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

        유순화,윤경미,강승희 한국상담학회 2006 상담학연구 Vol.7 No.2

        최근 영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곳곳에서 영재교육이 실시되고 있고, 영재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영재를 위한 적절한 진로지도나 상담활동은 매우 부족하며, 이에 관한 연구도 미미하다. 영재 진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밝히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으로 과학영재 집단으로는 부산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학생 139명이 참여하였으며, 일반학생 집단으로는 일반 중학교 학생 187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과학영재 중학생은 일반 중학생에 비해 진로성숙도가 높았으며,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 모두에서도 과학영재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과학영재 중학생 내에서는 진로성숙도에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 중학생의 경우 성차와 학년차가 모두 나타났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진로성숙도가 높았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은 과학영재의 진로성숙도를 일반학생과 비교하여 검토함으로써 그 차이와 특성을 밝히고 영재를 위한 진로지도와 학교상담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between the gifted in science and average middle school students.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by gender and school grade were also investigated.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two groups: 139 gifted students in science enrolled in the Education Center for Scientifically Gifted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187 average middle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gifted in science showed higher scores in career maturity comparing to the average students. Second, within the gifted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by gender. However, difference was found in career maturity by grade.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Third, in average student group,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were found by both gender and grade. Average girl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in career maturity than average boy students, and higher-grade level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career maturity than lower-grade level students. In sum,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between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average middle school students and evoked the need of appropriate career counseling for both gifted and average students.

      • KCI등재후보

        여대생의 자원과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

        유순화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4 여성학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s and career indecis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60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B city. To analyze the dat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sources and career indecision was found, and the natur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different by grades. Second, among the freshmen, sophomores and juniors, all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and material resource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indecision. Among the subscales of career indecision, indecisiveness, lack of self-identity and external barrier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resources. Third, among seniors, all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and material resource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indecision, which is similar to the result of the freshmen, sophomores and juniors. However, indecisiveness, lack of self-identity and lack of inform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resources, which is different to the case of freshmen, sophomores and juniors in which external barrier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 based on the knowledge of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s and career indecis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s necessary to help resolve the career indecision problem. 본 연구는 여대생의 자원과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년에 따라 두 변인 간의 관계에도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는 B시에 소재하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106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자원과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하여 자원의 하위요인인 내적, 사회적, 물적 자원을 독립변인군으로, 진로미결정의 하위요인인 직업정보 부족, 자기명확성 부족, 우유부단한 성격, 필요성 인식 부족, 외적 장애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의 결과, 첫째, 자원과 진로미결정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학년에 따라 그 관계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둘째, 1, 2 3학년 여대생의 경우, 자원의 하위요인 가운데 내적 자원과 사회적 자원, 물적 자원이 모두 진로미결정과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내적자원, 사회적 자원이 진로미결정과의 상관이 높았다. 진로미결정 하위요인 가운데는 우유부단한 성격, 자기명확성 부족, 외적 장애 순으로 자원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셋째, 4학년 여대생에 대한 결과에서는 자원의 경우 1, 2, 3학년과 유사하게 모든 하위요인들이 진로미결정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나, 진로미결정 하위요인의 경우 1, 2, 3학년과 달리 외적 장애의 상관은 유의미하지 않았고 우유부단한 성격, 자기명확성과 직업정보 부족이 진로미결정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대생 진로미결정 문제의 해결을 돕기 위하여 개인이 소유한 자원이 진로미결정 요인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여 개입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가족건강성 지각 간의 관계

        유순화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교사교육연구 Vol.51 No.3

        부모화는 부모가 자녀에게 애정과 보호를 제공하지 못하고 오히려 자녀로부터 돌봄과 사랑을 받기를 원하여 부모와 자녀의 관계가 역전된 현상이다. 부모화와 관련된 연구들은 부모화 과정과 관련된 외상들로 인해 정신병리나 부정적 영향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과도한 정신병리화에서 벗어나 강점 중심의 접근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가족 건강성 지각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B시에 소재하는 4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639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부모화 경험과 가족건강성 간의 관계를 검토하기 위하여 부모화 경험의 하위요인인 물리적 돌봄, 정서적 돌봄, 불공평을 독립변인군으로,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인 의사소통, 문제해결수행능력, 가족원간의 유대, 가치체계 공유를 종속변인군으로 하는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의 결과, 본 연구에 참가한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 정도는 대체로 낮은 편이었고, 남학생과 여학생의 점수가 비슷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가족 건강성에 대해서는 다소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정준상관분석의 결과, 부모화 경험과 가족건강성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발견되었으며, 비록 남녀 학생 간에 부모화 경험의 수준은 유사했으나 부모화 경험이 가족건강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관련된 논의와 시사점이 제시되어 있다. Parentification is the distortion or lack of boundaries between and among family subsystems, such that children take on roles and responsibilities usually reserved for adults. Because of the trauma often related to the parentification process, research has tended to focus on psychopathology and other negative outcomes. This potential overpathologizing could result in missed opportunities to uncover exceptions. Hence, this research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perceived family strengths of adolescents, consistent with strengths based approach.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39 high school students sampled from 4 schools in B city. To analyze data, a series of can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arentification was generally low among research participants and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parentification score. Second, participants perceived their family strengths somewhat high and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core. Third, the result of cannonical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fication and perceived family strengths and a differential gender effect of unfairness on family strength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related to the results are provid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MMPI 내용척도의 이해와 상담에의 활용

        유순화 한국상담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and a basis of practical interpretation and use of the MMPI content scales to practicing counselors by describing th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al properties of Wiggins content scales, MMPI-2 content scales, and a Korean version of MMPI content scales and by discussing how to interpret and use the scales. Many counselors are using MMPI in their counseling interviews, but the interpretation has been limited to the standard scales. Also,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by the researchers on MMPI content scales. Actually, consideration of MMPI content scales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interpretation of MMPI clinical scales and to the understanding clients in counseling interviews. In addition, the content scales are a great area of counseling research. Research attention to and the use of the MMPI content scales would enhance general counseling effect as well as client understanding. 본 연구의 목적은 MMPI 내용척도의 필요성과 Wiggins 내용척도, MMPI-2 내용척도, 그리고 한국판 MMPI 내용척도를 소개하고, 상담장면에서의 해석과 활용 방법 등을 논의함으로써 상담자들에게 MMPI 내용척도에 관한 이해와 활용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많은 상담자들이 자신들의 상담면접에서 MMPI를 사용하고 있으나 표준척도의 해석에 그칠 뿐이며 내용척도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현재 한국판 MMPI 내용척도를 개발하고 표준화하여 사용하려는 노력이 있으나 아직은 이에 관한 연구가 미미한 상태이다. MMPI 내용척도는 임상척도의 의미있는 해석과 내담자 이해의 증진에 큰 도움을 제공하며 상담연구의 주제로서도 가치있는 영역이다. 앞으로 한국판 MMPI 내용척도에 관한 많은 이론적, 경험적 연구가 실시되고 실제 상담장면에서 임상척도와 더불어 활용되면 내담자 이해뿐 아니라 전반적인 상담효과도 증진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안녕감 간의 관계

        유순화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10

        Parentification means a role reversal wherein a child becomes responsible for a par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needs. Main focus of research has been on negative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parentification. Recently, researchers have found that parentification can serve as a positive and constructive contribution to the child's development and sense of responsibil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integrative well-being(emotion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of adolescents. The data, gathered from 346 high school students at three high schools in Busan, were analyzed using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well-being of adolescents. Specifically, parentification ha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well-being. Interestingly, the more students perceived unfairness(a subscale of parentification), the higher social well-being. Discussions and suggestions related to the result are provided. 부모와 자녀의 역할이 역전되어 자녀가 부모를 보호하고 위로하는 현상이 장기간 지속되어 내면화되는 것을 부모화라고 한다. 부모화 경험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부모화된 자녀가 보여주는 심리적 부적응에 주로 초점을 두고 있지만, 최근에는 부모화 경험이 개인의 사회적 관계 및 책임감 발달 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결과도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부모화 경험이 통합적 관점의 안녕감(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검토하여 부모화 경험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부산시내 3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부모화 경험과 안녕감의 관계를 하위요인군 간의 관계까지 검토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의 결과, 부모화 경험과 안녕감 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화 경험은 사회적 안녕감과 높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특히 부모화 경험 하위요인 중 불공평을 많이 느낄수록 정서적 안녕감은 낮아지지만 사회적 안녕감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부모화에 대한 연구가 초점을 두던 심리정서적 측면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사회적 영역까지 고려함으로써, 부모화가 청소년의 심리적, 정서적 안녕감과 사회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유형과 수준 및 진로성숙간의 관계

        유순화,강승희,윤경미 한국상담학회 2004 상담학연구 Vol.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kills and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by performing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Gender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career decision-making levels and career maturity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s of MANOVA revealed gender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 making levels and career maturity,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in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Male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did female students on the school adjustment scale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level measure and on the involvement scale of the career maturity measure. The results of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evels of career maturity, and the dependent style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predicting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and b) career decision- making levels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evels of career maturity, and the occupational plan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Results a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are provided. 본 연구는 진로의사결정 유형 및 진로의사결정 수준과 진로성숙도간에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우리나라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능력과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밝혀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진로의사결정 유형 및 의사결정 수준과 진로성숙도에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중다변량분석 결과에 의하면 진로의사결정 수준과 진로성숙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의사결정 유형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의사결정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난 요인은 학교적응 요인으로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학교적응 수준이 높았으며, 진로성숙도에서는 관여성 요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의사결정 유형과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알아본 정준상관분석결과에 의하면 두 변인군간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형 중에서 의존적 유형이 진로성숙도를 가장 잘 예언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로의사결정 수준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서도 두 변인군간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관련이 크게 나타난 요인은 직업계획 수준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높은 진로성숙도를 갖기 위해서는 의존적 유형의 의사결정 유형을 지양하는 것과, 미래의 직업에 대하여 계획을 세워 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