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미시체계 변인 탐색

        박성혜(Park Seong Hye),김광웅(Kim Gwang Ung) 한국아동학회 2003 아동학회지 Vol.24 No.4

        The daily hassles of 5-year-old children were explored and analyzed as microsystems in order to discover the relative importance of ecological factors in children`s daily hassles. The subjects were 322 children, their mothers and 34 teachers recruited from 5 kindergartens and 15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Kyonggido province. Children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with pictures showing certain stressful situation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mothers and teacher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microsystem variables of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we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explaining children`s daily hassles.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policies and regulations on child-care facilities be carefully developed and strictly regulated.

      • KCI등재

        삼국유사 「아도기라」조의 아도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박성혜(Park, Seong Hye) 한국구비문학회 2018 口碑文學硏究 Vol.0 No.50

        본 연구는 삼국유사 흥법편 「아도기라」조의 신화적 성격을 규명하는 데 있다. 그간 「아도기라」조는 신라 불교의 초전자(初傳者)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 역사적 사실을 두고 역사학계에서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아도기라」조는 설화적으로 재구성된 기사이기 때문에 역사적 사실 판단에 앞서 ‘「아도기라」조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왜 그렇게 형성되었는지’와 같은 텍스트의 내적 연구가 긴요하다. 「아도기라」조는 <아도본비>라는 비석을 인용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형상화된 아도의 어머니 고도령은 신라와 가야 지역에서 전승되던 성모(聖母) 신화의 대모신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아도는 그에게 닥친 위기를 조력자의 도움 없이 스스로 극복한다. 특별히 아도가 스스로 무덤을 만들고 들어가는 <아도본비>의 결말은 불교 설화의 ‘칠엽굴’을 상기시키며, 부처의 전생담인 자카타(Jākata)에 나타난 굴의 속성과 유사하다. 따라서 아도가 스스로 죽음을 선택한다는 것은 전불시대부터 예견된 신라의 불교 전파를 몸소 실현할 뿐만 아니라, 신화적 인물의 죽음을 통해 불교가 새롭게 시작되는 기원 신화의 의미도 갖게 된다. 일연은 <아도본비>를 인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석담시전」을 끌어와 신라 불교의 초전 시기를 조정한다. 그의 이러한 조정은 신라에 불교를 최초로 전한 아도가, 신라 최초의 불사인 흥륜사에서 가장 처음으로 신라에 불교를 전했다고 하는 내용을 구성한다. 「아도기라」조는 첫 인물, 첫 공간, 첫 시간이라는 각각의 상징을 집약시키며, 신라 불교의 초전에 대한 형상화를 마무리한다. 「아도기라」조는 앞서 살펴본 텍스트 내부의 특징 외에도, 삼국유사의 흥법편 서두에 배치되어 있는 점, 고승전과 비교하였을 때 고대 신화의 신화소를 간직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불교 전파의 기원에 대한 신화로 구성되었을 것이라는 본고의 추론이 강화될 여지를 준다. 신라 불교 기원 신화로서 「아도기라」조는 신성한 역사를 구성한다. 그리고 구성된 역사는 서사라는 형식을 통해 설명되고, 신화의 속성 상 아도의 행적은 향유자들에게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을 것이다. 일연의 이 작업은 불교사의 첫머리에 ‘신이’한 행적을 기술한 것으로 흥법편과 기이편이 ‘신이’라는 동일한 키워드를 근간으로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Adokira section of the Heungbeob(興法) chapter of the Samguk Yusa. This section concerns Ado, who introduced Silla to Buddhism.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ascertaining such historical facts as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and who introduced it. However, the section itself is composed of myths and folktales, so before discussing historical facts, we must first examine the text from a literary perspective. Adokira includes quotes from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of Ado (‘Ado Bonbi‘), which depicts Ado‘s mother Godoryeong as being like the ‘Great Mother‘(Daemo) of the Sungmo myth that had previously been passed down in the Silla and Gaya regions. Ado is also depicted as having the ability to perform miracles, overcoming various crises without any help. The ending of the tale, in which Ado makes and steps into his own grave, is particularly reminiscent of the Buddhist folktale of the Saptaparni Cave. and his grave bear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caves mentioned in the Jataka(stories of the former lives of Buddha). By choosing to die, Ado personally brings about the propagation of Buddhism in Silla as foreseen before the time of Buddha. Moreover, his tale is also significant as the origin myth of a new start through the death of a mythical character. Ilyeon not only quotes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of Ado, but he also lifts content from the Seokdamsijeon(釋曇始傳) to recreate the early period of the spread of Buddhism in Silla. In this recreation, Ado, the first messenger of Buddhism, first introduces Silla to Buddhism at Heungryunsa(興輪寺), the first Buddhist temple. In Adokira , harmony is achieved between man, space and time, and the section concludes with a literary portrayal of the beginning of the propagation of Silla Buddhism.

      • KCI등재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박성혜(Park Seong-Hye),박수미(Park Su-Mi),우정희(Woo Jung-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7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이 가정환경변인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지역에 위치한 S유치원에 다니는 만 4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125명이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배경변인에 따라서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 전체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 하위변인 중 자녀의 지지는 어머니의 학력, 유아의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전체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하위변인인 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 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에서 유아의 성별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변인들은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 중 부모-자녀관계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하위변인인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전체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의 하위변인 중 부모역할 갈등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하위변인 중 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시도하기, 감정이입 및 조절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전체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o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thei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re different from variables of home environment,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5 children of age 4 and their mothers from private kindergarten in Bu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of mo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totally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 but a considerable difference according to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gender of a child from the viewpoint of the children's support among the sub variables of mo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Second, we could see that there was a considerable difference from the gender of a child with respect to the children's overall prosocial behavior and their sub varialbes of leadership, helping, communication, initiative-concerns, trying proximity, sharing, empathy and self-regulation. Third, when poring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we could not find any positive difference. we identified tha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mong the sub variables of mo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are correlated with the sub variables of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such as helping, communication, initiative-concerns, sharing, empathy and self-regulation as well as children's overall prosocial behavior.

      • 운동기구 자가발전을 이용한 전기료 인하 서비스

        박성혜 ( Seong-hye Park ),이안나 ( An-na Lee ),정다운 ( Da-un Jeo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2

        탄소중립 실현이 중요해지면서 에너지 공간 조성 사업 확장으로 에너지 자립 공원이나 자가발전 운동기구가 설치되고 있다. 이는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하며 신재생 에너지 사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현재 발전기로 발전한 에너지를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사용할 수 없는 아쉬움이 있다.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동기부여와 주민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발전한 전력으로 가구의 전기료 할인이나 기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안하였다.

      • KCI우수등재

        공공 노인체육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성혜 ( Park Seong-hye ),권기남 ( Kwon Ki-nam )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4

        본 연구목적은 Parsons의 AGIL 기능분석틀을 적용하여 공공 노인체육사업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례연구와 텔파이기법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arsons의 AGIL 기능분석틀을 적용하여 공공 노인체육사업에 따른 문제점을 살펴보면, 적응 기능으로는 노인체육 예산의 명확한 분류가 미흡하고 중복 서비스 실행으로 인한 예산 낭비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달성 기능에서는 과도한 업무와 제도상의 제약이 문제로 나타났고, 통합 기능에서는 부처별 노인지도자 배치기준의 차이, 노인체육 관련 부서별 연계 부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형유지 기능에서는 참여자의 인식부족과 노인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수업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공 노인체육사업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제시된 개선방안은 노인체육 전담예산 수립, 지자체 고정적인 예산확보, 사업추진기관의 일원화, 부처별 사업 재정립,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의무화, 사후관리를 위한 후속조치 사업 마련, 노인 운동지도사의 지침 일원화, 전담 시스템 및 부서신설, 노인 맞춤 체육활동 매뉴얼과 프로그램 개발 및 보완, 노인체육사업 소개 및 홍보 강화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oblems related to public elderly sports projects by applying Parsons’ AGIL function analysis framework, and to suggest improvement based on thi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case study and Delphi Method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daptation function lacks a clear classification of the elderly sports budget and it appears that there is a problem of budget waste due to the execution of redundant services. In the goal attainment function, excessive work and institutional constraints appeared to be a problem, and in the integration function, the differences in the placement criteria of the elderly leaders by department and the lack of connection by departments related to the elderly sports appeared to be problems. Also, in the latent pattern maintenance function, the participants’ lack of awareness and classes that fail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ppeared to be problems. Second, the improvement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problems presented in the public elderly sports project were the establishment of a budget dedicated to sports for the elderly, securing a fixed budget for local governments, unification of business promotion agencies, redefinition of business by department, education mandatory for improving job competency, the preparation of follow-up projects for follow-up control, unification of guidelines for the elderly exercise instructor,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system and department, development and supplementation of manuals and programs for personalized physical activities for the elderly, and to introduce and promote the elderly sports project.

      • KCI등재

        의례를 통한 단군신화의 와해 : 와우리 단군전을 중심으로

        박성혜(Park, Seong Hye)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7

        본고는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와우리 단군전을 중심으로 이곳에서 전승되는 의례가 단군신화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의미를 만들어가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군사묘는 전국적으로 약 40여개가 있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그 중 와우리 단군전은 현전하는 단군전 중에서 그 유래가 가장 오래되고, 단군 영정을 보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매년 두 번씩 단군전에서 의례를 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지금까지 신화와 의례의 관계를 다룬 논문들은 주로 무속신화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고, 건국신화의 경우 현재적인 사례를 확인한 경우는 없다. 따라서 21세기에 단군 의례가 단군 신화와 서로 어떻게 연관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확인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와우리 단군전은 1910년대에 한 대종교인이 단군영정을 가지고 와서 제향을 드리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의례를 제대로 수행할 수도 없었고, 영정을 보관하는 것도 어려웠으나 해방 이후 지역민들이 단군전을 세우고 단군 영정에 제향을 하다가 1987년 현재의 단군전을 중건하기 시작하고, 의례도 유교식으로 재정비하여 지금까지 이르렀다고 한다. 이곳에 봉안된 단군영정은 20세기 초반에 대종교를 중심으로 전승되던 단군신화에 형상화 된 것으로 신화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단군신화와 비교했을 때 신화도상은 단군으로 의미가 집약되는 것이 특징이다. 단군전은 어천제와 개천제가 지켜지는 것, 영정이 봉안된 것을 근거로 단군영정을 봉안하던 천진전의 전통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의례의 참여자들은 일상과 다른 정형적인 행동의 반복을 통해 신화보다 초점화된 신화적 관념(mythical concept)의 단군을 만나고, 단군이 구현한 세계의 당위성을 행위로 추인하며, 의례의 참여자들에게 이를 현시한다. 행동을 통해 강화된 신성성의 감각은 이미 신화도상이라는 형식을 통해 의미가 집약된 신화적 관념(단군)을 한번 더 응집시키고, 고양시킨다. 그러나 의례의 통해 고양된 신화적 관념은 단군신화와 함께 전승되지 못한다. 단군이라는 신화적 관념이 의례를 통해 고양되는 과정에서 천신에서 국조로 그 의미가 바뀌었고, 신화적 관념에 필요한 형식을 신화적 서사 대신 단군영정과 의례를 수행하는 행위가 대체했기 때문이다. 의례와 관련해서 신화는 와해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서사(mythical narrative)가 완전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단군전의 의례는 단군전이라는 장소의 유래와 의례라는 행위의 타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증거물인 단군영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단군영정은 이제 그 자체로 영정의 역사성과 단군전 의례의 연원을 설명해주는 유래담의 핵심 증거물이 된다. 그리고 단군신화가 와해된 자리에 단군 영정의 유래담이 확장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ritual performed around the Wawoori Dangun Shrine in Unsan-myeon, Seosan-si, South Chungcheong Province, crafts meaning in the context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Dangun myth. The Wawoori Dangun Shrine originated in 1910 when a Daejonggyo believer brought the Dangun portrai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hrine and gave an offer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was not possible to properly perform any rituals, nor was it easy to preserve the portrait, but after the liberation, locals erected the Dangun shrine and gave offerings before the portrait. In 1987, repair work on the shrine began, and the ritual was reorganized according to Confucian ideals into the ritual that continues to be passed down today. The portrait enshrined in this place is a visualization of the Daejongism-centered Dangun myth that was transmit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such, it can be considered a mythical icon. In comparison to the Dangun myth, this mythical icon concentrates its focus on Dangun himself. As evidenced by the preservation of the Dangun portrait and the observation of Eocheonjeol and Gaecheonjeol, the Dangun Shrine can be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the tradition of Cheonjinjeon (Dangun Portrait houses), which enshrined Dangun portraits.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ritual encounter a more focalized mythical concept of Dangun than in the myth through a series of fixed actions that are a departure from the ordinary, endorse the rightfulness of the world realized by Dangun through their actions, and make this manifest to the other participants of the ritual. The sense of sacredness intensified through such actions once again enhances and binds together the mythical concept (Dangun) that has already been focalized through the mythical icon. However, the Dangun myth is not transmitted alongside the mythical concept that is enhanced through the ritual. This is because, as the mythical concept Dangun became enhanced through the ritual, its significance was transformed from that of a divine entity to that of a founding father, and the mythical narrative was replaced by the Dangun portrait and the act of ritual performance as forms necessary for the mythical concept. Although the myth collapses in relation to the ritual, this does not mean that the narrative disappears altogether. This is because the ritual of the Dangun Shrine, which is sustained for the sake of transmitting tradition, possesses the Dangun portrait, which acts as evidence of the validity of the origin of the Dangun Shrine and the performance of the ritual. The Dangun portrait is now in itself a key piece of evidence in the origin tale that explains the source of the Dangun Shrine ritual and the historicity of the portrait. In place of the collapsed Dangun myth, the folktale of the Origin of Dangun portrait is growing.

      • KCI등재

        근대 일본어 조선 설화집에 수록된 단군 신화의 양상

        박성혜(Park Seong-hye) 국문학회 2022 국문학연구 Vol.- No.45

        본고는 근대에 출판된 일본어 조선 설화집에 수록된 단군 신화의 현황을 확인하고 그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의 논의 결과 단군 신화가 수록된 일본어 조선 설화집은 1891년부터 1943년까지 총 13종이 확인된다. 그리고 여기에 수록된 단군 신화는 단군론 기술 여부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단군론이 기술되지 않은 단군 신화는 󰡔동국통감󰡕에 수록된 단군 신화나 󰡔삼국유사󰡕 「고기」형의 서사 단락을 매우 요약하여 기술한 것과 󰡔삼국유사󰡕 「고기」형의 서사 단락을 수용하면서 각색한 것으로 구분된다. 1891년의 텍스트에 수록된 단군 신화는 󰡔동국통감󰡕을 전재한 것으로, 일본인들은 󰡔동국통감󰡕의 이해에서 비롯된 단군 신화를 바탕으로 단군을 한반도의 역사적 기원으로 인식한 것을 볼 수 있다. 1908년도의 텍스트는 주몽과 단군을 헷갈리기도 한다. 두 번째로 󰡔삼국유사󰡕 「고기」형의 서사를 각색한 경우 곰과 호랑이의 변신과 곰과 환웅의 결연에 초점을 맞춰 각색하였으며 이 흐름은 1919년부터 1943년 설화집까지 꾸준히 이어졌다. 이는 이 설화의 향유자들이 단군이 탄생이나 고조선의 건국에 관심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며, 단군 신화의 신성성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고 곰의 변신담과 곰과 환웅의 결연담으로만 소비된 것이다. 다음으로 단군론이 기술된 신화는 일선동조론을 강조한 것과 단군 신화가 일연에 의해 날조되었다는 주장으로 구분된다. 이 두 경우 모두 󰡔동국통감󰡕이나 󰡔삼국유사󰡕의 단군 신화를 그대로 전재한 후, 자신들의 의견을 뒷받침해줄 자료들을 연이어 배치한다. 일선동조론을 주장하는 경우 자신들의 주장에 대한 본격적인 근거를 제시하기보다 관련된 사료를 연이어 배치하는 방식으로 서술하고 있으며, 단군 신화의 날조설을 주장하는 경우 당시 일본인 학자들의 근거를 답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This paper studies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the Dangun Myth in Joseon legendry written in Japanese in Modern era. This paper discovered that a total of 13 Japanese Jo Joseon legendry texts containing the Dangun myth were published between 1891 and 1943. These 13 tex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whether they include a description of Dangun discourse. First, Dangun myths which do not refer to Dangun discourse can be divided into the two sub types. One type summarizes the Dangun myths in Dongguktonggam, or Samgukyusa and the other type are adaptations of the Dangun myth in Samgukyusa. First, the Dongguktonggam record of the Dangun myth was composed in 1891. It is indicated that the Japanese people recognized Dangun as the historical origin of Korea. Another text composed in 1908 confuses Jumong and Dangun. Second, in the case of the adaptation of the myth of Samgukyusa, the narratives focused on the transformation of bear and tiger and the marriage of the bear and Hwanung, and this trend continued from 1919 to 1943. This shows that the storytellers were not interested in Dangun s birth or the founding of Gojoseon, and the Dangun myth was no longer considered sacred. The national myth was transmitted and enjoyed only as a folktale. Next, the myth in which Dangun discourse is described can be divided into those that emphasize the theory of Japan and Korea’s ancestral homogeneity and those that claim that Dangun myth was fabricated. In both cases, the Dangun myths of Dongguktonggam or Samgukyusa were fully reprinted. Meanwhile the texts arguing that the Dangun myths were fabricated followed the arguments that had been put forward by contemporary Japanese scholars.

      • KCI등재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예측변인

        박성혜 ( Park Seong Hy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0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3 No.6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practicing elementa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The PCK instrument was used to measure elementa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t consists of 6 factors to measur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1)instructional methods. 2)representations, 3)contents, 4)evaluations, 5)students, and 6)curriculum. A questionnaire that consists of 7 questions regarding the teachers` degree, their number of years of teaching, their choice of teaching science, their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their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tion, their science instructional methods, and their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was also used to identify the information as to significant predictors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sample of 332 practicing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determin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practicing elementa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ere their number of years of teaching, their science instructional methods, their personal science leaching efficacy and their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Further research of how teachers develop and construct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recommended especially through the use of varied research methodologies that include qualitative method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