as time goes by, with an increase in originality.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조절책략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우수경 ( Soo Kyeong Woo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개인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정서지능과 정서조절책략 및 교수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지와 정서지능과 정서조절책략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48명을 대상으로 하여 세 변인을 Likert 5점 척도로 검사하고 t검증과 변량분석, Pearson적률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은 연령, 경력 및 기관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고,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학력이 대졸이상인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높았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은 정서지능 및 정서조절책략의 내면행위 및 자연행위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친 변인은 정서활용과 내면행위 및 표면행위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differs by personal backgrounds, how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teaching efficacy are related each other, and how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ffect teaching efficacy. Two hundred forty eight teachers of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Gyeonggi-do responded to the five-point Likert-scale questionnaires measuring aforementioned variables. A series of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revealed following results: First, teaching efficacy did not differ by age, career, and institution types, while teaching efficacy differed by academic background. Specifically, teachers with bachelor’s or higher degree showed higher teaching efficacy. Second, teaching 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Third, teaching efficacy was affected by the usage of emotion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behaviors.

      • KCI등재

        영아의 성, 연령, 놀이성, 사회정서발달과 어린이집 적응 간의 구조분석

        우수경(Woo, Soo-Kye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영아 변인의 종합적인 이해를 위하여 영아의 성, 연령, 놀이성 및 사회정서발달과 어린이집 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 만 1세, 만 2세 반에 재원 중인 18개월 이상 영아 281명을 대상으로 하여, 담임교사가 영아의 놀이성, 사회정서발달 및 적응을 평정하였다. SPSS를 이용하여 연구도구의 내적합치도를 산출하고,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기술통계를 산출하고, 상관분석을 하였다. 변인들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Mplus로 측정모형과 구조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놀이성은 영아의 적응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연령은 영아의 적응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놀이성과 사회정서발달에 직접 영향을 미침으로써 놀이성을 통하여 영아의 적응에 간접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은 영아의 적응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놀이성과 사회정서발달의 상관을 통하여 영아의 적응에 간접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fants’ sex, age, playfulnes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their adaptation to daycare centers in order to get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affecting infants’ adaptation to daycare centers. For this purpose, teachers rated playfulnes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281 over-18-month-old infants attending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internal consistenc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SPSS.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were then analyzed with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s using Mplus. Three main results were found: First, infants’ playfulness had direct effects on their adaptation to daycare centers. Second, infants’ age seemed to indirectly affect their adaptation to daycare centers through its direct effects on playfulness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ird, infant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lso seemed to indirectly affect their adaptation to daycare centers through its correlation with playfulness.

      • KCI등재

        영아의 성과 연령, 영아교사의 민감성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및 영아의 놀이성 간의 구조분석

        우수경(Woo, Soo Kyeo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3

        본 연구는 영아의 성과 연령, 영아교사의 민감성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및 영아의 놀이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18개월 이상 영아 318명(남아 181명, 여아 137명)과 이들의 담임교사 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아의 담임교사가 평정한 자료를 수집한 후 SPSS로 연구도구의 내적합치도를 산출하고,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변인들 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Mplus로 구조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민감성은 영아의 놀이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연령은 영아의 놀이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영아교사의 민감성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에도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영아의 놀이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영아교사의 민감성과 높은 상관을 보임으로써 영아의 놀이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fants’ sex and age, teachers’ sensitivity,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infants’ playfulness. Participants were more-than-18-month-old 318 infants (181 boys and 137 girls) attending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ir 74 teachers. Using SPSS, internal consistency analyses, factor analyses, descriptive analyses,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all of which were rated by teachers. Structur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Mplu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interested variables, that is, infants’ sex, infants’ month-age, teachers’ sensitivity,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infants’ playfulness. Following results were revealed: First, teachers’ sensitivity directly affected infants’ playfulness. Second, infants’ month-age had direct effects on their playfulness as well as teachers’ sensitivit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Third, teacher-infant interaction did not show direct effects on infants’ playfulness but had indirect effects on infants’ playfulness via its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with teachers’ sensitivity.

      • KCI등재

        영아교사의 학력, 경력, 민감성, 교수효능감 및 어린이집 기관풍토와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분석

        우수경(Woo Soo K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교사의 학력, 경력, 민감성, 교수효능감 및 어린이집 기관풍토와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서울과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 영아반 담임교사 23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8년 8월 1달간이었다. SPSS를 이용하여 연구도구의 내적합치도를 산출하고,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변인 간 관계 분석을 위하여 Mplus로 측정모형 분석과 구조모형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민감성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가장 큰 직접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다음으로 영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경력은 교수효능감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관풍토는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교수효능감과 민감성에 대한 영향과 상관을 고려할 때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fant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career, sensitivity, teaching efficacy, daycare centers’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in order to get a comprehensive grasp of teacher variables affecting teacher-infant interactions. Participants were 233 teachers of one- or two-year-olds who attended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nd survey was conducted in August 2018. Internal consistenc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firstly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followed by measurement and structure model analyses using Mplu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input variables. Structure model analyses revealed following results: First, sensitivity had the biggest direct effe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followed by teaching efficacy. Second, infant teachers’ career showed a direct effect on teaching efficacy and indirect effect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Third, daycare centers’ organizational climate had no direct effe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but seemed to affect indirectly teacher-infant interactions taking its effects on and correlations with teaching efficacy and sensitivity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 KCI등재

        유아 문제행동의 변화 양상 및 영향 요인 분석

        우수경(Woo, Soo-Kye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5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의 5~7차년도(2012~2014) 자료를 활용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종단적 변화 양상을 밝히고,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과 통제적 양육행동, 또래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유아의 문제행동은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 및 또래 상호작용과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둘째, 연령별 문제행동 잠재계층의 비율과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문제행동을 많이 보이는 유아의 비율은 점차 줄어들었다. 셋째, 문제행동 잠재계층의 종단적 변화를 확인한 결과 잠재계층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비율이 잠재계층의 변동성을 반영하는 비율보다 높았다. 넷째, 연령별 문제행동 잠재계층에 대한 횡단적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높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긍정적일수록 유아의 문제행동 증후는 줄어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using the 5<SUP>th</SUP> to 7<SUP>th</SUP> wave data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is to investigate how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had been changed over years and affected by mother’s warm or controlling parenting,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First finding from correlation analysis was that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 with mother’s warm parenting and peer interaction. Second, analyzing the proportions and characteristics of latent classes revealed that the proportion of young children with heavy problem behaviors tended to decrease as young children’s age increased. Third, analyzing the longitudinal changes in latent classes showed that the proportions of young children who had stayed in the same latent class over years were higher than those of young children whose latent classes had changed. Finally, cross-sectional analysis on the influential factors in latent classes showed that mother’s warm parenting and peer interaction tended to decrease the symptoms of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 KCI우수등재

        성별에 따른 유아의 정서능력과 관련변인간 구조 분석

        우수경(Soo Kyeong Woo),최기영(Kee Young Choi) 한국아동학회 2002 아동학회지 Vol.23 No.6

        Child`s temperament, cognitive ability, social competence, mother`s affective child rearing and positive expression, father`s positive expression, and teacher`s positive expression were the variables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EC). Subjects were 20 teachers and 236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Data were analyzed by LISREL (Linear Structural Relations), a statistical program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boys` social competence and mother`s affective rearing behavior directly influenced the EC of boys; boys temperament and cognitive ability, and positive expressions of their teachers indirectly influenced the EC of boys. Girls` temperament and social competence directly influenced the EC of girls; their cognitive ability, mother`s affective child rearing behavior, and positive expressions of mothers and fathers indirectly influenced the EC of girls.

      • KCI등재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관련변인간의 구조 분석

        우수경(Woo Soo Kye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양육행동, 아버지의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양육참여도, 그리고 교사의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또래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어머니의 양육행동, 교사의 긍정적 정서표현성 및 또래관계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긍정적 정서표현성의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동시에 또래관계,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related variables (mother's positive expression and rearing behavior, father's positive expression and rearing involvement, teacher's positive expression, and peer relation).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0 teachers, 385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Chongju-si and Daejon-si. Data were analyzed with USREL, a statistical program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whether 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fitted the collected data well. Results foun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directly influenced by mother's rearing behavior, teacher's positive expression, and peer relation. Mother's positive expression, father's positive expression, and father's rearing involvement had indirect effects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directly influenced peer relation, mother's rearing behavior, and father's rearing invol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