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과 문제해결의 후향적 관점

        황인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9 사회과교육연구 Vol.16 No.1

        This study is to revisit problem solving in social studies. Generally speaking, problem solving has been understood as an educational theory since the formation of social studies. An educational theory, in principle, is close to an explanation of some kind of real educational situations. I invested my energy in social studies theorists for the logic of problem solving. They are bound together by the common interest that problem solving is to be grasped in relation with improvement of and prescription for social problems. Hence problem solving has been understood as means for socialization. There is no doubt that educational theories accord with activities to improve and prescribe for some situations or faculties. Nevertheless, it has to be pointed out that educational theory should relate itself to educational situations. This study considers it ?ractical theory? ?ractical theory?is related to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real educational situation. An example is examination of what students acquire to his vision or faculty through social problems or social studies knowledge. This study calls it ?ackward approach?to problem solving. It is very important that backward approach continues to push boundaries of problem solving. In conclusion, the fulfillment of the purpose of problem solving can be achieved by social studies teacher and real teaching. Hence we must continuously try to study the presuppositions and implications in real problem solving. This study aims only to expose the means and values of problem solving. 문제해결은 보편적으로 사회과를 관통하는 교육이론으로서 인정되고 있다. 성격상, 교육이론은 교육 사태에 대한 모종의 설명과 깊숙이 관련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교육이론으로서 문제해결은 실지 사회과 수업을 설명하는 ‘실제적 이론’으로서 간주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통하여 고찰한 사회과 이론가들은 문제해결을 모종의 실지 사태에 대한 처방이나 개선을 위한 것으로 파악한다. 그리하여 문제해결은 사회화와 대비하여 수단-목적 관계로 파악되고, 그러한 관계는 문제해결이 갖고 있는 고유한 교육적 설명을 드러내는 데 한계를 지니게 된다. 물론 일반적인 교육 행위는 모종의 능력이나 태도의 변화를 꾀하기 위해 여러 수단이나 방법이 동원되는 처방적 활동의 성격을 띠게 마련이며, 또한 그것으로 인하여 교육 행위가 정당화 된다고 말할 수 있다. 다만, 본 글을 통해서 필자는 그러한 모종의 처방이나 개선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혹은 그러한 처방이나 개선이 원래의 목적대로 유용성을 발휘하기 위해서 논리적으로 선행되지 않으면 안 되는 이론적 설명이 있어야 한다고 본다. 그것은 가령, ‘도대체 사회과 수업을 통하여 학생은 문제해결 능력을 어떻게 획득하게 되었는가’,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것은 어떤 상태를 말하는가’ 등과 같은 질문들이 초점이 된다. 본 글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해결과 관련된 핵심 질문들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문제해결의 후향적 관점으로 간주한다.

      • KCI등재

        한한령이 20대 중국인의 한류 관련 반응에 미친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2017년과 2022년의 비교

        황인석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연구는 한한령이 한류 관련 반응에 미친 영향을 20대 중국인을 대상으로 2017년과 2022년의 비교 관점에서 탐색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한류 관련 반응이란 한국 대중문화 선호도, 한국 연예인 선호도, 한국 호감도, 한국 상품 구매의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한국 대중문화 선호도는 대중문화 한류와 관련된 직접반응이라 할 수 있으며, 한국 연예인 선호도, 한국 호감도 및 한국 상품 구매의도는 대중문화 한류에 의해 파생되는 간접반응이라 할 수 있다. 연구결과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선호도 및 한국 연예인 선호도는 2017년에 비해 2022년에 한계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호감도는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상품 구매의도 역시 대부분 상품에서 감소 정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한령의 효과를 고찰한 최초의 연구로서, 중국 한류의 현황을 점검하고 나아가 중국 한류의 지속적 발전 및 세계 속의 한류 정착에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學記」와 「大學」의 연계성 연구

        황인석 한국공자학회 2018 공자학 Vol.36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correlation between Daxue(「大學」) and Xueji(「學記」) both of which focus on educational them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empower Confucian educational theory before Song dynasty to be positioned. Liji(『禮記』) where Daxue and Xueji are contained together reflects Xunji and his School’s thoghtfulness from its establishment stage. In addition, under Han(漢) dynasty, the two texts have common ground that both put together various ideological currents up to warrior state period[戰國時代], willing to renew contemporary Confucianism. In Song dynasty, Some Scholars focused on the correlation of the two texts although there were conflicting assessments about that problem, It make sense to say that the two texts are deeply connected with centered on the concept of fundamental. Also, the two texts use a common term of ‘way of Daxue[大學之道]’ to set educational goals. Both of these are illustrative of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exts. on the basis of previous discussions, It is possible to bring up a new perspective on an existing interpretations. ‘The fundamental training[務本]’ which is emphasized in the Xueji can be seen as pointing to Cultivating of oneself of Daxue. In addition, about the passage ‘止於至善’, ‘至善’ may mean ideal society. ‘止’ may refer to targeting the society. 본 논문은 교육이라는 공통적인 주제를 전면에 내걸고 있는 「대학」과 「학기」의 연계성을 검토하여 송대 성리학 성립 이전의 유가 교육론을 정립할 수 있는 하나의 단초로 삼고자한다. 「대학」과 「학기」가 공히 속해있는 『예기』는 성립단계부터 순자와 그의 후학들의 사상적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한대 유학이라는 시대배경 아래에서 두 문헌은 전국시대까지 중원을 풍미했던 다양한 사상적 조류들을 종합하여 유학의 일신(一新)을 도모하고 있다는 공통분모를 갖는다. 「학기」와 「대학」의 관계에 주목한 것은 송대에 들어서였다. 상반된 평가가 존재했지만 「학기」와 「대학」은 근본[本]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표리(表裏)관계를 이루는 문헌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두 문헌은 대학지도(大學之道)라는 공통의 용어를 사용하여 교육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이 둘 모두 두 문헌의 밀접한 관계를 예증해줄 수 있는 요소이다. 「학기」와 「대학」의 공통분모와 문헌 내적 관계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기존 해석에 새로운 관점을 제기할 수 있다. 「학기」에서 강조하고 있는 ‘근본에 힘쓰는[務本]’ 교육은 「대학」의 수신을 가리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대학」의 삼강령 중 지어지선(止於至善)에 대해 ‘지선’은 이상사회를 가리키는 것으로, ‘지’는 그 이상사회를 목표로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 KCI등재

        가라타니 고진(柄谷行人)의 이토 진사이(伊藤仁齋) 독해 ― ‘내재 = 초월’ 관념의 비판을 중심으로

        황인석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論叢 Vol.76 No.4

        It is noted that the ‘Immanence = Transcendence’ concept is a characteristic of Eastern Philosophy⋅Ethics. However, according to Karatani Kojin, that concept is not that exceptional but in fact is associated with a long legacy of western idealism. Karatani calls the structure of philosophical argument ‘solipsism’. The critical characteristic of the solipsism is an attitude that the one which is correct to me is always correct to the other. On solipsism, ‘the other’ who should be subject to ethical consideration subordinates to the circuit of ‘generality – specificity’, so in the end, it is treated as a being that is not different from ‘I’. Karatani notices Wittgenstein’s late language philosophy in order to overcome that kind of philosophical problem. Furthermore, Karatani notes that there are linguistic and ethical transformations, such as Wittgenstein in the criticism of Ito Jinsai’s Neo-Confucianism. While criticizing Neo-Confucianism, Ito Jinsai’s perception of emphasizing on virtue practice and teaching comes from the dialogue and ironic reality of the text of “The Analects”. 내재 = 초월의 관념은 동양철학⋅윤리학을 특징짓는 사고방식이라고 일컬어져 왔다. 하지만 가라타니 고진에 따르면, 이러한 사고방식은동양철학에만 특별한 것이 아니라, 서구 형이상학적 철학의 일반적인경향이다. 가라타니는 이러한 철학적 논변의 구조를 ‘독아론’이라고 부르는데, 독아론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나에게 타당한 것은 다른 모두에게 타당하다고 취급하는 사고방식이다. 독아론에서 윤리적 고려의 대상이 되어야 할 타자는 ‘일반성 ― 특수성’의 회로에 종속되어 결국‘나’와 다르지 않은 존재로 취급된다. 가라타니는 이러한 철학의 난점을 극복하는 시도로 비트겐슈타인의 후기 언어철학에 주목한다. 나아가, 가라타니는 이토 진사이의 주자학 비판에서 비트겐슈타인과 같은언어적⋅윤리적 전회가 나타나고 있는 점에 주목한다. 주자학을 비판하면서 덕행과 가르침을 강조했던 이토 진사이의 인식은 논어 라는텍스트의 대화적⋅반어적 실상으로부터 유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