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용자 행동과 사회적 관계 기반의 블로그 랭크 모델

        황재선 ( Jae-seon Hwang ),김장원 ( Jangwo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6 No.1

        블로그는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도구이며, 블로그를 통한 콘텐츠의 생산과 소비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런 블로그의 글은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웹 페이지 이상의 사회적 관계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웹 페이지 및 블로그에 대한 검색은 이러한 사회적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행동과 사회적 관계에 기반한 블로그 랭크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의 서로 다른 서비스에서 제공한 블로그 랭킹을 새롭게 제안한 블로그 모델과 비교하였고, 이를 통해 제안하는 블로그 모델의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내 2-3차 의료기관에서 관찰된 미란 식도염의 유병률 및 증상 분포

        진기 ( Jin Ki Hwang ),김주형 ( Ju Hyung Kim ),홍승권 ( Seung Goun Hong ),정성주 ( Sung Joo Jung ),주문경 ( Moon Kyung Joo ),이범재 ( Beom Jae Lee ),박종재 ( Jong Jae Park ),재선 ( Jae Seon Kim ),박영태 ( Young Tae Bak )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3 No.5

        목적: 최근 아시아에서 시행된 미란 식도염에 관한 연구들에서 유병률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2-3차 병원에서 미란 식도염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관련 증상들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7월까지 소화기관련 증상으로 국내 24개 2-3차 병원에서 소화기내과 외래를 방문하여 증상기록지를 작성하고, 처음으로 상부 소화관 내시경검사를 받는 신환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4,275예의 환자들 중 506예(11.8%)에서 미란식도염이 관찰되었고, 주증상으로 전형적인 위식도역류질환(GERD) 증상을 호소할 때 미란 식도염의 유병률은 16.7%, 한 주에 2회 이상 또는 일상 생활에 영향을 줄 정도로 심한 전형적인 GERD 증상을 보일 때 미란 식도염의 유병률은 19.6%였다. 미란 식도염은 남자, 65세 이상의 여자, 한 주일에 두 번 이상 주증상으로 호소하는 전형적인 GERD 증상, 전형적인 GERD 증상의 개수가 증가할 경우에 유병률이 높았다. 그러나 GERD 증상의 강도와 미란 식도염의 유병률은 관계가 없었다. 가장 흔한 전형적인 GERD 증상은 위산 역류였고, 비전형적인 GERD 증상은 속쓰림이었다. 결론: 국내 2-3차 병원의 소화기내과 외래에 소화기 증상으로 방문하는 환자들에서 미란 식도염의 유병률은 11.8%였고, 전형적인 GERD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미란 식도염의 유병률이 높았다. 남자, 고령의 여자, 전형적인 GERD 증상의 개수, 한 주에 2회 이상의 빈도를 보이는 전형적인 GERD 증상의 유무가 미란 식도염으로 진단될 가능성을 높이는 독립적인 인자로 관찰되었다. Background/Aims: Recent studies suggest that the prevalence of erosive esophagitis (EE) is increasing in Asia.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EE among outpatients visiting gastroenterology clinics of secondary and tertiary hospitals in Korea, and to analyze their symptoms. Methods: From May to July 2003, outpatients undergoing their first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ies after visiting gastroenterology clinics in secondary and tertiary hospitals in Korea were enrolled. Prevalence of EE was calculated from their endoscopic findings, and symptoms were analyzed from the validated symptom questionnaire. Results: Among 4,275 cases from 24 hospitals, 506 (11.8%) had EE. Among 836 cases with predominantly typical GERD symptoms, EE was diagnosed in 140 (16.7%). Among 530 cases having predominantly typical GERD symptoms with a frequency of at least twice a week or with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daily lives, EE was found in 104 (19.6%). The prevalence of E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les irrespective of age, old aged (≥65 years) females, predominantly typical GERD symptoms at least twice a week, and the numbers of typical GERD symptoms. The severity of GERD symptoms did not affect the prevalence of EE. The most common typical and atypical GERD symptoms in cases with EE were regurgitation and epigastric soreness,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EE among outpatients visiting gastroenterology clinics in Korea was 11.8%. Independent factors associated with increased prevalence of EE were males irrespective of age, old aged (≥65 years) females, number of typical GERD symptoms, and frequent typical GERD symptoms. (Korean J Gastroenterol 2009;53:283-291)

      • KCI등재

        컴포넌트에서의 비정상적인 금속간화합물 성장이 보드 레벨 기계적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

        최재훈,함현정,황재선,김용현,이동춘,문점주,Choi, Jae-Hoon,Ham, Hyon-Jeong,Hwang, Jae-Seon,Kim, Yong-Hyun,Lee, Dong-Chun,Moon, Jeom-Ju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08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15 No.2

        컴포넌트에서의 비정상적인 금속간화합물 성장이 보드 레벨 기계적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전기 도금된 Ni/Au UBM과 Sn2.5Ag0.5Cu 솔더의 리플로우 횟수 및 고온 시효 시간에 따른 금속간 화합물 성장거동을 관찰하였다. 각 조건별로 처리된 컴포넌트에서 솔더 접합부의 기계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전단 속도 변화에 따른 볼 전단 시험을 실시하여 전단에너지 값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보드 레벨에서의 기계적 신뢰성 시험을 위하여 조건별로 처리된 컴포넌트를 PCB 보드에 실장하여, 3점 굽힘 시험 및 충격 시험을 실시한 후 파괴모드를 분석하였다. In this paper, we studied how and why did abnormal IMC growth at component affect on board level mechanical reliability. First, interfacial reactions between Sn2.5Ag0.5Cu solder and electrolytic Ni/Au UBM of component side were investigated with reflow times and thermal aging time. Also, to compare mechanical reliability of component level, shear energy was evaluated using the ball shear test conducted with variation of shear tip speed. Finally, to evaluate mechanical reliability of board level, we surface-mounted component fabricated with each condition on PCB side. After conducting of 3 point bending test and impact test, we confirmed solder joint crack mode using cross-sectioning and dye & pry penetration method.

      • SCIESCOPUSKCI등재

        비효과적 식도운동은 일과성 내압검사 소견인가?

        김주형 ( Ju Hyung Kim ),진기 ( Jin Ki Hwang ),최우석 ( Woo Seok Choi ),이범재 ( Beom Jae Lee ),박종재 ( Jong Jae Park ),재선 ( Jae Seon Kim ),박영태 ( Young Tae Bak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8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4 No.2

        목적: 비효과적 식도운동(ineffective esophgeal motility, IEM)은 물을 삼킬 때 유발되는 수축파들 중에서, 하부 식도체부에서 수축파의 압력이 30 mmHg 미만이거나 전달이 안되는 수축파가 전체 수축파의 30%를 넘을 때로 특징 지워진다. IEM은 일상적 식도내압검사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이상소견이며, 기존에 분류되었던 비특이적 식도운동장애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IEM의 임상적 중요성은 현재 밝혀지고 있는 중이나, 많은 부분이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 IEM이라는 질환의 향후 결과가 어떻게 될 지는 명확하지 않으며, 또한 이것이 지속적인 현상일지 향후 소실되는 것인지, 아니면 다른 운동장애질환으로 전환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는 본 병원에서 IEM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식도내압검사를 일정기간 경과 후 재시행함으로써, IEM의 임상경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식도내압검사에서 IEM으로 진단 받은 65예(남자:여자=27:38예, 나이 44.6±11.6세)에서, 15 (중앙값, 범위 2-89)개월 뒤 추적 식도내압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65예 중 38예(58%)는 두 번째 식도내압검사에서도 여전히 IEM을 가지고 있었으며, 27예(42%)는 정상으로 해석되었다. 재시행한 식도내압검사에서 정상으로 진단된 27예 중 11예(41%)에서는 저압성 또는 비전달성 수축이 전체 삼킴의 30%에 해당되어 경계 영역에 위치하였다. 다른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대로 비효과적 수축이 30% 이상인 경우를 IEM 진단기준으로 적용한다면, 총 65예 중 49예(75%)가 추적검사에서도 IEM으로 진단된다고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IEM으로 첫 진단된 후 수개월 내지 수년이 경과한 다음 재시행한 검사에서도 반 수 이상에서 IEM이 지속적으로 존재하였다. 따라서 IEM은 일과성인 식도내압 이상 소견이 아닌 지속적인 식도운동장애의 하나라고 결론 내릴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Ineffective esophageal motility (IEM) is the most commonly found manometric abnormality in manometry laboratory, and most cases of nonspecific esophageal motility disorder belong to this diagnosis.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IEM remains unclear, but much part of this entity is still need to be explored. The clinical course of IEM is not known clearly, and whether it will persist, resolve, or convert to other motility disorders is still unrevealed. To elucidate the short and long term clinical course of IEM, the cases with IEM were followed up with esophageal manometry. Methods: In 65 cases (M:F 27:38 cases, age 44.6±11.6 years) with manometrically diagnosed IEM, esophageal manometry was repeated after a median period of 15 (range 2-89) months. Results: Follow up study revealed that 38 cases (58%) still had IEM at the second study, and 27 cases (42%) became to belong to normal range of criteria. Among these 27 cases diagnosed as normal at the second study, ineffective contractions constituted 30% of total swallows in 11 cases (41%). Conclusions: This observation suggests that IEM is a persistent esophageal motility disorder at least in more than half of cases throughout months or years after initial diagnosi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8;14:103-107)

      • KCI등재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전내측 피질골 중첩에 의한 정복

        김채근 ( Chae Geun Kim ),권석현 ( Suc Hyun Kweon ),한홍준 ( Hong Jun Han ),황재선 ( Jae Seon Hwang ) 대한고관절학회 2013 Hip and Pelvis Vol.25 No.4

        목적: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부 골절 치료에서 골절의 원위부를 외측 전위시켜 전내측 피질골을 중첩 시키는 방법으로 정복 후 치료 결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8월부터 2012년 8월까지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부 골절로 진단 받고 감마-3 정을 이용하여 치료한 후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수술 후 및 최종 추시의 방사선 검사를 통하여 NSA, TAD, Cleveland index, 지연 나사의 활강 정도, 골유합 시기를 측정하였다. 골절 정복의 정도는 Baumgaertner 기준 변형된 방법을 따라 양호(good), 적당(acceptable), 불량(poor)로 분류하였다. 결과: 대퇴 경간각은 수술 후 평균 140。였으며, 최종 추시상 평균 135。로 감소되었다. TAD는 평균 11.3 mm였으며, 지연 나사의 위치는 정중앙에 12예, 중앙 하부에 8예가 위치하였다. 최종 추시시 지연 나사 활강 거리는 평균 5.5 mm였다. 평균 골유합 기간은 3.7개월이었으며, 수술 직후 골절의 정복 상태는 양호 15예, 적당 5예로 전예에서 만족할만한 정복을 얻었다. 최종 추시상 정복 소실 및 지연 나사의 골두 관통(cut out) 등의 고정실패 및 다른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부 골절 치료에서 골절의 원위부를 외측 전위시키고, 전내측 피질골 근위부를 중첩(overlap) 시키고, 전후면상 외반 정복, 측면상 전방 전위 각형성 정복은 정복 소실 및 지연 나사의 골두 관통 등의 고정실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valuate the result of treat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by lateralization of distal fragment and antero-medial cortex contact of the distal shaft piece.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n analysis of 20 cases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treated using a gamma-3 nail from August 2011 to August 2012 and followed up for more than one year. Using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up radiographs, we measured NSA, TAD, Cleveland index, sliding length of the lag screw, and union time. Adequacy of reduction was assessed by a modification in the criteria of Baumgaertner and classified as good, acceptable, or poor. Results: The mean NSA was 140。postoperative and 135。at last follow-up. The mean TAD was 11.3 mm. The position of the lag screw was in center-center in 12 cases, center-inferior in eight cases. The mean distance of lag screw sliding was 5.5 mm at last follow-up. The mean union time was 3.7 months. The state of reduction postoperatively was good in 15 cases, and acceptable in five cases. There was no failure of reduction, lag screw cut-out, or other complications at last follow-up. Conclusion: The reduction method for lateralization of distal fragment and antero-medial cortex contact of the distal shaft piece in a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is very useful for prevention of collapse of the fracture site, lag screw cut-out, and mechanical fail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