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블록 코딩 인터페이스 기반의 인간-로봇 티칭펜던트 UX 디자인 및 평가

        유승헌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7 No.4

        연구배경: 본 연구는 기존 로봇 공정 제어 및 프로그래밍 사용성을 분석하고, 현 로봇 제품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의 이론적, 사용자 실험적 분석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니즈와의 불일치하는 요소를 발굴하고 이를 개선한 사용자 중심적인 새로운 협업 로봇의 UX 디자인 도출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기존 협업 로봇 UX의 평가 분석 및 인터페이스 사용 과정에서 도출되는 인지적 문제점을 사용자 숙련도별로 해석하는 전략의 차이를 이론적 분석 및 관련자 인터뷰를 통해 도출하였다. 숙련도별 정보 해석 차이는 복합적 정보를 청킹하는 메타 정보 구조화에 있으므로, 복합적 정보의 의미 해석을 지원하고 단기기억 부담을 줄이는 블록코딩 방식의 인터페이스와 PUI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제안된 신규 UI는 초보 사용자를 위해 터치 기반 인터랙션에 단위 동작들을 아이콘화 하고 드래그 방식의 코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 고급 사용자의 니즈 또한 반영하여 프로그래밍은 블록 코딩 외 일반 코딩 입력 전환이 유연한 UX를 도출하였고, 사용자 입력에 관한 로봇 피드백이 로봇 본체에서도 확인이 가능한 UI를 제공하여 사용자 중심적인 협업 로봇 UX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결론: 이후 사용자 테스트 검증 과정을 통해 로봇 분야 유경험자를 전문성 수준에 따라 12인으로 모집하여 기존 로봇 UX의 선호 요소 및 전문성에 따른 정성/정량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기존 프로그래밍 중심 UI 대비 사용 용이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The research aims to deliver the block coding based touch UX design for both of novice and expert robot users of collaborative robot in divergent industry. Methods: The level of user’s knowledge on robots, the knowledge about the factory and manufacturing analysis were conducted along with the analysis of UX of major collaborative robots currently in use in market. Result: The analysis result was conveyed into the new design of collaborative robot control. 12 robot experts and experienced users were analyzed in FBI and problem listing session to clarify the difference in their mental models, preferences, and the cognitive difficulties of current robot UX. The difference of users’ robot experience showed the different preferences on robot UX. Knowledge on Robot UX and manufacturing system were not coupl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robot UX should provide different types of contents and UI to satisfy the large spectrum of users’ expertise. Conclusion: The suggested new UX provides flexible pivot UI optimized different level users. The interaction surface has been widen from teaching pendant only to robot main body as well for quick perception and intuitive diagnosis. The drag & drop block coding programming screen is newly suggested for novices as well as the text based programming environment for expert users.

      • KCI등재

        Botrytis elliptica(Berk.) Cooke에 의(依)한 한국(韓國) 미기록(未記錄) 백합(百合)잎마름병(病)

        유승헌,김홍기,박종성,Yu, Seung Hun,Kim, Hong Gi,Park, Jong Seong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88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15 No.1

        1987년(年) 대전(大田) 근교(近郊)의 vinyl house에서 재배중(栽培中)인 백합(百合)(Lilium spp.)에서 Botryis elliptica에 의한 잎마름병(病)이 국내(國內)에서 최초(最初)로 발견(發見)되었다. 본(本) 병(病)의 초기(初期) 병징(病徵)은 잎과 줄기에 나타나는 갈색(褐色) 점(點)무늬로서 점차 확대(擴大)되어 잎마름 증상(症狀)을 나타내었고 발병(發病)이 심(甚)하면 식물체(植物體) 전체(全體)가 갈변(褐變)하고 고사(枯死)되었다. 병원성(病原性) 검정(檢定) 결과(結果) 본(本) 병원균(病原菌)은 백합(百合)에만 병원성(病原性)이 있었고 고추, 토마토, 인삼, 양파, 파에는 병원성(病原性)이 없었다. 본(本) 병(病)은 국내(國內) 미기록병(未紀錄病)으로 Botrytis elliptica(Berk.) Cooke에 의(依)한 백합(百合) 잎마름병(病)(엽고병(葉枯病))으로 명명(命名)하고자 한다. A severe blight disease of lily (Lilium spp.) caused by Botrytis elliptica was found in a vinyl house in Taejon for the first time in 1987. Initial symptom of the disease was brown spotting on leaves and stems of the plants. The spots gradually increased in size and coalesced to form bigger spots and blights on the leaves. Plants with severe damage became brown and sometimes died. In the inoculation experiments, the fungus was found to be pathogenic only to lily, but not to pepper, tomato, ginseng, onion and welth onion.

      • KCI등재

        한국(韓國)에서의 벼 잎집무늬마름병 발생변동(發生變動)에 관(關)한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유승헌,Yu, Seung-hun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77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4 No.2

        In an attempt to obtain a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an effective integrated system of controlling sheath blight of rice in Korea, the transition of this disease, the variation of cultural characters and pathogenicity of the pathogen, environmental conditions affecting the disease outbreak and varietal resistance have been investigated. 1. Rice sheath blight which has been minor disease in the past was widely spread, especially since 1971. This disease has promptly spread all over the country and infected 65.2% of total rice growing area in 1976. Various factors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such transition of this disease. Above all, increace of application of nitrogenous fertilizer, early season and earlier cultivation of rice, introduction of more susceptible "Tongil" varieties etc. must b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outbreak of this disease. 2. Great variations in cultural characteristics-such as mycelial growth rate, color of the medium, amount of the aerial mycelium, shape and color of the sclerotia- and in the pathogenicity of isolates of the pathogen, Thanatephorus cucumeris <Frank> Dank were observed.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also varied with isolates, from $25^{\circ}C$ to $30^{\circ}C$. There were not necessarily any correlation between curtur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of isolates of Thanatephorus cucumens. 3. Mycelial grow th of isolates of Thanatephorus cucumens on the PDA medium were correlated with the air temperatures of the region where the isolates were collected. The isolates from the regions with high temperature grew well on PDA medium at $35^{\circ}C$ than those from the region with low temperature, on the other hand, the isolates from the regions with the low temperature grew well on the same medium at $12^{\circ}C$ than those from the regions with high temperature. 4. Pectin polygalacturonase (PG) and cellulase (Cx) were most active on the 3rd day after inoculation on the leaves of rice plant with Thanatephorus cucumeris, whereas pectin methylestrase (PE) was most active on the 4th day after inocul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ities of PE of isolates and the strength of pathogenicity of isolates was obtained, but PG and cellulase activities were not correlated with pathogenicity of isolates. 5. The tolerence of sclerotia from in-vitro culture to low temperature varied with their water content, the dried cultural sclerotia were more tolerent than wet ones, Dried cultural sclerotia maintained almost 100% germinability for 45 days at $-20^{\circ}C$, whereas wet sclerotia lost viability at $-5^{\circ}C$. The germination ratio of the sclerotia after overwintering changed from 18% to 70% according to the water content of the test paddy fields and the ratio was low in wet paddy condition. 6. To investigate the host range of this fungi in and near paddy field, 17 weeds were inoculated with fungi. The lesions of sheath blight disease was obserbed on Sagittaria trifolia L., Echinochloa crusgalli P. Beauv., Monochoria vaginal is Presl, Polygonum Hydropiper L., Eclipta prostrata L., Digitaria sanguinalis Scapoli. 7. When the level of nitrogen applied was doubled over standard level, total nitrogen content in rice sheath increased, ami when silicate was applied, starch content in rice sheath decreased, inducing the rice plants more susceptible to sheath blight disease. Increased dressing of potash ferilizer reduced the incidence of sheat blight disease. 8. The percentage of infected stems in the early period increased more in the narrow hill plot than in the wide hill plot, but in the late period this tendency was inversed; the percentage of infected stems as well as severity in the wide hill plot increased more compared to the narrow hill plot, and the disease severity in the one plant per hill plot was also low. The number of stems in the wide hill plot was more than the number of stems in the narrow hi 한국(韓國)에 있어서 벼 잎집무늬마름병(病)의 발생변동(發生變動), 병원균(病原菌)의 배양적(培養的) 특성(特性)과 병원성(病原性), 발병환경(發病環境), 재배법(栽培法)과 발병관계(發病關係), 품종(品種)의 저항성(抵抗性) 등(等)에 관(關)하여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韓國)에 있어서 벼 잎집무늬마름병(病)의 발생면적(發生面積)은 다비재배(多肥栽培), 조기조식재배(早期早植栽培) 및 통일계품종(統一系品種)의 확대보급등(擴大普及等)으로 인(因)하여 매년(每年) 증가(增加)되었고 특(特)히 1971년(年)부터 전국적(全國的)으로 급격(急激)히 발생면적(發生面積)이 증가(增加)되어서 1976년(年)에는 전체수도재배면적(全體水稻栽培面積)의 약 65.2%에서 본병(本病)이 발생(發生)하였다. 2. 우리나라에 분포(分布)하는 벼 잎집무늬마름병균(病菌)의 배양적(培養的) 성질(性質) 및 병원성(病原性)에는 많은 변이(變異)가 있었으며 병원균(病原菌)의 생육최적(生育最適) 온도(溫度)도 $25^{\circ}C$에서 $30^{\circ}C$사이로 균주간(菌株間)에 차이(差異)가 있었다. 한편 병원균(病原菌)의 배양적(培養的) 성질(性質)과 병원성(病原性)에는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없었다. 3. 잎집무늬마름병균(病菌)의 PDA배지상(培地上)에서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은 채집지(採集地)의 기온(氣溫)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었다. 즉 채집지(採集地)의 기온(氣溫)이 높은 지역(地域)의 균주(菌株)들은 기온(氣溫)이 낮은 지역(地域)의 균주(菌株)들에 비(比)해 $35^{\circ}C$ PDA배지(培地)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양호(良好)하였고 반대로 $12^{\circ}C$ PDA배지상(培地上)에서는 기온(氣溫)이 낮은 지역(地域)에서 채집(採集)한 균주(菌株)들이 기온(氣溫)이 높은 지역(地域)에서 채집(採集)한 균주(菌株)들 보다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양호(良好)하였다. 4. 잎집무늬마름병균(病菌)을 접종(接種)한 수도엽(水稻葉)으로부터 얻은 Pectin polygalacturonase 및 Cellulase의 역가(力價)는 접종(接種)3일(日)째에 최대(最大)였고 Pectin methylestrase의 역가(力價)는 접종(接種) 4일(日)째에 최대(最大)였으며 병원성(病原性)이 강(强)한 균주(菌株)에서는 Pectin methylestrase의 활성(活性)이 높은 경향(傾向)이었고 병원성(病原性)이 약한 균주(菌株)에서는 Pectin methylestrase의 활성(活性)이 낮은 경향(傾向)이었으나 다른 효소(酵素)들은 병원성(病原性)과 관계(關係)가 없었다. 5. 배지(培地)에 형성(形成)된 균핵(菌核)을 건조처리(乾燥處理)하였을 경우(境遇)의 저온저항성(低溫抵抗性)은 매우 강(强)하여 $-20^{\circ}C$에서도 발아력(發芽力)을 상실(喪失)치 않았으나 습윤처리(濕潤處理) 하였을 경우(境遇)에는 저항성(抵抗性)이 매우 약(弱)하여 $-5^{\circ}C$에서도 발아력(發芽力)을 상실(喪失)하였다. 포장(圃場)에서 월동(越冬)한 균핵(菌核)의 발아율(發芽率)도 답토양(沓土壤)의 건습(乾濕)에 따라 18%~70%의 차이(差異)를 나타내며 담수상태(湛水狀態)에서 월동(越冬)한 균핵(菌核)은 건조(乾燥)한 토양(土壤)에서 월동(越冬)한 균핵(菌核)보다 발아율(發芽率)이 낮았다. 6. 잡초(雜草)에 대(對)한 기생성(寄生性)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벗풀(Sagittaria trifolia L.), 물달개비(Monochoria vaginalis Presl), 여뀌(Polygonum hydropiper L.). 피(Echinochloa crusgalli P. Beauv), 한련초(Eclipta prostrata L.), 강아지풀(Septaria viridis P. Beauv.), 좀바랭이(Digitaria s

      • SCIEKCI등재
      • KCI등재

        노년 사용자의 상업 공간 접근성에 인지 기반 UX 디자인이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디지털 디바이드 문제 해결수단으로 서의 UI 디자인

        유승헌 한국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학연구 Vol.34 No.4

        Background Elder people are often excluded from the benefits of smart systems due to the lack of elder-friendly UX design.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utilize the impact of UX design in commercial space for specific users with their accessibility issues. Methods The commercial space access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two user accessibility groups : customers of all ages and elder customers. The space access factors to commercial spaces were evaluated through UX design expert evaluation. Then, the ethnography session was conducted on five fast food stores and the total number of customers in each store were counted for cross evaluation. Results The access factors for customers of all ages and elder customers in commercial space are proven to be influential in attracting each user group. The ratio of elder customers to the total number of customers of all ages, showed a higher influence.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UX design of space information systems affects the improvement of commercial space accessibility for elder users and encourages elder people to use digital devices and social infrastructure. Furthermore, the commercial value of UX design as an influence measurement tool was also considered. 연구배경 사회 시스템의 정보화와 함께 물리적 공간과 정보 시스템의 융합이라는 흐름 속에서 노년층은 이러한 혜택에서 소외되는 경우가 많다. 노년층, 장애인 등 취약 집단들이 공공 공간, 상업 공간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비율이 증가한 것이다. 상업 공간 내 정보 시스템의 UX가 특정 사용자 유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활용하는 연구 필요성이 대두된다. 연구방법 상업 공간 접근성 영향 요인들을 전체 고객 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노년 고객 접근성에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두 가지 그룹으로 구분하고, 해당 접근 요소의 전문가 점수화를 통해 각 매장의 사용자 접근성 영향 요소를 평가하였다. 이어서 패스트푸드 매장에 방문하는 소비자들을 실제로 관찰하고 소비자 수를 비교하여 공간 접근 경험의 차이가 방문객들의 방문 빈도, 특히 고령층의 방문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상업 공간에서 전체 고객 접근성 요인과 노년 고객 접근성 요인은 각각의 사용자 그룹 유인에 영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노년 고객이 사용하기 용이한 키오스크 시스템의 UI와 이를 포함한 노년 고객 영향 요소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노년 고객군의 유입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물리적인 공간 접근성 요소외에 키오스크 UI의 사용 용이성과 고객 수 상관지수는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전체 고객 수 대비 노년 고객의 비율을 검토할 경우 80% 이상의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기여는 UX 디자인의 편의성이 노년 사용자들의 상업 공간 접근성 향상에 영향을 끼치고, 세심하게 구현된 UX 디자인의 노년층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 및 사회 인프라 접근 효과 검토에 있다. 아울러, 공간의 디지털화에 따라 UX 디자인이 공간의 상업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력 측정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또한 검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