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지학적 분석을 통한 임원경제지 섬용지 영조기사의 구성과 특징 연구

        이강민,Lee, Kang-Min 한국주거학회 2010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1 No.4

        Imwongyeongjeji, Administration of Our Daily Life in Woods and Fields, is a sort of encyclopedia compiled by Seo, Yoo Goo in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This voluminous work is made up of 16 chapters with various references including many articles dealing with architecture. The chapter Seomyongji covering the daily necessities contains a number of methods and materials of building construction.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se articles is that they are mostly from Joseon's books. It is not similar to other chapters which are made of quotations from Chinese books. Especially, he quoted many of articles about architecture from his own work Geumhwagyeongdokgi, Record of Plowing and Reading in Geumhwa. In addition, He selected only empirical knowledge, put it in the book, and commented on it in his judgment. These article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architectural knowledge in late Joseon period.

      • KCI등재

        Cyclic testing of weak-axis steel moment connections

        이강민,Rui Li,정희택,Liuyi Chen,오경환 국제구조공학회 2013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An International J Vol.15 No.5

        The seismic performance of six types of weak-axis steel moment connections was investigated through cyclic testing of six full-scale specimens. These weak-axis moment connections were the column-tree type, WUF-B type, FF-W type, WFP type, BFP-B type and DST type weak-axis connections. The testing results showed that each of these weak-axis connection types achieved excellent seismic performance, except the WFP and the WUF-B types. The WFP and WUF-B connections displayed poor seismic performance because a fracture appeared prematurely at the weld joint due to stress concentrations. The column-tree type connection showed the best seismic behavior such that the story drift ratio could reach 5%.

      • KCI등재

        言語資料로서의 『韓語訓蒙』

        李康民 한국일본학회 1999 日本學報 Vol.43 No.-

        本稿는 에도(江戶)時代 日本에서 만들어진 韓國語 學習書 『韓語訓蒙』의 資料的 性格을 日本語史의 입장에서 살펴 보고자 한 것이다. 『韓語訓蒙』에 대해서는 安田章(1966)에 의하여 書名이 學界에 紹介된 以來, 藤井茂利(1989)에서 日本語의 表記法과 副詞類를 중심으로 한 語彙의 문제가부분적으로 검토되었으며, 李康民(1996)에서는 獨自的인 입장에서 그 書誌的 槪要가 記述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러시아 東方學硏究所에 所藏되어 있던 아스톤(W.G. Aston)本 『韓語訓蒙』이 學界에 공개되어 本書에 대한 전면적인 檢討가 요구되는 時點을 맞이하고 있다. 따라서 本稿에서는 現存하는 3種(沈壽官本, 京都大本, 아스톤本)의 『韓語訓蒙』을 比較 分析하여 그 資料的 性格을 檢討해 보고자 한 것이다. 조사 결과, 『韓語訓蒙』은 沈壽官本이 筆寫된 1834年 以前의 그리 멀지 않은 時點에 日本의 苗代川(현 九州鹿兒島)에서 作成된 것으로 推定된다. 또한 그 속에 內在되어 있는 韓國語本文과 日本語對譯은 古寫本系 『交隣須知』의 영향을 적지않게 받은 것으로 判明되었다. 따라서 本書의 解讀에 있어서는 古寫本系 『交隣須知』 와의 대조 작업이 필요불가결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本書에는 「見ゐ」의 命令形이나 副詞「ヅンド」와 같이 그 나름의 獨自的인 言語 現象도 確認된다는 점을 看過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처럼 本書의 日本語에는 『交隣須知』의 延長線上에서 취급될 수 있는 要素와 더불어 本書의 獨自的 要素가 散在되어 있으며, 이를 가려내는 作業은 에도 (江戶)時代의 韓國語 學習書에 記載된 日本語의 性格을 理解하는 데에 있어서 적지 않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本書의 韓國語에는 方言形으로 推定되는 語形이 散見되는데, 이와 같은 現象에 대해서도 앞으로 檢討되어야 할 흥미깊은 課題라 아니 할 수 없을 것이다.

      • KCI등재

        『倭語類解』와 『日語類解』 (1) ―上卷의 대조분석을 중심으로―

        이강민 한국일본학회 2011 日本學報 Vol.89 No.-

        本稿は、『倭語類解』(1783 88年刊)と、それを1912年に改訂した『日語類解』を対照分析し、語彙史研究資料としての両本の持つ意味を考えてみようとしたものである。日本語語彙をハングルで記した『倭語類解』は、従来、日本語音韻史の資料として注目されてきた。しかし、『倭語類解』を改訂した『日語類解』の存在は、両本の持つ語彙史研究資料としての性格をより鮮明にしてくれるのではないかと思う。そのための一つの試みとして、本稿では、『倭語類解』と『日語類解』の上巻を対照分析し、その変化の様相を追跡してみることにした。対照分析の結果、両本の間に見える日本語の変化には、近代語の言語現実を反映しているものがあり、利用の仕方によっては、近代日本語の語彙史研究に様々な情報を提供し得るもの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また、両本に語項目として登場する二字漢字語には、近代韓国語の語彙研究に活用できる事象が散見されており、今後のより細密な検討が必要であるように思われる。

      • KCI등재

        고력볼트 길이에 따른 체결 특성 평가

        이강민,김강석,나환선,이현주,오경환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5 No.6

        고력볼트 길이-직경비가 5d 이상인 경우, 시험을 통한 결과를 활용하여 현장에서 볼트 체결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을뿐 길이-직경비에 따른 별도의 규정 및 지침은 없다. 국내에서는 고력볼트 체결법으로 너트회전법이 아닌 토크관리법이 적용하고 있고 최근에는 KS B 2819의 ‘구조물용 토크-전단형 고장력 볼트’(이하, TS 고력볼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길이 인자에 따른 규정이 국외 기준에 비해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TS 고력볼트의 길이인자에 따른 적정 축력 도입을 위한 소요 너트회전각 및 토크를 분석하여 길이변수에 따른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실험결과의 분석에서는 통계분석 프로그램 Minitab을 활용하여 길이변수에 대한 유효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length parameter of high strength bolts results in the variance in tensile loads. The required turn of nut for each length is specified in AISC RCSC specification. There is no specific regulation datum about the bolt length in the two national codes and specifications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evaluating influence of the clamping torque subjected to length parameter of high strength bolts. Two types of high strength bolt specimens were manufactured and tested; High Strength Hexagon bolt specified in ASTM A490 and Torque Shear Bolt in KS B 2819. The length parameter ranged from 60mm(3d) to 140mm(7d). The torque, turn of nut, and the clamping force were analyzed to review whether length parameter affects on the required tensile strength.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length parameter on the torque and turn of nut for the required strength and clamping force, statistical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 KCI등재

        안면 기준선에 따른 CT 영상 기반 안와 방사선 최적 촬영 각도에 대한 후향적 연구

        이강민 한국방사선학회 2025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9 No.1

        본 연구는 안면골 CT 데이터를 분석하여 안와 방사선 검사 시 해부학적 장애를 최소화하고 최적의 촬영 각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안면 기준선에 따라 안와이공선(Orbitomeatal line: OML)(17°, 18°, 19°)과 안와하이공선(Inferior Orbitomeatal line: IOML)(11°, 12°, 13°)을 기준으로 100건의 CT 영상을 평가한 결과 OML 18°와 IOML 12°에서 정량적 화질과 육안적 평가 모두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정량적 평가는 각각 OML과 IOML 기준으로 각도별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와 대조도대잡음비(Contrast Noise to Ratio: CNR)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부위는 총 4가지 위치로 안와상벽, 안와하벽, 안와내벽, 안와외벽이었다. 최종 결과는 정량적 평가에서 OML 각도별 방사선사(Radiological Technologist: RT) 그룹에서 18°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평균 SNR은 안와상벽(7.1 ± 0.2), 안와하벽(9.5 ± 0.2), 안와내벽(8.6 ± 0.2), 안와외벽(10.7 ± 0.3), CNR은 각각 5.5 ± 0.1, 6.2 ± 0.1, 5.7 ± 0.1, 6.6 ± 0.2로 측정되었으며 서로 그룹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SNR: p = 0.1–0.9, CNR: p = 0.1–1.0). IOML 각도별 방사선사 그룹의 평균 SNR은 안와상벽(7.6 ± 0.2), 안와하벽(8.7 ± 0.3), 안와내벽(9.6 ± 0.5), 안와외벽(9.5 ± 0.4), CNR은 각각 6.7 ± 0.1, 7.1 ± 0.2, 7.8 ± 0.2, 7.9 ± 0.1으로 측정되었으며 서로 그룹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SNR: p = 0.1–0.9, CNR: p = 0.09–0.8). 정성 평가에서는 OML 18°가 4.7 ± 0.5로 가장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으며 17°에서 평균 점수는 2.3 ± 0.5로 가장 낮았다. IOML 평가에서는 12°에서 4.6 ± 0.5으로 가장 높은 점수였으며 11°에서 2.2 ± 0.4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최종 결론은 안와 골절 진단을 위한 방사선 검사에서 정확한 검사 각도는 중요하며 OML 18°와 IOML 12°가 정량적 화질 및 육안적 평가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음을 밝혔다. This study aimed to minimize anatomical obstructions in orbital radiographic examinations by analyzing facial CT data and identifying optimal imaging angles for improved diagnostic accuracy. By evaluating CT images at various angles based on the Orbitomeatal Line (OML: 17°, 18°, 19°) and Inferior Orbitomeatal Line (IOML: 11°, 12°, 13°), the study aimed to establish precise radiological standards for orbital fracture assessment. A total of 100 CT images were assessed to determine the optimal angles that minimize petrous ridge overlap with the orbit. Quantitative analysis measured Signal-to-Noise Ratio (SNR) and Contrast-to-Noise Ratio (CNR) across four orbital walls: Superior orbit wall (SW), Inferior orbit wall (IW), Medial orbit wall (MW), and Lateral orbit wall (L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 (RT) group exhibited the highest values at an OML angle of 18°. The mean SNR for each region was as follows: SW (7.1 ± 0.2), IW (9.5 ± 0.2), MW (8.6 ± 0.2), and LW (10.7 ± 0.3). The corresponding CNR values were 5.5 ± 0.1, 6.2 ± 0.1, 5.7 ± 0.1, and 6.6 ± 0.2,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SNR: p = 0.1–0.9, CNR: p = 0.1–1.0). Similarly, at IOML 12°, the average SNR for the RT group was as follows: SW (7.6 ± 0.2), IW (8.7 ± 0.3), MW (9.6 ± 0.5), and LW (9.5 ± 0.4), with corresponding CNR values of 6.7 ± 0.1, 7.1 ± 0.2, 7.8 ± 0.2, and 7.9 ± 0.1,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SNR: p = 0.1–0.9, CNR: p = 0.09–0.8). In qualitative assessment, OML 18° achieved the highest score of 4.7 ± 0.5, while OML 17° had the lowest score of 2.3 ± 0.5. For IOML, 12° received the highest score of 4.6 ± 0.5, whereas 11° scored the lowest at 2.2 ± 0.4. In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critical importance of precise imaging angles in radiographic examinations for orbital fracture diagnosis. OML 18° and IOML 12° were found to provide optimal results, both in terms of quantitative image quality and visual evaluation, thereby improving diagnostic accuracy in orbital radiography.

      • KCI등재

        메이지(明治)기(期) 참모본부(參謀本部)의 한국어(韓國語) 학습서(學習書) 1894년간(年刊) 『일한회화(日韓會話)』와 관련하여-

        이강민 한국일본어문학회 2006 日本語文學 Vol.31 No.-

        本稿は、1894年、日本の參謀本部によって製作された韓國語學習書『日韓會話』の具體的な內容を學界に紹介し、語學史の立場から本書の持つ意味を考えてみようとしたものである。この『日韓會話』が發行された1894年8月の時点は、日淸戰爭が勃發し一月も經たない時期であり、本書の存在は、語學史的な觀点だけでなく、近代史においても參謀本部が果たした役割を考える上で示唆する所が少なくないように思われる。調査の結果、本書は、1894年の前半期に釜山地域で日本人と韓國人が本文を作成し、これを參謀本部が、同年8月、東京で刊行したものと推定した。また、本書の日本語は、當時の口頭語が强く反映されているのにも關わらず、二段動詞の已然形やハ行四段動詞の連用形などには古い形の活用形も見受けられ、注目される。このような現象は近代日本語の過渡期的な言語現實を反映したものと判斷したい。なお、本書に收錄されている韓國語は、韓國語の語彙史的な側面から貴重な資料的情報を提供し得るものであることが確認できた。このような特徵を持つ『日韓會話』は、韓國と日本の語學史的な立場から今後樣樣な問題を提起し得る資料として活用出來るものと思われ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