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언 어말어미의 형태적 특성 연구-입말 형태 화석형을 중심으로-

        황병순 배달말학회 2012 배달말 Vol.51 N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ken language are well reflected in the dialectical endings. The Korean spoken languages have the colloquial morph that shows the attitude of speakers after an utterance unit, differently from a written language. Because of this characteristics of the spoken language there are fossilized forms of the colloquial morph in the dialectical endings. If we accept dialectical morphologic characteristics analyzed above, we could classify the dialectical endings into a archaisms-morph form, a written language-morph form, and a fossilized form of colloquial morph. A archaic ending is originated from conservative characteristics of a dialect. And the endings of a written language-morph and a fossilized form of colloquial morph are originated from renovation characteristics of a dialect that was reflecte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ken language. The fossilized forms of the colloquial morph, showing a dialectical characteristics is formed by two-step grammaticalization. A word is grammaticalized into discourse markers and modal Josa in the first-step grammaticalization. And then they are going to lose their meanings and are fossilized in a precedence ending in the second-step grammaticalization. We could group the fossilized form of colloquial morph into a fossilized form of Josa and a fossilized form of discourse markers by a colloquial morph. And a fossilized form of Josa could be classified into a fossilized form of the case Josa and the contextual Josa by its original form. Also a fossilized form of discourse markers could be grouped into a fossilized form of an adverb, a fossilized form of an interjection, and a fossilized form of other morph. Above-mention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dialectical ending may allow us to extend our understanding of not only a each dialectical ending but also a lexicalization or a grammaticalization which is a universal language changing process. 입말은 글말과 달리 발화 단위 뒤에 말할이의 태도를 드러내는 형태(입말 형태)가 실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입말의 발화 단위를 이루는 방언의 어말어미에도 입말의 이러한 형태적 특성이 반영된다. 이를 수용하면 입말의 발화 단위를 이루는 방언 어말어미에 입말 형태가 화석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방언의 위와 같은 형태적 특성을 고려할 경우, 방언 어말어미는 형태적 특성으로 보아 고어형과 글말형, 입말 형태 화석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고어형 어말어미는 방언의 보수성이 반영된 형태이고, 글말형 어말어미와 입말 형태 화석형 어말어미는 입말 특성인 방언의 개신성이 반영된 형태이다. 이들 방언 어말어미 가운데 입말 형태 화석형 어말어미는 2단계 문법화를 거쳐 형성된다. 1단계 문법화에서는 단어가 담화표지나 양태조사로 문법화되고, 2단계 문법화에서는 문법화된 담화표지나 양태조사가 더 문법화되어 이들의 의미마저 없어진 채 선행 어말어미에 화석화된다. 입말 형태 화석형은 화석화된 입말 형태에 따라 조사 화석형과 담화표지 화석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을 다시 기원형에 따라 분류하면, 조사 화석형은 의미역조사 화석형과 문맥조사 화석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담화표지 화석형은 부사 화석형과 감탄사 화석형, 기타 화석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방언 어말어미의 형태적 특성이 방언색을 드러내기도 한다는 점에서 방언 어말어미에 대한 형태적 연구는 개별 방언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 매우 큰 의의를 지닌다.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형태적 특성을 지닌 방언 어말어미의 형성 과정에는 언어 변화의 보편적 특성도 잘 반영되어 있다. 그러므로 방언 어말어미의 위와 같은 형태적 특성은 개별 방언의 어말어미에 대한 이해 폭을 넓혀 줄 뿐만 아니라 언어의 보편적인 변화 과정인 문법화나 어휘화에 대한 이해 폭도 넓혀 주는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문법화된 주격조사에 내재된 문법

        황병순 한국어문학회 2007 語文學 Vol.0 No.97

        ]This paper trie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subjective case of korean through analyzing the grammar intrinsic to the grammaticalized subjective case.The following grammars can be found in the grammaticalized nominative case. The verb which could be grammaticalized as a subjective case should be a intransitive verb adjacent to the subject. Transitive verbs can not be grammaticalized as a subjective case since they are not close to the subject in the syntactic structure. Transitive verbs would be grammaticalized not as a objective case, but as an auxiliary particles. The subject in the preceding clause should be same as these in the following clause in the optative sentence, in which an intransitive verb could be grammaticalized as a subjective case. When an intransitive verb in the preceding clause is omitted, the subject in the preceding clause should be in agreement with the predicate in the following clause.If a conjugation of an intransitive verb in the preceding clause might become grammaticalized as a subjective case, the grammaticalized subjective case should carry out the specific distinctive functions. The reason why only '-ga(가)' among the grammaticalized subjective case could be used as a phonologic allomorph is that '-ga(가)' substituted for the functions of ' ' as '-ga(가)' is being used instead in the case of a phonologic situations of ' 'An intransitive verb which might be grammaticalized as a subjective case ought to be used as a meaning showing either a speaker limits an object (the subject) as a specific contents or a speaker's attitude toward a listene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영유아 복지 서비스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안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황병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

        본 연구는 경기도 여타 시 중에서 재정자립도가 가장 높고 경기도 도정 주요 시책 평가 결과, 보육계를 설치하여 전담인력을 확보하여 급증하고 있는 보육행정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특징적인 성과를 보이는 등 보육사업에 관한 한 여러 가지 점에서 바람직한 면이 많은 것으로 평가된 안산시에 초점을 맞추어서 지방자치 실시 이전과 이후의 시점에서 보육현황 추이와 예산변화 추이를 연구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보육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보육시설 중 국·공립이나 시립 시설보다는 민간 어린이집이나 가정놀이방이 월등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 나라 보육사업이 관 주도적으로 이루어지기 보다는 민간 주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향과 일치하는 결과라고 하겠다. 안산시 전체적으로 보육 시설의 수는 205개이고 여기서 보육되고 있는 아동의 수는 5,718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산시 6세 미만 전체 보육대상 아동 77,058명의 약 8%에 해당하는 숫자로, 전년대비 1,311명이 증가하여 23%증가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경기도 전체 평균 대상아동 보육률이 81%에 달하는 것에 비하면 상당히 적은 숫자만이 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는데, 이는 안산이 신도시이고 공단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이기는 하나 대분분의 직장여성은 미혼이고 기혼인 여자들은 집에서 가사와 육아를 전담하기 때문에 보육에 대한 수요가 경기도 타 도시 보다 많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보육사업에 관한 세출 예산에 관한 추이를 살펴 보자면 민선자치 이후 539%의 예산 증가율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보육사업에 대한 단체장의 관심도 제고에 따른 시설확층 및 운영 등에 따른 예산투자가 급증한 측면과 민간보육시설 연합회와 같은 민간부분에서의 보육시설 확충과 예산 투자를 요구하는 끊임없는 노력이 어우러져 이룩해낸 결과라고 하겠다. 결과적으로 안산시는 민선자치 이후에 보육시설의 수에 있어서의 증가와 보육예산에 있어서의 증가를 보여왔는데 이는 경기도 타 시, 군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재정자립도 (91.1%)와도 상당한 관련이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