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기술정보콘텐츠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모델 수립 및 적용 사례

        신성호(Sung-Ho Shin),이민호(Min-Ho Lee),이원구(Won-Goo Lee),윤화묵(Hwa-Mook Yoon),성원경(Won-Kyung Sung),김광영(Kwang-Young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11

        국내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장은 작년 기준으로 3조 6,633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데이터베이스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맞물려,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의 중요성도 날로 높아지고 있다. 고객 위치를 찾아주는 g-CRM이나 고객에게 상품을 추천하는 맞춤 설계 기능 등은 모두 고객 데이터베이스, 상품 데이터베이스,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이 결합되어야 구현 가능한 서비스들이다. 스마트 비즈니스의 핵심 인프라도 통합되고 완전하며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및 통합 과정의 효율적인 수행 방안이나 데이터 검증 방법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타입으로 존재하는 과학기술분야 콘텐츠들을 대상으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모델을 설계하였고, 모델을 기반으로 실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수행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결과에 대한 검증을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완전성, 데이터값의 일관성, 관계의 일관성을 검증하였고, ANSI/ASQ Z1.4-2003에서 제시된 샘플링 검사 기법도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모델 수립에 의한 체계적인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수행은 데이터베이스 정합성 및 데이터값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고, 고품질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다. The domestic market of database in Korea is estimated to be over 3.663 trillion won. The data migration is getting to be more important along with the continuous growth of the database industry. g-CRM and private recommending function are examples of the service that can be given through coupling among customer database, product database, geographic information database, and others. The core infrastructure is also the database which is integrated, perfect, and reliable.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es on efficient way of data migration and integrating process and investigation of migrated data though trends of database in IT environment as above. In connection with this issue, we have made a model for data migration o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ontents and suggest the result of data migration process adapting that model. In addition, we verified migration's exhaustiveness, migration's consistency, and migration's coherence for investigation of migrated data and database. From the result, we conclude data migration based on proper model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atabase consistency and the data values correctness and is essential to maintain high qualified database.

      • KCI등재

        유아교육과 지원자의 유아에 대한 이미지와 입학 후 유아에 대한 이미지 변화 연구

        성원경(Won-Kyung Su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지원자의 유아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보고 합격자를 대상으로 유아교육 전공 1학년 과정을 마친 후 유아에 대한 이미지가 변화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자 지원자 328명과 합격한 후 1학년을 마친 25명이었다. 자료수집방법은 그림 그리기 은유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내용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교육과 지원자들의 유아에 대한 이미지는 ‘정성, 사랑, 관심이 필요한 존재’, ‘가르치고 이끌어야 하는 존재’, ‘자유분방하고 개성이 있는 존재’, ‘밝고 순수하여 행복을 주는 존재’, ‘학습과 성장 잠재능력을 가진 존재’ ‘여리고 연약한 존재’로 나타났고, 입학 후 1년이 지난 시점에는 교사로서 자신이 가르쳐야 하는 대상으로 이해하고 유아기에 대한 발달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이미지로 변화하였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images of children possessed by applicants for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find out how the images of children have been changed when the applicants have entered the department from successful applicants. Study subjects were 328 applicants for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25 students who passed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completed the first year. Data were collected by painting metaphors and the contents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the images of children possessed by applicants for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beings that require sincerity, love, and attention’, ‘beings that must be taught and led’, ‘beings that are liberal and characterful’, ‘beings that are bright and pure and give happiness’, ‘beings that have potential for learning and growth’ and ‘beings that are soft and weak’ and when one year had passed after the entrance into the department, the images of children possessed by the students were changed into the subjects of teaching by the students as teachers and images based on developmental knowledge of childhoo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좋은 전공수업의 특징 및 의미

        성원경(Sung Won-Kyung),이춘자(Lee Choon-J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전공수업의 특징과 그 특징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대전, 전남?북 지역 4년제 유아교육과 4학년 144명이고 질문지를 통한 조사를 하였다. 질문지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이 인식한 좋은 전공 수업의 특징은 수업방법, 교수특성, 수업내용, 평가, 개인적 관심사 및 수업환경과 연계되어 나타났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좋은 전공 수업의 의미는 현장감 있는 수업, 직접 해보는 수업, 학습에 도움이 되는 과제, 생각할 수 있는 수업, 좋은 교수님의 수업이었다. 이와같은 결과는 학자들이 제시한 좋은 수업의 특징과 유아교육과의 전공 특성이 혼합되어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예비교사의 입장에서 좋은 전공수업의 특징과 그 의미는 유능한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좋은 수업을 위해 유아교사양성교육과정에서 반영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좋은 수업이 갖는 상대성을 고려하여 더 많은 변인을 고려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meaning of good major teaching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d to give suggestion o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144 students who are seniors in early childhood departments(at seoul, daejeon, chonam?buk)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of their answers indicat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good major teaching were teaching method, professors' characteristics, teaching contents, evaluations, individual concerns and teaching environments. A meaning of good major teaching perceive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as a teaching that connected theory into practice, a teaching by doing, a teaching that helpful learning assignment (presentations), a teaching the allowed student to think and good professors' lecture.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a mixture of characteristics of good major courses and features that scholars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good major cour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from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and the meaning of good major teaching need to be reflected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train well-qualified teachers. Further study is needed to considerate the wide a variety factors that influence good teaching.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그림 그리기를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수업 이미지 분석 -교육실습 전,후를 중심으로-

        성원경 ( Won Kyung Sung ),이춘자 ( Choon Ja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문화연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에 대한 이미지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D시 소재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69명의 예비교사이다. 연구방법은 그림 이미지를 작성하여 수업(활동) 유형과 교사역할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그림 내용을 중심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습 전과 후에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난 수업유형은 이야기나누기였고, 실습 후에 가장 증가한 활동은 게임이며, 가장 낮은 빈도를 보인활동은 동극, 음악 감상, 요리였다. 둘째, 실습 전에 비해 실습 후에는 수업과 관련하여 유아활동이 강조된 이미지에서 교사의 교수행동이 강조된 이미지로, 교실환경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교수매체에 대한 인식으로, 이상적 수업이미지에서 현실적 이미지로, 교사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미지로 변화하였다. 셋째, 교사의 역할은 실습 전과 후에 모두 교수자의 역할 이미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역할 이미지 내용은 초·중등학교 교사와는 다른 유치원 교수학습방법의 특성을 드러난 교수자 역할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age of teaching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were 69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university located in D City. The study instructed the subjects to produce metaphoric papers by drawing pictures, and then analyzed the resulting contents with a focus on the frequency of activities and teachers` roles, as well as the pictures. This study found that after a practicum, firstly, storytelling was the most frequently shown teaching pattern and playing games was the activity that showed the highest increase in frequency. Dramatic activities, listening to music, and cooking exhibited the lowest frequencies. Secondly, in relation to teaching, the subjects showed a shift in their original emphasis on children`s activities to an emphasis on teachers` teaching behavior. Their typical awareness of the class environment was also moved to an awareness of educational materials. Moreover, their focus on ideal images of teaching was shifted to practical images of teaching while stressing the importance of teachers` language. Thirdly, in terms of the role of teachers, ``instructors`` yielded the highest frequency both before and after the student teaching. The contents of this role image revealed the role of instructors which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methods in kindergarten teachers, unlike in elementary or second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성원경(Sung Won-Kyung),이춘자(Lee Choon Ja),조인경(InKyung Cho) 한국육아지원학회 2010 육아지원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교육과정 실행 연구의 기초 단계로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 의 인식과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에 대한 인식을 교사의 직접 면담을 통해 심층적으로 살펴보는데있다. 연구대상은 공사립유치원 교사 17명이며, 비구조적 심층 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자료는 내용분석을 거쳐 의미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교육과정은 중요한 것이지만 유치원 수업 실제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중 교사의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일일계획안을 작성할 때 활동목표 진술과 목표 진술에 따른 교육과정 관련 요소를 작성할 때 였다. 셋째, 교사들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와 국가수준의 유치원 교육과정을 혼동하고 있었다. 넷째,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자료는 실제 수업에서 활용도가 높지 않고 여러 가지 문제로 인터넷 자원을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사들은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을 수업에 적용시키는 것을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is study is a basic stage of a study on the practice of kindergarten curriculum and is purposed to review in depth, how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bout kindergarten curriculum and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activ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7 teachers of public/private kindergartens through non-structural in-depth interviews. The meanings of data obtained were derived through content analy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teachers were thinking that, although curriculum were important, curriculum did not affect the practice of kindergarten lessons. Second, the curriculum affected teachers when the teachers were stating the objectives of activities to prepare daily plans and when the teachers were preparing factors related to the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 statements. Third, the teachers confused 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wi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Fourth, the teachers could not utilize 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properly, however, they were utilizing internet resources frequently for various reasons. Fifth, the teachers perceived that it was difficult to apply kindergarten curriculum to lesson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학업효능감과 테크놀로지 사용의도 간의 관계 : 테크노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원경(Sung, Won Kyung),하지영(Ha, Ji Young)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81 No.-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학업효능감과 테크놀로지 사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테크노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3학년 학생 141명이며,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수집하고,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반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학업효능감이 높을수록 테크노스트레스가 낮고, 테크놀로지 사용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테크노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테크놀로지 사용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업효능감 하위요인 중 과제난이도선호와 테크놀로지 사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테크노 불확실성의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효능감과 테크놀로지 사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테크노 복잡성의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최근의 사회적 변화에 따라확대되고 있는 대학에서의 온라인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향후 유치원 교육현장에서 테크놀로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논의를 제공하고자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chnostr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cademic efficacy and intention to use technolog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1 students in the 1st to 3rd grade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D City, collecting data through questionnaires and analyzing statistics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higher the academic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the lower the technostress, the higher the intention to use technology, and the lower the technostress, the higher intention to use technolog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and intention to use technology has been fully mediated with techno uncertainty.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ory effectiveness and the intention to use technology has been partially mediated by techno complexity. This study aims to provide discussions to help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tively participate in online classes at universities that are expanding in line with recent social changes and efficiently utilize technology in kindergarten education in the future.

      • 시맨틱 웹 기술 기반 정보서비스 시스템 OntoFrame<SUP>®</SUP>

        성원경(Won-Kyung Sung),이승우(Seungwoo Lee),한선화(Sun-Hwa Hahn),정한민(Hanmin Jung),김평(Pyung Kim),이미경(Mikyung Lee),박동인(Dong-In Park)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8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8 No.1

        시맨틱 웹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정보서비스 시스템인 OntoFrame<SUP>®</SUP>은 연구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제공하는 학술정보 분석ㆍ융합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목표로 한다. 본 시스템은 현재 학술정보를 지식 체계로 표현한 온톨로지와 이에 맞게 학술정보를 관리하고 가공하여 지식화하는 OntoURI<SUP>®</SUP>, 이 지식을 기반으로 추론을 수행하고 고속의 탐색 기능을 제공하는 OntoReasoner<SUP>®</SUP>로 구성되어 있다. 단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존의 검색 시스템과는 달리, 본 시스템은 시맨틱 웹 기술을 바탕으로 학술정보에 대한 연도별 토픽 경향, 연관 토픽, 토픽별 연구자와 연구기관, 연구자 네트워크, 통계 정보, 지역적 분포 등과 같은 보다 의미적인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As an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semantic web technology, OntoFrame<SUP>®</SUP> takes aim at a framework for providing analysis and fusion services of academic information. It currently consists of three parts: ontologies representing knowledge schema derived from academic information, OntoURI<SUP>®</SUP> which makes academic information into knowledge, and OntoReasoner<SUP>®</SUP> which performs inference and search on the knowledge. Unlike existing search engines which provides simple search services, our system provides, based on semantic web technology, several semantic and analytic services such as year-based topic trends in academic information, related topics, topic-based researchers and institutes, researcher network, statistics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academic information.

      •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내용 지식과 수학적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성원경 ( Won Kyung Sung ),이춘자 ( Choon Ja Lee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2 실천유아교육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유아수학교육내용 지식과 수학적 교수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A, B 대학 예비유아교사 73명이다. 유아수학내용지식은 개념도를 통해, 수학적 교수효능감은 질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내용 지식과 수학적 교수효능감과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내용 지식과 수학적 교수 효능감 중 결과기대 효능감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내용 지식과 수학 교수 능력신념 효능감과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과목 내용지식을 잘 배우면 앞으로 잘 가르칠 수 있게 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내용지식을 잘 배우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arly childhood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This study`s subjects are 73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from two four-year universities, A and B, situ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ir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were analysed using a concept map and a questionnaire,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c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arly childhood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nd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Second,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arly childhood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nd outcome expect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re was static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arly childhood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nd efficacy expectation. The above results mean that pre-service teachers` good learning of a specific subject`s content knowledge leads to their excellent teaching, and therefore good learning of content knowledge is cruc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