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시트룰린혈증의 신생아 선별검사 후 진단 알고리즘

        홍용희,고정민,이경아,Hong, Yong Hee,Ko, Jung Min,Lee, Kyung-A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6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6 No.2

        Newborn screening of some urea cycle disorders has little benefits because of early severe symptoms before the result, low sensitivity (especially hypocitrullinemia) and poor prognosis. But in case of citrullinemia, citrin deficiency and argininosuccinic aciduria diagnosed as elevated citrulline, newborn screening is helpful for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before the symptom. Distinction between the clinical forms of these diseases is based on clinical findings and biochemical results, however, they may not be clearcut. Treatmen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exact diagnosis is essential. Here, the diagnostic algorithm for elevated citrulline after tandem mass screening has been proposed. Minimizing total process time from sampling to report of the results is important in Korea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se disorders.

      • KCI등재

        김지하의 문학과 민중성의 변이 양상 고찰

        홍용희(Hong young-hee) 한국비평문학회 2017 批評文學 Vol.- No.66

        해방이후 민중성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1960년 4.19 혁명을 겪으면서 시작된다. 이점은 문학사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4.19는 민족과 역사와 민중을 찾아내는 착지점’으로서 문학이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을 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김지하는 4.19 세대의 대표적인 시인으로서 민중적 삶에 대한 문학적 탐색을 선명하게 보여주었다. 특히 그는 4.19 혁명을 내재적 발전론의 시각에 입각하여 동학 혁명을 꼭지점으로 하는 민중 변혁 운동의 역사와 세계관의 연속성 속에서 인식하고 이를 문예 미학으로 형상화 하는 데 주력한다. 그가 전통적인 민중예술의 자산을 계승하여 형상화한 담시, 민중극, 대설 등은 그 구체적인 산물이다. 김지하의 문학세계에서 민중성은 특권지배층에 대한 상대적 개념에서 민중주체의 절대적 개념으로 변이되는 특성을 보인다. 1970년에 발표된 담시, 「오적」을 비롯한 초기 시 세계의 갈등, 대립, 저항, 풍자 등은 전자의 특징이고 1980년대 대설, 「남」과 「애린」 연작 들이 보여주는 포용, 화해, 생명, 살림의 미의식 등은 후자의 특징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이천년대에 진입하면 김지하의 문학세계에서 민중성은 소외된 민중이 정치를 주도적으로 담당하는 기위친정(己位親政)의 개념이 등장한다. ‘촛불’로 표상되는 민중의 정치적 참여와 실천에 대한 담론과 시편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김지하의 문학 세계에서 민중성의 변이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우리 현대사에서 민중의 역할, 위상, 가치 등의 진화과정을 이해하고 아울러 민중생명의 사회적 해방과 가능성을 살펴보는 의미를 지닌다. After the Korean Peninsula’s liberation from Japan, conversations on folkness had not come about until the 4. 19 Revolution in 1960. The same goes for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 4.19 Revolution was a crucial event that shaped the nation, its history, and its people. It was a milestone that made clear in which directions literature needed to set forth. Jiha Kim was one of the leading poets of the 4.19 generation who, by example, utilized literature in exploring the life of the common people. He based the 4.19 Revolution on the Immanent Development theory and acknowledged it in appreciating both the history of the People’s Revolution Movement of which reached its peak with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and the continuity concerning the outlook of the world. He concentrated on shaping it into literary aesthetics. His lays, popular theatres, and Daesuls are particular products of his works that involve his succeeding the assets of traditional arts of the people and using them to shape the aforementioned forms of literature. Folkness in the literary world of Jiha Kim features a shift of the dominating privileged class from a relative concept to an absolute concept of the main agents of the people. The lays that were released in the 1970s, including 「Ojeok」, are examples of the former that feature the conflict within the earlier world of poems, conflict in general, resistance, and satire, whereas the 「Nam」 and 「 Aerin」 that feature literature of embracement, reconciliation, life, and housekeeping are examples of the latter. Furthermore, proceeding into the 2000s, the concept of kiwichinjeong (己位親政), which refers to folkness that involve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alienated common people in politics, emerges in the world of Kim’s literature. Conversations and poems in which the people’s participation in politics is symbolized by candle lights correspond to such description. Examining the transition of folkness in Kim’s world of literature is significant in comprehending the role of the common people, their status, and their values in modern history, and scrutinizing the procedure of social liberation of the common people’s life.

      • KCI등재

        김지하의 시세계와 생태적 상상력

        홍용희(Hong Yong-Hee) 문학과 환경학회 2007 문학과 환경 Vol.6 No.2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Korea started at the end of 1960s when Jeeha Kim started to work as a poet. The corrupt government used modernization as one of many ruling strategies, which destroyed the traditional "life-value" idea and the culture of revival under the name of "industrial development of the country." Kim strongly resisted and tried to preserve the life-value idea against the power of death, which tried to destroy the life-centered communal nature. He emphasized this point, as a poet of resistance and fighting. Not only his ”Five Enemies", but also "Red Street" and "With the burning thirst" show his life-centered idea. However, his direct fighting and resistance gradually evolved into a wide embracing and reconciliatory stage. "Looking up the star field", 'The torment of center", "Flower blooming", "The dawn river" (2006), and "The silk road" (2000) which were published after the year of 1980; after "Aerin" belonged this reconciliation stage. Kim's poetic world shows the features of the stage of his direct resistance and fight against the power of death, and the reconstruction of revival culture keeping with the very fundamental and expansive view which may even purify the power of death. Especially, "Hwagae; Flower blooming", "The dawn river", and "The silk road" which were published recently show the realization of apocalyptic prediction and the features of the concentration on life and peace in detailed contexts. The exit to a new world must be found in order to escape the crisis of civilization due to "the entire world's modernization." Therefore, the living paradigm should progress to seek to the continuous life beyond the unrelenting industrialization of 20th century. The proper re-recognition and discovery of the essence of life is required to achieve this goal. The idea of respecting life which is related with the spirit, diversity and individuality is evident in Kim's poetry, could be the solution for the problem which is produced by the mechanical paradigm. Kim's poetry has meaningful value now in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자기의식과 서정적 동일성 -임영조 론

        홍용희 ( Yong Hee Ho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1 No.3

        임영조의 시적 상상력의 지형도는 자아의 대상화와 대상의 자아화의 동시적 전개와 통합으로 요약되는 동일성의 시학을 선명하게 드러낸다. 그의 동일성의 시학은 자기의식이 ‘대상에 대한 의식’과 ‘자기에 대한 의식’을 일치시킴으로써 온전히 성립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의 이러한 시적 객체를 주체화하는 동일성의 시학은 구체적으로 의식과 대상의 변증법으로 나타난다. 그는 대상의 관찰을 통해 자신을 객관화하고(자아의 대상화) 다시 대상에 대한 성찰을 통해 한층 고양된 자아로 귀환하는(대상의 자아화) 순환과정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순환과정은 개별적 자기의식이 보편적 자기의식으로 나아가는 변증법적 전개 과정에 상응한다. 따라서 그에게 대상을 관찰하는 것은 바로 자기 충실화이며 자기 발전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임영조 시의 미학적 원리의 특징은 이와 같은 의식과 대상이 내재적 동일성에 의해 유기적인 통합을 이룬 지점에서 가장 높은 미적 성취를 이룬다. 서정적 자아가 즉자적 자아에서 즉자대자적 자아로 고양되는 동일성의 지점에서 시적 미의식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이때에 그의 시 세계는 인간과 자연이 연속성을 이루는 무위의 자재와 탈속의 순수를 보여준다. 이러한 무위의 미의식이 극점에 이르면 자연의 순리를 구현하는 순명의 세계관을 드러낸다. 그는 지속적으로 주변 일상의 자연과 사물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성찰하고 자문함으로써 근원적 깨달음을 터득하는 자기 구원의 시적 삶을 추구하고 있었던 것이다. Youngjo Lim`s methodology of poetic creation reveals aspects that rediscover and realize new ontologic meaning through observing poetic subjects and internalizing them by his own experiential languages. His poetics of identity which make poetic objects subjects appear the dialectic of consciousness and subjects. He makes himself objects(self-objectification) and shows us the process of circulation which turns up to enhanced himself(making the objection himself) by reflecting the objects. Therefore, his poetic languages focus on the personification of object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inner discovery. His poetic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principle accomplish that the consciousness and subjects make aesthetic achievement when it is organizationally integrated by inherent identity. It shows that the rhythm and chords of poetic subjects are in harmony after they spread enjoyment and interests of poetic self. Just then, his poetic world shows us the purity of freedom and the materials of inaction which makes the continuity between human and nature. Naturally, his unworldy purity tends to have reflective criticism and satire. But his criticism of reality and satire dose not aim for stern rebuke but has aspects of humane tolerance and humor. It turns up languages of martyr`s death which realizes the laws of nature whe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tolerance and humor goes to extremes. He seeks poetic self-rescue life which learns underlying enlightenment by asking himself and reflecting his own existence through nature and materials surrounding him.

      • KCI등재

        유사 영상 거칠기와 공간잡음 비용함수를 이용한 딥러닝 신경망 장면 기반 불균일보정

        홍용희(Yong-hee Hong),송남훈(Nam-Hun Song),김대현(Dae-Hyeon Kim),전찬원(Chan-Won Jun),지호진(Ho-Jin Jh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6

        In this paper, a new Scene-based Nonuniformity Correction (SBNUC) method is proposed by applying Image Roughness-like and Spatial Noise cost functions on deep neural network structure. The classic approaches for nonuniformity correction require generally plenty of sequential image data sets to acquire accurate image correction offset coefficients. The proposed method, however, is able to estimate offset from only a couple of images powered by the characteristic of deep neural network scheme. The real world SWIR image set is appli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proposed method and the result shows that image quality improvement of PSNR 70.3dB (maximum) is achieved. This is about 8.0dB more than the improved IRLMS algorithm which preliminarily requires precise image registration process on consecutive image frames.

      • KCI등재

        구소련 고려인 디아스포라 시 연구 : 양원식의 시 세계를 중심으로

        홍용희(Hong Yong-hee)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2

        구소련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역사는 한국 근대사의 질곡이 가장 함축적으로 스며있는 대표적인 경우이다. 고려인 디아스포라에는 구한말 사회적 혼란과 절대 가난 속에서 연해주로 이주한 유이민의 삶, 국권 상실기 독립운동의 전진기지로서의 부침, 스탈린의 민족 강제 이주 정책에 의한 희생 등이 복합적으로 중첩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 한반도의 분단체제 이후 망명자들이 가세하면서 고려인 디아스포라에 대한 논의는 해방 이전은 물론 해방 이후의 분단시대까지 포괄되는 비극적인 한국 근대사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일이 된다. 2000년대 들어 구소련 고려인 디아스포라는 약 52만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들 구성원의 유형은 크게 세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앞에서 개략적으로 살펴본 연해주에 살던 고려인들로 1937년 스탈린의 강제이주정책에 의해 이주된 약 20만 명의 한인과 그 후손들이다. 둘째, 일본군에 징용되었던 일본 식민통치하의 한인들과 그들의 후손으로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사할린에 잔류되었다가 1970년대 말 구소련으로 이주한 사람들이다. 셋째, 1950년 이후 조선의 국비 장학생으로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유학하던 학생들 가운데 소련으로 망명한 이후 정착한 사람들이다. 물론, 이들 부류 중 두 번째와 세 번째는 소수이고 첫 번째가 절대 다수를 이룬다. 한편, 고려인 문학의 본격적인 출발은 1923년 블라디보스톡에서 전연맹 공산당 원동변강위원회와 원동변강 직맹 소비에트 기관지인 ??선봉??이 창간되면서부터이다. 그러나 1937년 구소련지역으로의 강제 이주와 함께 ??선봉??이 폐간되고 ??레닌기치??(1938.5)에 문예페이지가 마련되면서 고려인 문학의 명맥이 면면히 이어지게 된다. 또한, ??레닌기치??는 소련의 해체와 함께 폐간(1990.12.30)되고 ??고려일보??(1991.1.1)가 창간되면서 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언어문화 정책을 추종하던 ??레닌기치??와는 달리 ??고려일보??의 제작방침에 상응하는 친한국적인 변화의 양상이 급격하게 일어난다. 한편, 여기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양원식 시인은 ??레닌기치??의 문학예술부장과 ??레닌기치??의 후신인 ??고려일보??를 직접 운영하며 구소련 고려인문학을 2000년대까지 중심부에서 선도해온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가 구소련 지역에 거주하게 된 내력은 앞에서 살펴 본 1950년 이후 조선의 국비 장학생으로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유학하던 학생들 가운데 소련으로 망명해 중앙아시아 지역에 정착한 유형에 속한다. 그는 1932년 평안도 에서 태어나 유년기를 보냈으며 1953년 한국전쟁 직후 국비 유학생 자격으로 소련으로 유학하였으나 대학 졸업 후 북한으로 돌아가지 않고 망명하였다. 그는 주로 다큐멘터리 영화연출에 몰두하다가 ??레닌기치?? 문학예술부장과 ??고려일보?? 주필 겸 사장(1994∼2000)을 역임하는 등 언론인과 시인으로 활동하였다. 이 논문은 그가 간행한 한글 시집 ??카자흐스탄의 산꽃??(시와진실, 2002)을 중심으로 하여 구소련디아스포라 시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는 구소련지역에서 한국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얼마 되지 않은 시인 중의 한명이다. 그래서 그의 시 세계는 중앙아시아 고려인으로 살아가는 디아스포라의 정서가 능숙한 모국어를 통해 생생하게 노래되고 있는 특성을 보인다. 그의 시적 삶은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의 직접적인 당사자는 아니지만 그것이 자기 정체성의 집단적 무의식의 트라우마로 작동하고 있음을 드러내면서 동시에 현지 삶에 대한 적응과 고국에 대한 향수를 노래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그의 시적 삶에 나타나는 카자흐스탄의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조국에 대한 향수는 분열된 이중적 속성을 지닌다. 카자흐스탄의 경관이 아름답게 느껴질수록 조국에 대한 향수가 강렬하게 달아오르고 조국에 대한 향수가 강할수록 악몽과 같은 조국의 현실이 부각된다. 이것이 구소련 고려인 디아스포라의 시적 삶의 중요한 특성인 것이다. The history of former Soviet Union Korean diaspora is the representative case where ordeal of Korean modern history has pervaded full of implications. Lots of things are piled up on Korean diaspora, which are social disorder in the latter era of the Choson Dynasty and life of emigrants moved to village of maritime province in Russia in absolute hunger, ups and downs of life as an advance air base during independence movement in national sovereignty lost period, sacrifices by national immigration policy forced by Stalin. Also, refugees were joined after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and the discussion on Korean diaspora has become the center of tragic Korean modern history including division era after liberation as well as before liberation. Korean diaspora in the former Soviet Union in 2000s counted about 0.52 million people. There are three types of members. First, they are the Korean lived in the village of maritime province in Russia, they are about 200 thousands Korean and their descendants moved by the forced movement policy of Stalin in 1937. Second, they are Koreans and their descendants under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drafted by Japanese army and they had lived in Sakhalin after the World War Ⅱ and moved to Central Asia in the late 1970s. Third, they were students studied in Moscow, Russia as state scholarship students after 1950 and settled down in Central Asia after asylum to the Soviet Union. Of course, second and third kinds of people are minor and the first consists the most. Meanwhile, the real beginning of Korean literature starts from the birth of ??Sunbong??, a Soviet paper of Communist Wondongbyungang committee and W ondongbyungang in Vladivostok in 1923. But ??Sunbong?? had ceased publication with forced movement to Soviet Union in 1937 and literature pages were provided in ??Lenin Banner?? (May, 1938) so that Korean literature had barely kept itself in existence. Also, ??Lenin Banner?? had ceased publication with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Dec. 30, 1990), ??Korea Ilbo??(Jan. 1, 1991) was published the first edition and there was dramatical changes in aspect of favor corresponding to publication policies of ??Korea Ilbo?? different from ??Lenin Banner?? following language culture policies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DPRK). On the one hand, the poet, Wongsik Yang, the focus of the paper was the head of culture and art department of ??Lenin Banner?? and managed ??Korea Ilbo?? after ??Lenin Banner??, and he has led Korean humanities of Central Asia until 2000s. He was one of the students studied in Moscow, Russia as state scholarship students after 1950 and settled down in Central Asia after asylum to the Soviet Union. He was born in 1932 and spent childhood in Pyongan-do, studied in the Soviet Union as a state scholarship student after Korean war in 1953, did not go back to North Korea after graduation of university and defected to the Soviet Union. He mainly immersed himself in directing for documentary movie and he was a journalist and also a poet holding various positions such as a head of culture and art department of ??Lenin Banner??, chief editor and president of ??Korea Ilbo??(1994~2000). This paper would insp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viet Union diaspora poem focused on Korean poem, ??Wild Flowers of Kazakhstan?? (Poem and the Truth, 2002) published by Wonsik Yang. He is one of the poet who can speak Korean fluently in the Soviet Union. So his world of poem shows the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emotion of diaspora living in the Central Asia as a Korean appears vividly in his poem in fluent Korean. His poem shows he is not the person directly involved in forced movement to Central Asia but it is working as a collective unconscious trauma of his identity and also he shows adaptation to live in the Central Asia and at the same time feel nostalgia for mother country. Beautiful nature of Kazakhstan and nostalgia for mother country in his poem shows divi

      • KCI등재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시의 특성 고찰

        홍용희(Hong Yong-hee)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7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시는 ‘일본 사회 속의 북한 시’의 특성을 지닌다. 그것은 ‘재일조선문학가예술동맹’이 친북단체인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의’ 산하기구로서 조총련의 기본 지침과 방향성에 대한 문학적 실천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라는 점에서 간접적으로 드러난다. 한편, 일본의 재일본조선인문단은 재일본조선문학예술가동맹(문예동)이 1959년 6월 7일 결성되면서 조총련의 지도 아래 김일성과 조선로동당의 문예정책을 받드는 작가, 예술인 대오를 집중적으로 강화해 나간다. 이러한 상황을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는 바처럼 재일조선인 시는 기본적으로 북한 시와 근원 동일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시 창작의 방법론은 물론 위상, 역할, 평가 등이 북한의 주체적 사회주의 혁명을 위한 사상적 무기로서의 특성에 직접 대응되는 것이다.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시의 시적 양상을 주제의식에 따라 유형별로 나누어 보면, 대체로 일본사회에서의 정착과 시련, 조국에 대한 그리움, 김일성ㆍ김정일에 대한 송가, 남한 사회의 비판과 조국통일에 대한 염원 등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재일조선 디아스포라 시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은 한민족 문학권의 중심에 있으나 아직 우리에게 미답의 영역으로 남아 있는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시의 현황과 위상을 확인하고 아울러 북한문학의 미래지향적인 변화에 순기능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재일조선인은 폐쇄적인 북한과 달리 자본주의 문화의 첨단을 직접 접할 수 있는 제 3의 공간에 거주한다는 분명한 변별성을 지닌다. 다시 말해,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는 북한식 사회주의의 과거와 미래에 대해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미적 거리를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가 앞으로 전지구적 시장화에 대응해야 하는 북한사회의 개방화를 선도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점으로 파악된다. 또한, 이러한 논법은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문학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북한문학의 일방적인 영향권에 놓인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문학이 앞으로 폐쇄적인 북한문학의 변화에 적극적인 충격과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전도된 위상을 상정해 볼 수 있다. 재일 디아스포라는 세계정세의 흐름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와 더불어 북한 주민에 비해 남한과의 원할한 소통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시에 대한 논의는 이와 같은 한반도의 통일시대와 민족적 통합을 향한 미래지향적인 가능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주목하고 평가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The poetry written by Korean-Japanese hav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poetry in Japan society. That is directly appeared in the 'Art Community of Korean-Japanese literary people" which is the affiliate organization of 'Korean-Japanese Union', pro North Korean organization, and has an purpose on practicing literally about basic principle and direction of North Korean residents’ league in Japan. The platform of North Korean residents’ league in Japan suggests practice of reunification, protection of national interests of Korean-Japanese, contribution to world independency and so on based on the level as an subordinated organization of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Korean-Japanese Literature Artist Union is formed in June 7, 1959, writers and artists supporting Ilsung Kim and literature policy of North Korean political party are centered and Korean-Japanese literary world in Japan was developed. As you may know under this situation, the poetry of Korean-Japanese has identification in their roots with North Korean poetry. Status, role and evaluation as well as the methodology of poetry correspond to characteristics as ideological weapon for independent socialistic revolution of North Korea. As we divid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Japanese poetry according to subject consciousness, they can be summarized as establishment of identity of Korean-Japanese, conflicts with Japan society, emphasis on mother tongue use, anti American feeling and criticism on South Korean society, desire of reunification, praise of Ilsung Kim and Jungil Kim, shaping of ordinary life and so on. Among this characteristics except poetry about ordinary life, other poetry have their role in teaching and enlightening ideological direction of Korean-Japanese society. When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Japanese poetry, they are still in the center of the Han race literature range but they have importances because we can confirm the current situation and status of Korean-Japanese poetry which remains as unsolved field, along we can watch the possibility to work as pure function to the future directed change.

      • KCI등재

        제주의 신화적 원형 상상과 한류미학의 가능성 : ‘차사본풀이’의 현재형을 중심으로

        홍용희 ( Hong Yonghee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0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8 No.1

        제주도는 신들의 섬이다. 제주도에 거주하며 활동하는 신들은 1만 8천에 이른다. 제주도의 신들은 낯설고 공포스러운 군림의 대상이 아니라 보살핌의 신이다. 제주도가 일만팔천 신들의 고향이라는 것은 세속적 시간을 멀리하고 거룩한 시간을 추구하는 신성한 성소라는 상징성을 지닌다. 성소는 비속한 현실을 정화하여 태초의 신성성을 회복하는 성화(聖化)의 중심지를 가리킨다. 실제로 제주도는 신과 더불어 신의 성현의 제의로서 유서 깊은 굿이 발달된 지역이다. 근자에 제주도 무속신화 ‘차사본풀이’가 영화 <신과 함께> 1·2편으로 재탄생 되면서 각각 천만 관객을 연이어 상회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차사본풀이’는 죽음과 저승을 다루는 많은 신화 중에 이미 의인화된 신의 얼굴을 통해 생활 속의 이야기로 친숙하게 다가온다. 강림의 저승 여행, 염라 대왕의 이승 방문, 이승과 저승의 경계를 넘어서는 상호소통 등은 현대인에게도 큰 이질감 없이 다가오는 서사적 특징을 지닌다. 한류는 한국에서 생산된 세계적 보편성의 문화 원형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또한 삶과 죽음, 이승과 저승의 사생관, 인생관에 해당하는 세계적 보편성의 문제를 관통하고 있는 제주도의 원형 상상력은 한류의 자산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염두해 두면서 제주도의 문화원형에 해당하는 ‘차사본풀이’와 그 현재적 재현에 해당하는 영화 <신과 함께> 그리고 제주도 시인들의 노래를 통해 소생하는 ‘차사본풀이’의 현황, 의미, 가치 등을 살펴본다. Jeju island is an island of gods. Approximately, 18,000 gods are known to reside in Jeju island. Gods in Jeju island are not one of those who scare and dominate human. They are caring gods. The fact that Jeju island is a home for 18,000 gods has a special symbol. It is a sacred place to be apart from secular moment and pursue holy days. A sanctum is the center of holy place to regain holiness from cleansing profanity. Jeju island is actually an area where placation of spirits is well developed with gods and their saints. Recently, shamanistic myth in Jeju island called _chasabonfuly_ was made as movies called < With God > 1·2 in series and each movie reached 10,000,000 audiences. ‘chasabonfuly’ is one of many mythologies which control death and afterlife and it approaches familiarly with humanized gods. Kang-rim’s travel in afterlife, King Yela’s visit to the earth, interactions between life and afterlife and etc. have epic haracteristics which approach to modern people without any difference. Korean stream can be considered as a cultural archetype with global universality that is created from Korea. From this point of view, Jeju island’s archetypical imagination has such a value as it deals with life and death, and views of life and afterlife which are all universal matters. Conserving about these matter, this paper looks into Jeju island’s cultural archetype, ‘chasabonfuly’, its modernized movie < With God >, and chasabonfuly’s current state, meaning, value though songs from poets in Jeju.

      • KCI등재

        죽음 의식과 삶의 언어 - 조병화의시 세계를 중심으로 -

        홍용희 ( Hong Yong Hee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6 No.-

        조병화의 시적 삶은 죽음 의식을 중심에 두고 살펴 볼 때 가장 정확하고 명징하게 이해된다. 그의 시 세계에서 독창적으로 등장하는 고독, 사랑, 이 별, 허무 등의 이미지는 죽음 의식에서 연원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의 죽 음 의식은 하이데거의 죽음으로 인한 불안에의 용기를 통해 도달하는 ‘무 의 지점’과 상응한다. 하이데거에게 죽음에 해당하는 ‘무’의 지점은 타성 적인 일상성에서 벗어나서 단독자로서의 자신의 존재성과 만나는 곳이다. 조병화의 시적 삶은 이와 같이 ‘무’로서의 죽음의 직시를 통해 자신의 본래적 삶을 추구하는 양상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그는 죽음을 회피하지 않고 불안에의 용기를 통해 직시함으로써 죽음의 의미와 삶의 가치를 인 식해 나간다. 그리고 여기에서 더 나아가 죽음을 미리 인식하는 죽음의 선취를 통해 자신과 세계를 전체적이고 입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구현해 나간다. 그래서 그의 시 세계에서는 삶 속에 죽음이, 만남 속에 이별이, 공 존 속에 고독이 내재하는 특성을 보인다. 한편, 그의 죽음의 선취를 통한 본래적 삶의 구현은 점차 죽음을 향한 자유와 삶의 영원성으로 구체화된다. 그에게 죽음 의식의 심화는 더욱 가 치 있고 성실한 삶의 태도론으로 이어진다. 주로 ‘어머니’를 매개로 전개되는 죽음의 표상은 삶의 성실성의 당위성을 강조한다. 또한 이러한 죽음 의식이 세대론적 순환론으로 인식되는 지점에 이르면 삶의 영원성으로 노래된다. 개체적 단절이 계통적 영원성 속에서 인식되는 것이다. 이와 같 이 조병화의 시적 삶은 유한자로서의 죽음의 결핍을 회피하거나 초월하지 않고 자신의 실존으로 수용하고 긍정함으로써 자신의 본래적 삶을 직 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정한 자유와 자기 구원을 이루어나갔던 것이다. Byung Hwa Cho’s poetic life can be accurately and clearly understood when you look into it by focusing on the consciousness of death. Some images such as solitude, love, farewell, futility, transcendence are originated from the consciousness of death in his poetic world. His consciousness of death corresponds ‘nought point’ which reaches through the anxious courage by Heidegger`s death. The ‘nought’ point means Heidegger`s death and it is the place where it meets his own existence beyond the inert dailiness. Like this, his poetic life obviously shows us the aspect which seeks for this primary life through the direct view for death as ‘nought’. He did not avoid the death and came to realize the life values by facing it with anxious courage. Furthermore, he generally understood his own world by recognizing and preempting the death. So his poetic world has the characteristics such as life with death, live with farewell, coexistence with solitude. On the other hand, the primary realization for life through his preemption for death is materialized with freedom and eternity for life towards death. The reinforce of the consciousness of death leads to the valuable and sincere life attitude. Mainly, the symbol of death which is followed with ‘mother’ as an intermediation emphasizes the justifiability for sincere life. Also, this consciousness of death recites the eternity of life when it is realized as a generational circulation. It is that the individual severance is recognized with systematic eternity. His poetic life achieved his real freedom and his own salvation not by avoiding or transcending the death as a finite but accepting and affirming as a subs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