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문기사에 나타난 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역량에 관한 사회연결망분석: 이공계 대학생을 중심으로

        허지숙,Huh, Ji-suk 한국공학교육학회 2017 공학교육연구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major newspaper articles of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o examine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each field and target. To do this, we reviewed prior research focusing on core competency concepts and core competencies of engineering students, and analyzed 227 articles related to core competenc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five major newspapers. Through analysis, we analyzed social network with 118 refined core competency keyword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core competenc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the degree centrality in terms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convergence ability', 'collaboration ability', 'conductivity', 'software ability', 'human literacy', 'personality' order. Als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go centric network by field and target, the required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y and industry were found to be different. Through these discussions,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core competence of engineering students in order to nurture the engineering talents necessary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공학 융합역량에 대한 산업체와 대학생의 인식 비교분석

        허지숙,황윤자 한국공학교육학회 2020 공학교육연구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education requirements between industry and engineering students on engineering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fostering engineers suitable to industry demand and direction of focus improvement in the current engineering education field. To this end, 73 industrial representatives and 104 engineering students are surveyed the engineering convergence competency and educational need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engineering convergence competency by background variab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gender of engineering students. Second,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the required level of engineering convergence competency from an industry perspective. In the IPA results, it shows that new knowledge generation and future-oriented vision skills are urgently needed to be improved. And it is showed that the creative thinking, knowledge utilizati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capabilities skills need to be maintained continuously.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he current competency levels between industry and engineering students,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ystemic thinking,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understanding of other academic fields, humanities, and future-oriented perspectiv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pecific plans and efforts to reduce this perception gap should be prepared at the university.

      • KCI등재

        평생교육시대, 교사의 의미 탐색 : 플라톤의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허지숙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 and role of teachers through Plato's educational thought.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four principles of UNESCO Lifelong Education, we examine how changes in and out of school and the role of teachers are required. Then, after reviewing Sophist, Socrates, Plato's Philosopher, and the metaphors of Cave from Plato's point of view, it reveals what meaning and value of the teacher image presented by Plato in today's lifelong education Research shows that the role of teachers in the age of lifelong edu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but this does not mean simply changing roles as guides and advisors. the changed face of the teacher is an ethical trainer to enrich their lives from a knowledge transferer, a collaborative learner through conversations and discussions outside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 practitioner of inclusive teaching among learning alienation, learning inequality, a teacher as a lifelong learner who loves wisdom. This suggests implications for teachers 'new possibilities and meanings beyond the existing teacher' s role in the fall of the ruling right and the right of learning. 본 연구는 평생교육시대의 변화에 부합하는 교사의 모습에 대한 재탐색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 하에, 플라톤의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교사의 본질적 의미와 역할에 대해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UNESCO 평생교육의 네 가지 원리를 근거로 학교의 안팎의 변화와 교사의 역할이 어떻게 요구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플라톤의 관점에서 바라본 소피스트, 소크라테스, 플라톤의 철인, 동굴의 비유에 대해 살펴본 후, 플라톤이 제시한 교사상이 오늘날 평생교육시대에서 어떤 의미와 가치가 있는지는 밝히고, 그 속에 내포된 교사로서의 역할과 의미를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평생교육시대의 교사의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안내자, 조언자로서의 단순한 역할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평생교육시대 교사의 변화된 모습은 지식전달자로부터 삶을 풍성하게 살아가기 위한 윤리적 훈련가로, 교사-학생의 관계에서 벗어나 대화와 토론을 통한 공동의 학습자로, 학습소외, 학습 불평등 가운데 포용적 교수의 실천가로, 열망을 가지고 끊임없이 배우는 생성적 존재로 모색된다. 이를 통해 오늘날 추락하는 교권과 학습권의 자리다툼가운데 기존 교사의 역할을 넘어 교사가 지닌 새로운 가능성과 의미에 대해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북한관련 교육 분야 연구의 시대별 동향 분석과 과제

        허지숙,이성엽,한혜영,오경수,정현주 한국성인교육학회 2017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North Korea - related educational research and raise the problems of North Korea's research, and to explore new approaches and lifelong education problems in North Korea's education in the future. In order to establish the criteria for the division of the period of North Korean study, we reviewed the historical trends from the macro perspective, domestic and overseas historical trends, policies for North Korean response by government, and trends of North Korean studies. In order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on education related to North Korea, we collected journals, doctoral degrees and research reports from the Korean Educational and Scientific Information Service and selected 180 out of a total of 676 subjects. Trend analysis was based on research time, type of research, purpose of research, subject, subject of research, subject, method of research, and issuing institu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North Korean education has been influenced by government polic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udy on educ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s and to conduct continuous verifi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lifelong educational aspects of research topics in North Korean education. Fourth, diversification and capacity development of North Korean educational researchers are required. 북한 연구는 2000년을 전후로 대내외적으로 학술적인 관심이 증대하고 연구 주제도 정치, 경제, 군사 등에서 점차 문화, 여성, 종교, 교육 등의 사회적인 주제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북한관련 교육 분야의 연구는 북한의 교육 현황과 교육체제, 탈북자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문이 나오고 있지만, 북한의 특수성과 실제 다루어야 할 평생교육적 본질을 제대로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관련 교육 분야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현(現) 북한연구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앞으로 교육 분야에서의 북한 연구의 평생교육학적 과제와 새로운 접근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북한 연구의 시대 구분을 위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거시적 관점에서 국내외 역사적 흐름과 정부별 북한 대응정책, 북한학의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북한관련 교육 분야 연구의 동향분석을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지, 박사학위, 연구보고서를 수집하여 총 676편 중 최종적으로 180편을 선별하여 시대별 동향 분석을 하였다. 동향 분석은 연구 시기, 연구 유형 및 연구 목적, 연구대상, 연구 대상 기관, 연구주제, 연구방법, 발행기관을 기준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첫째, 북한관련 교육 분야의 연구는 정부 정책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았다. 둘째, 탈북자 대상 교육에 관한 연구의 확대와 지속적인 검증이 요구된다. 셋째, 북한관련 교육 분야의 연구 주제에 있어 평생교육적 측면의 확대가 요구된다. 넷째, 북한교육 연구자의 다양화와 역량 개발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향후 객관적인 관점의 기존 연구의 재해석, 정부와 민간이 함께 다학문적 접근으로 학제 간 연구로 확대할 필요, 평생교육 측면에서 탈북청소년과 탈북여성을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깊이있는 논의를 과제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정부재정지원 사업 참여에 따른 대학 성과 차이 분석 연구 : 2018~2020년 공학교육혁신지원사업과 LINC사업을 중심으로

        허지숙,황윤자 한국공학교육학회 2022 공학교육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grasp the effect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innovation support project among the national engineering-related financial support projects by dividing the groups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f support projects from 2018 to 2020 and dividing the university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engineering education innovation support project has been consistently producing excellent results of field-based engineering education such as field-oriented industrial-educational collaboration capstone desig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rporate-linked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ropout rate of college were lowered. In the future, it needs to be prepared as a place for new and free trials, innovations, and opportunities so that the engineering education innovation support projects can become the mother of other business groups.

      • KCI등재

        민간위탁고용서비스 직업상담사의 경력개발 영향 요인

        허지숙,최은미,김지효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4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8 No.2

        민간위탁고용서비스 시장의 역할이 확대ㆍ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민간 위탁기관의 관리와 역량 강화에 대한 논의는 있으나 민간위탁고용서비스에 종사하는 직업상담사의 직무 만족도나 경력개발 지원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민간위탁고용서비스 직업상담사의 경력개발 노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함으로 경력개발 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민간위탁고용서비스 사업기관 종사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교차분석과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민간위탁고용서비스 직업상담사의 교육 훈련 참여는 고용 안정성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간위탁고용서비스 직업상담사의 경력개발 이유 중 자아실현과 고용안정을 위한 경력 목표는 이직·전직과 관련된 타 기관 취업이며, 미래 전망과 자율성을 위한 경력 목표는 관리자로 나타났다. 셋째, 민간위탁고용서비스 직업상담사의 경력개발은 양질의 교육 훈련 참여 지원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경력개발 노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총 5개로 개인 요인에서는 나이, 기관 요인에서는 소득, 경력개발 요인으로는 경력개발이유(업무권한의 자율성과 이직 의도)로 나타났다. 즉, 경력개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나이에 따른 요구로 1)종사자의 경력개발은 생애주기별 니즈에 맞춰서 제공, 2)균등한 교육 훈련 기회 및 제공, 3)직업상담 업무 가운데 개인의 의사결정과 자율성 부여, 4)경력개발 교육과정의 심도 있는 논의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민간위탁고용서비스 직업상담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단순하게 직업상담사의 개인 차원에서 교육 훈련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기관 차원의 조직문화와 업무 권한,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한 사회안전망으로서 근로자의 경력개발을 위한 제도적 지원 등 다차원적인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career development efforts among career counselors in private consignment employment services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career development support.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000 employees of private consignment employment service agencies, and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hi-square tes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s a result, firstly,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consignment employment service workers in education and training is closely related to employment stability. Secondly, among the career development reasons of private outsourcing employees, career goals for self-realization and employment stability are associated with job changes and transitions to other organizations, while career goals for future prospects and autonomy are associated with managerial positions. Thirdly, high-quality education and training participation suppor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for the career development of private consignment employment service workers. Finally, five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development efforts: age as a personal factor, income as an organizational factor, and career development reasons such as autonomy in job authority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In summary, the study suggests that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private consignment worke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and training tailored to the needs of different life cycles, ensure equal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training, empower individuals in decision-making through career counseling, and engage in in-depth discussions on the curriculum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s.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앎과 경험, 변증법의 의미 탐색: 플라톤 『국가』를 중심으로

        허지숙 한국성인교육학회 2019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ach the meaning of knowledge, experience and adult education methods, which are important concepts in adult education, through Plato's 『Politeia』. Plato's 『Politeia』 was systematically presented with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adult education as well as youth education, and was adult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erms of education methods such as recollection, dialectics and self-directed learning. According to Plato, the adult learner's knowledge is not just a visible world, such as technology or information, but intelligible world known by intelligence. It is to constantly internalize the uncertain opinions(doxa) that have accumulated so far, leading to a firm perception of reality(idea). Plato thought that all experience was not connected to knowledge, and that knowledge acquired through experience can be true knowledge by experiencing contradictions with existing knowledge. What is needed for this is a dialectical inquiry, and through the process of numerous conversations and exploration, adult learners become a source of powerful action to live a worthwhile life with true knowledge. In this regard, knowledge, experience, and dialectical inquiry processes in adult education are the education itself that is interacted with each other organically.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교육에서 중요한 개념인 앎과 경험 그리고 성인교육방법에 대한 의미를 플라톤의 『국가』를 통해 본질적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하는데 있다. 플라톤 『국가』는 청소년교육뿐만 아니라 성인교육의 구성과 내용에 대해 체계적으로 제시되었으며 상기, 변증법, 자기주도학습 등 교육방법 측면에서도 성인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플라톤에 의하면 성인학습자의 앎은 단순히 기술이나 정보와 같은 가시계가 아니라 지성으로 알 수 있는 가지계이며, 그동안 축적된 불확실한 의견(doxa)들을 끊임없이 내재화하여 확고한 실재의 인식(앎)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다. 플라톤은 모든 경험은 앎과 연결되지 않으며, 경험을 통해 습득된 지식이 기존 지식과의 모순을 경험함으로 진정한 앎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변증법적 탐구이며 수많은 대화와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성인학습자는 스스로 참된 앎과 더불어 가치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강력한 행위의 원천이 된다. 이렇게 볼 때 성인교육에 있어 앎과 경험, 그리고 변증법적 탐구과정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상호 작용되는 교육,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