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포스터 : 제목: RGB(적색 -녹색 -청색)분석을 통한 H&E 염색의 시약 교체 주기의 표준화

        황삼노,이현임,황형준,이창경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4 조직세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4 No.-

        배 경 : H&E 염색법은 세포의 배열과 형태학적 변화를 보기 위해 핵과 세포질을 구분 하는 염색법으로서 원하는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수 많은 요소들을 관리해야 한다. Dip&Dunk 방식, manual 방식의 염색방법은 individual 염색방법 보다 양질의 염색성 유지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본원에서는 H&E 염색의 정도관리 및 교체 주기의 표준화를 위한 근거자료를 만들고자 병리의사의 광학현미경 평가 결과를 RGB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객관화하기 위한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방 법 :1. 동일 블록으로 4㎛의 두께로 박절한 슬라이드를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시약교체 후 처음 염색한 대조 슬라이드를 T1, 이후 연속으로 염색을 진행하면서 임의의 시점에 염색한 대조 슬라이드를 각각 T2, T3, T4로 표기하였다 2. 병리의사가 광학 현미경으로 판독하여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의 염색 강도에 따라 ‘양호’ 하다고 평가된 슬라이드는 0점을 부여하고 이를 기준으로 ‘약하다’, ‘강하다‘ 3단계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3. 평가 후 동일한 구역을 사진 촬영하여 각 슬라이드당 20개의 점막세포를 선택하여 핵과 세포질을 지정한 다음 RGB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1.T1의 경우 현미경 분석 결과값은 40배와 100배 모두 핵염색성은 평균 0,1이었고 세포질의 염색성도 평균 0으로 염색강도가 양호하였다. 2. RBG 분석으로 핵염색성을 분석한 결과, 적색-녹색-청색 모두 T1(시약교체후 첫번째 염색)에서 T4(누적 슬라이드 수 1100장)로 갈수록 값이 증가하였다. 3. RBG 분석으로 염색질 염색성을 분석한 결과 T1(시약교체 후 첫번째 염색)에서 T4(누적 슬라이드 수 1100장)로 갈수록 적색값에서만 감소하였고 녹색과 청색값은 증가하였다. 고 찰 : 본 실험을 통하여 H&E 염색 시약의 적절한 교체주기를 결정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할 수 있었다.

      • 학술논문발표 : 병리과 ITC(Information technology coordinator)의 역할과 업무소개

        황삼노,이현임,이창경,황형준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4 조직세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4 No.-

        배 경 : 21세기의 의료산업은 의료시장의 개방과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더불어 정보화산업의 발달로 국내외를 막론하고 새로운 국가사업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인터넷과 멀티미디어의 발달로 국내의 대학병원 및 대형종합병원은 기존의 산재되었던 의료정보를 병원정보시스템(HIS)통하여 종합적으로 의료진에 신속하게 제공하고 있으며 정보업무들이 자동화되면서 관련된 전문인의 양성이 필연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병리분야에서도 다변화하는 의료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정보 기술 분야에 고도의 전문성을 유지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전문인적자원이 필요한 바 이에 현재 ITC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서울성모병원 병리팀 ITC(전산코디네이터)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본 론: ITC의 정의는 기본 IT 지식을 가진 코디네이터로써 IT개발자와 사용자간의 요구 사항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원할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결하는 매개역할을 하는 사람을 말한다. ITC의 주요업무는 크게 사용자 요구 분석, 시스템 분석/설계, 개발, 운영등 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사용자 요구 분석단계는 현장업무, Process, IT환경, 부서 및 기관의 Vision 등을 전체적으로 조율하여 분야별 전산 시스템에 반영, 전산요구사항 발의 및 협의의 주체, 진행자의 역할을 담당하며, 두 번째 시스템분석/설계 단계는 구현할 시스템을 위한 분석자료 작성, 기준자료 마스터 구축 및 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프로그램 설계에 관여하는 역할, 세 번째는 개발 단계로써 테스트 참석 및 문제점 보고, 기본 DATA migration 범위선정, 연동검증을 하는 역할자이며 마지막으로는 운영단계로서 부서 내 사용자 교육, 부서 간 이슈정리 및 협의를 주관하고 조율하는 역할까지 담당하게 된다. 결 론: 본원에서의 병리팀 ITC 도입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병리팀 ITC 도입 이후 사용자와 개발자의 협의를 통하여 우수한 병리 시스템을 창출하고 부서 내 업무 효율성이 증가되었다. 둘째, ITC의 프로그램 사용자교육으로 숙련기간을 단축할 수 있었으며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 되었다. 셋째, 접점부서와 업무 관련하여 발생된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으며 재발 방지를 위한 Process 개선에도 탁월한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끝으로 ITC로서 필요한 역량은 병원 전체 흐름에 대한 총괄적인 시각과 전반적인 IT관련 업무수행 능력을 갖춘 자로써 더불어 내부 고객과 외부 고객(타부서)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갈등을 중재하고 조정하여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와 추진력의 소유자가 적합하다. 병원실정에 맞는 병리 ITC 도입은 정보화산업과 의료산업의 발달로 빠르게 변화하는 의료환경에 적절한 대응을 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요소라 할 수 있겠다.

      • 동결절편 포매 방법 변경을 통한 박절 오류 개선

        이창경,이기영,황형준,황삼노,임승진,이현임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0 조직세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0 No.-

        배경: 동결절편 조직검사는 수술실에서 보내오는 검체를 적절한 육안 검사 후 급속냉동 시킨 다음 박절하여 빠른 염색으로 신속히 슬라이드를 제작, 판독하여 수술방에 바로 전달, 병변의 악성유무나 범위에 따라 수술 중 수술방침이나 적출범위를 결정할 수 있게 해주는 검사이다. Breast의 sentinel lymph node 동결절편검사는 수술범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검사이다. 그러나 표본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종종 specimen disc에 조직이 2개 이상인 경우 단면의 높이가 서로 달라 원하는 병변 부위가 전체적으로 나오지 않거나, 조직이 다 나오도록 깊게 자르면 일부 병변 부위가 잘려서 없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원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기존의 병변 부위를 상향 포매하는 방법에서 하향 포매하는 방법으로 포매방법을 변경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방법: 기존의 방법은 Specimen disc위에 절단된 sentinel lymph node의 절단면을 위로하여 나란히 놓고 포매제(O.C.T compound)로 포매 후 급속 냉동을 시킨 다음 박절을 하여 절편을 얻었다. 이러한 방법은 조직의 높이가 서로 달라 어느 정도의 위치에서 절편을 취해야 하는지 판단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간혹 specimen disc에 조직이 여러개인 경우, 전체 단면을 한 장의 슬라이드로 제작 하려면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포매 방법을 병변 부위 상향에서 하향으로 변경 시행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즉 특수 제작한 base mold에 직접 절단면이 하향되게 놓고 포매제를 채운 다음 그 위에 Specimen disc를 거꾸로 놓고 freezing bath (Isopentane용액, -70℃)에서 급속 냉각하여 분리하면 전체 표면이 고르게 나오므로 한 장 의 슬라이드에 높낮이가 다른 여러 조직의 단면이 다 나올 수 있었으며 또한 박절시 specimen disc 와 Knife holder의 각도가 거의 일정하여 조절할 필요가 없어 많은 삭정이 없이 표본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박절 소요시간도 단축 할 수 있었다. 결과: 본원에서 시행된 2009년 1월~12월, 2010년1월~8월까지 Breast의 sentinel lymph node 동결절편검사 자료를 분석 하였다. 2009년 1월~12월까지 시행된 전체 109건 중 박절오류는 4건이 보고 되었고 포매방법을 변경한 2010년 1월~ 8월까지 시행된 전체 124건 중 박절오류는 3건이 보고 되었다. 위의 같은 결과를 통하여 동결절편 업무에 있어 포매방법의 개선이 박절오류를 개선하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고찰: 병변 부위가 항상 표면의 1~2mm밑에 있어서 약간의 삭정후 병변 부위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여 박절을 할 수 있으므로 표본 제작자의 심적인 부담을 덜 수 있었으며 신속하고 정확한 표본을 제작할 수 있었다. 또한 박절 후 단면을 Tissue Marking dye로 표시하여 동결절편 표본의 절단면과 FSP(frozen section permanent)절단면이 일치되게 슬라이드를 제작하여 검경 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었다.

      • 구연발표 : 직원 안전관리

        이창경,이현임,이기영,황형준,황삼노,송현근,이미리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3 조직세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3 No.-

        배 경 임상병리사가 안전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것은 병리검사실의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과 동시에 병리사의 권리이기도 하다. 이에 본원에서는 적합한 시설 및 환경, 유해물질관리, 감염예방관리를 통하여 직원 안전의 위험요인을 제거하고 안전한 근무환경을 조성하고자 시행하고 있는 개선활동을 중심으로 본 발표를 준비 하였다. 방 법 첫째, 시설 및 환경부분, 본원은 2009년 개원 시 자동제어설비 시스템을 도입하여 병리과는 단독배기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산업안전보건법기준에 관한 규칙,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에 의거하여 주기적으로 국소배기장치의 풍속측정, 작업환경측정(유해인자의 농도측정)을 실시하고 있다. 둘째, 유해물질관리 부분, 유해물질과 인화성물질 보관을 위한 전용창고와 캐비넷이 있으며, 산, 알칼리 시약의 분리 보관, 의료폐기물의 분리 배출, 유기용매 폐기물 당일 처리등을 원칙으로 시행하고 있다. 셋째, 감염예방관리 부분은 감염성 환자 검체인 경우 의뢰과에서 병리과에 검체 전달 시 감염주의표시 라벨 부착, OCS 화면에서의 표기등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검사 후 남은 검체는 폐기시까지 검체보관 냉장고에서 분리 보관한다. 직원들의 경우 손씻기 및 보호 장구 착용 모니터링을 통한 감염예방을 실시하고 있으며 안전사고 발생 시 샤워시설 및 Eye wash, 구급상자, Spill kit가 구비되어 응급 조치 후 또는 즉시 응급실에서 치료 후 전산프로그램으로 안전관리 노출 보고서 작성을 하도록 하였다. 또한 매월 환경 위험 사정 예방점검 체크리스트를 통하여 안전관리, 보안관리, 유해물질 및 폐기물 관리, 재난관리등을 점검하고 미비사항은 보고 조치 후 개선안을 찾도록 하고 있다. 결과 및 고찰 병리과는 직원 안전에 관한 한 상당히 높은 위험요소가 내재되어 있으므로 본원에서는 이러한 요인을 제거하고자 지속적인 예방교육과 개선활동을 하고 있다. 안전관리 보고체계를 운영하여 안전관리 담당자가 안전사고를 분석하고 부서원들과 같이 개선안을 도출하고 적용하고 있으나 아직도 개선할 부분이 남아 있다. 안전과 관련한 시설과 시스템 마련도 중요하지만 개개인 스스로가 안전에 관한 의식과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도 중요하며 이에 보다 포괄적인 직원 안전에 필요한 관리 TOOL을 만들어 시행하고 체계적인 평가를 한다면 좀 더 효율적인 위험요인 관리 및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랫드에서의 생분해성 매선요법에 대한 조직학적 분석

        이창근 ( Chang Gun Lee ),정재윤 ( Jaeyun Jung ),황삼노 ( Samnoh Hwang ),박찬오 ( Chan Oh Park ),황순재 ( Soonjae Hwang ),조민정 ( Minjeong Jo ),신민희 ( Min Hi Sin ),김현호 ( Hyun Ho Kim ),이기종 ( Ki-jong Rhee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18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50 No.3

        매선요법은 다른 시술에 비해 비침습적이고, 인체 내에서 생분해가 일어나는 물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성형수술에서 각광받고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매선의 종류로는 poly-L-lactic acid (PLLA), polycarprolactone (PCL), polydioxanone (PDO) 등이 있으나, 매선으로 사용되는 생분해성 물질들의 종류에 따른 차이점이나, 콜라겐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매선의 어떤 부분이 결정적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재 판매되고 있는 3가지 생분해성 물질(PLLA, PCL, PDO)로 만들어진 매선을 동물모델에서 그 효과를 비교하고, 매선의 콜라겐생성능에 미치는 영향 인자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매선을 랫드의 등에 삽입하여 2주, 4주, 8주, 12주동안 경과를 관찰하고 특수염색을 통해 콜라겐의 생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매선에 의한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조직검체는 H&E, Masson’s trichrome, Herovici’s collagen stain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 3가지 모두 다 동일한 시기에 비슷한 양의 신생콜라겐을 형성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3가지 매선 모두 type 3의 콜라겐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생성되는 콜라겐의 양은 매선이 피부조직에 닿는 면적이 크면 클수록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어 한 번의 시술만으로도 많은 양의 매선이 들어갈 수 있는 PDO cavern타입의 매선이 가장 많은 콜라겐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read lifting has become popular as a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for facial rejuvenation. Commercially available threads are composed of poly-L-lactic acid (PLLA), polycaprolactone (PCL), or polydioxanone (PDO). However, the histological changes that occur in response to implanted threads are uncle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histological changes that occur in response to implantation with three types of bioresorbable threads (PLLA, PCL, PDO) in rat skin. PLLA, PCL and PDO threads were implanted in the dorsal skin of Sprague Dawley rats and tissue samples were harvested 2, 4, 8 and 12 weeks post-implantation. To evaluate histologic changes induced by bioresorbable face-lifting threads, tissue sample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 eosin, Masson’s trichrome stain and Herovici’s collagen stain. All three threads induced neocollagenesis of type 3 collagen in the rat skin. The amount of collagen induced by the threads was dependent on the thread surface area. The PDO cavern-type thread was most effective in inducing neocollagenesis due to its extensive surface area. Our results suggest that type 3 collagen induced by bioresorbable threads depends on the thread surface area to uphold the dermis and contributes to facial rejuvenation.

      • 의료기사 관련 직업 명칭에 대한 비교 연구: 표준직업분류를 중심으로

        김대진(Dae Jin Kim),김대은(Dae Eun Kim),구본경(Bon-Kyeong Koo),황삼노(Samnoh Hwang),권민석(Minseok Kwon),하성일(Sungil Ha),이민우(Minwoo Lee) 한국보건의료윤리학회 2023 한국보건의료윤리학회지 Vol.2 No.1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compare job titles of Medical Technologists wi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various fields such as job ethics, workplace etiquette, research papers, immigration, employment, translation, university websites, educational evaluation, and unified education systems. Methods: The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data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2008 revision,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2017 revision,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2018 revision, NOC, National Occupational Classification 2011 revision, occupational outlook book, O*NET, and other organizational websites. Results: The study show that Medical Technologists typically received their entry-level education from 2-3 year junior colleges or 4-year universities. The various types of Medical Technologists included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radiological technologists, physical therapists, occupational therapists, dental technologists, dental hygienists, health information technologists, and opticians. In Korea, there was no standardized English name for Medical Technologists, so caution must be exercised when using official English names. For example,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 should not be translated as "medical/clinical laboratory scientist" and "health information technologist" should not be translated as "health information manager". Additionally, "optician" should not be translated as "optometrist" as the job skills and level of education required for each job are different. Conclusion: This study is that job titles of Medical Technologists are important for their self-esteem and identity, and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use terms translated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