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분마연 청동무기와 제작도구

        허준양 한국청동기학회 2020 한국청동기학보 Vol.27 No.-

        The section polishing technique of Northeast Asia is generally observed in bronze dagger, bronze spearhead, bronze halberd, which is expressed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bronze weapons. In general, this technique was distributed in Shanxi and Shandong, China, southern part of Korea, southeastern regions of the Maritime Province of Russia, and North Kyushu, Shanin area in Japan. Accordingly, it is estimated that the Korean-type bronze weapons emerg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s with Jungwon region (Shanxi and Shandong) as well as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This shows that bronze culture was established in mutual and independent positions by forming respective jurisdictions. The section polishing technique is seen to be regular polishing, which is done in the false edge and blade of a bronze weap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section polishing technique of Korean-type dagger is observed with a width of 0.2 to 0.5 cm. In this study, the use of a bronze awl, forming the cross section of a certain size with a thin form like a rod, was examined by focusing on the narrow width. In addition, bronze weapons and tools were manufactured in each mold,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adjusted by varying the composition ratio of copper and tin. In other words, the section polishing technique, which is the fine-scratch, was used in the bronze awl by using the hardness, different from weapons.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 whetstone was used in the overall polishing of Korean-type bronze dagger (the shaping of line angle, the stone and the joint), while bronze awl was used in the fine section polishing technique. To put this together, it is found that bronze awl of type a was used in drawing the refined pattern like a fine-lined geometric mirror, bronze awl of type b was used in the drawing of the coarse line and rim like a coarse-lined geometric mirror, patterned-bronze ritual vessels and patterned-bronze weapons, and bronze awl of type c was used in carving angular knobs of geometric mirror. In addition, the bronze awls of type a, b, and c and the bronze chisel of type a·b are estimated to have been used in overall drawing, figuration and carving mould. That is, each production and usage is estimated to have been utilized by complementing each other in an organic and interlocking way according to the shape or pattern. Based on findings above, the experiment of experimental archaeology was conducted by using the bronze awl of the section polishing technique in Korean type bronze weapons. 동북아지역의 구분마연 기법은 대체로 동검, 동모, 동과에서 관찰되고 한국식, 중국식, 일본식청동무기에 표현되어 있다. 이들은 중국 산서·산동지역, 한국 남부지역, 러시아 연해주 동남부지역, 일본 북부구주·산음지역에 분포한다. 일련의 자료를 통해 볼 때, 한국식 청동무기는 중국 동북지역뿐만 아니라 중원지역(산서·산동)과의 관계에 따라 출현한 것으로 파악된다. 즉 동북아지역의 청동기문화는 각각의 지역권을 형성하여 상호 유기적이면서 독립적인 위치에 성립된 것으로 이해되는 바이다. 구분마연은 청동무기의 능각과 인부에 횡방향의 규칙적인 마연이 있는 것을 말한다. 한국식동검의구분마연은 0.2~0.5cm 정도의 폭으로 관찰되어 이 좁은 폭을 주목하였다. 즉 봉처럼 얇은 형태, 일정 크기의 단면을 형성한 동추를 제작도구로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청동무기와 청동공구는 분리되어각각의 주형에서 제작되는데 이러한 점은 구리와 주석의 성분비를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무기와 다른 경도의 동추를 사용하여 세밀한 스크래치인 구분마연을 한국식동검에 넣은 것이다. 따라서 한국식동검의 전반적인 마연(주조 지느러미 제거, 능각과 인부 및 절대 성형)은 지석을 사용하고, 세밀한 구분마연은 동추를 활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동추 a형은 다뉴세문경 등의 세밀한 문양 및 제도에, 동추 b형은 다뉴조문경ㆍ유문청동의기ㆍ유문청동무기 등의 굵은 선문과 주연부에, 동추 c형은 다뉴경의 각진 뉴 등에사용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동추 a·b·c형과 동착 a·b형은 전반적인 제도·성형 및 주형 깎기에 사용되었을 것이다. 즉 각각의 제작 및 사용은 형태나 문양에 맞춰 상호 유기적이면서 연동적으로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을 토대로 한국식동검의 실험고고학을 진행하고, 그 정보를 제시한다.

      • KCI등재

        러시아 출토 한국식 청동기의 이해

        허준양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민족문화논총 Vol.81 No.-

        러시아 연해주 출토 한국식 청동기는 한국식동검, 다뉴경, 동사 등이며, 그 출토지는 이즈베스토브까, 스코토보, 아누치노 유적이다. 이들 출토품은 동검의 구분마연, 다뉴경의 문양 등 한국의 고고자료와 공통된 요소가 관찰된다. 러시아의 한국식 청동기는 한국의 동북부지역(함경도 일대)을 거쳐 전파된 것으로, 함흥 리화동, 금야 룡산리 유적의 한국식동검, 동모, 다뉴경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대체로 다뉴조문경과 다뉴세문경의 전환기에 전파된 것으로 분석된다. 일련의 고고자료는 상호 간 호혜적인 관계 속에 러시아 단결-크로우노브까문화와 병행되는 양상으로 이어지고, 집단의 이주(전파)는 한국식 청동기의 단순 모방이 아닌 기물의 기능까지 삽입되어 이뤄진 것이다. 특히 이즈베스토브까-스코토보 유적은 인접한 거리(직선거리 12km 정도)에 위치하여 집단 간 교류 및 공유가 가능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한・러의 고고자료와 자연・지리적 여건은 양자의 교통로로 확인된다. 한・러의 교통로는 함흥→슬라반캬→스코토보→이즈베스토브까의 루트와 함흥→슬라반캬→(우수리스크)→아누치노의 루트로 파악되는 바이다. 현재의 고고자료로 볼 때, 러시아 출토 한국식 청동기는 한국 고고자료의 최북단 출토품으로 판단된다. 다만 러시아 연해주의 한국식 청동기 출토 사례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며 추후의 자료를 통해 병행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동북아시아 다뉴세문경의 전개: 생성과 소멸

        허준양 동아인문학회 2023 동아인문학 Vol.64 No.-

        본 연구는 동북아시아 다뉴세문경의 생성-발전-소멸 과정을 살펴보고, 그 전개의 의미와 배경을 검토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단순히 기물의 전환 또는 발전만을 주목한 것이 아니라 당시 최고의 기술이 접목된 현상, 즉 복합 요소의 결합과 그 변화상을 다뉴세문경에서 찾아내었다. 다뉴세문경의 생성은 다뉴조문경 기반하고, 유문청동기 뉴와 문양의 제작법을 채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동시에 다뉴세문경은 동경의 중심부에 문양을 삽입하고, 內・中・外區의 구획을 가능케 하여 ‘거울’이라는 상징성을 한층 구체화한 완성형의 제작을 의미한다. 다뉴세문경의 발전은 문양과 구획의 다양화, 사용(마모)의 구체화, 파경의 정형화 등으로 확인된다. 특히 완주 일대에 그 변화상이 집중되는 양상은 다뉴세문경의 제작지 또는 유통(분배) 중심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다뉴세문경의 소멸은 일본의 다뉴세문경 출현과 영남지역 유문동과의 제작(轉移)으로 확인되며, 이는 공인의 이주(物・人・技術), 그리고 제작법의 부재(문양 채택)에 따른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당시 사회를 살펴볼 수 있게 한다. 이상의 다뉴세문경 전개는 한반도 내 新물질자료의 출토로 그 변화상이 파악되는데, 대표적인 사례로 중국 철기의 유입에 전환기적 모습이 그려진다. 물질자료는 그 문화의 전파로 이해되고, 그리고 집단 간 상호 관계에 따라 청동기의 변화가 성행된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 다뉴세문경은 생성-발전-소멸 과정을 거쳐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한 것이다. 일련의 전개에는 한반도의 사회・문화적 배경으로 살펴지는데, 고조선(古朝鮮), 위만조선(衛滿朝鮮), 연(燕) 등 역사적 사실과도 연계되는 모습이다. 다만 문헌자료와 고고자료의 대입에 한계가 있음은 이미 주지된 바, 여기에서는 간략히 살펴보는 수준으로 마무리하였다. 다뉴세문경의 구체적인 이해를 위한 면밀한 조사와 연구 및 협업은 추후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creation-development-disappearance of th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多鈕細文鏡) excavated in Northeast Asia, and through this, examines the meaning and background of its development. In this article, we did not just focus on the conversion or development of objects, but also found the phenomenon of grafting the best technology at the time, that is, the appearance of a complex product in th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The creation of th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was made by adopting the knob and patterns of the patterned bronze(有文靑銅器) in the original form of the the bronze mirror with coarse linear designs(多鈕粗文鏡). At the same tim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means the emergence of a finished product that embodies the symbolism of a ‘mirror’ by enabling the insertion of patterns in the center and partitioning of the inner, middle and outer quarters. The development of th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has been developed through diversification of patterns, materialization of use, and standardization of breakage. In particular, the changes seem to be concentrated around the Wanju(完州) area, so Wanju can be considered as the center of production or distribution. The disappearance of th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is confirmed by the production of patterned bronze halberd following the appearance of th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in Japan and the spread of technology in the Yeongnam region. Their aspects make it possible to look at the changes in the socie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at the time due to the migration of public figures (things, people, skills) and the absence of production methods (adopting patterns). The development of th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above can be grasped by the excavation of new material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transitional aspect of the inflow of ironware from China is examined. Material data is understood as the spread of culture, and it seems that the group of Bronze Age culture was inevitable to change in a series of processes as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groups was important. A series of developments are examined as a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y are also connected to historical facts such as Gojoseon(古朝鮮), Wimanjoseon(衛滿朝鮮), and Yan(燕). However, as it has already been noted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substitution of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data, this study is finished at the level of a brief review.

      • KCI등재

        다뉴세문경의 출현과 사용

        허준양 영남고고학회 2023 嶺南考古學 Vol.- No.97

        이 글에서는 다뉴세문경의 실물관찰에서 확인되는 여러 요소를 토대로 제작과 사용 측면에 집중하여 출현이 갖는 의미를 시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다뉴조문경에서 다뉴세문경으로의 변화는 뉴의 분리 제작과 문양의 다양화가 확인된다. 그 과정 중 유문청동기(검파형동기 外)에서 관찰되는 직선형 뉴와 점열문 등의 동일성, 그리고 제작기법의 연계성 등에서 공통점이 찾아져 이들의 양식적 속성을 공유하여 다뉴세문경이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즉 다뉴세문경은 다뉴조문경의 형태에 기반하지만 유문청동기 뉴와 문양의 조합으로 출현한 것이다. 이러한 점은 다뉴세문경을 원활하게 걸기 위한뉴 분리의 목적도 있겠지만 문양의 삽입과 동시에 內ㆍ中ㆍ外區의 구획을 가능케 하여 ‘거울’이라는 상징성을 더욱 구체화한 완성형의 제작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다뉴세문경은 한국 청동기 제작의 발전(복합 기법)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그기술의 정점에 新기물이 생성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다뉴경은 경면(거울면)과 배면(문양면)에 마연ㆍ마모의 흔적이 관찰되는데, 그 형태와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으로 확인된다(a~d식). 그중 다뉴세문경 배면의 왼쪽 뉴 왼편에는 C자형 마모흔이 점차 넓어지는 크기로 관찰되는데, 이는 당시 소유자의 직접적인 사용으로 판단된다. 이 사용은 동경의 의례적인 모습으로 이해되고, 더불어 목관묘에서 파쇄ㆍ산포된 정황은 매장의 장송 의례를 병행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다뉴세문경의 의례는 마모-파쇄-산포의과정으로 파악되며, 일련의 행위는 그 상징성(제작)과 사용(훼손), 그리고 부장(파경ㆍ산포) 등 근원적인 기능을 살펴볼수 있게 한다. In this article, I focused on the aspects of production and use of in th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and examined the meaning of appearance theoretically. This may be for the smooth hanging of in the Bronze mirror with coarse linear designs, but it is for the production of a finished form that expresses the symbolism of the ‘mirror’ in more detail by enabling the insertion of patterns and the division of patterns into the inner, middle, and outer quarters at the same time. In the course of a series of processes, similarities were found, such as the sameness of strings and the Patterned Bronzeware (other than sword- shaped bronzeware), and the connection of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their mutual relationship seems to be even deeper.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in th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was created based on the Bronze mirror with coarse linear designs and adding the knob motif of the bronzeware. This is du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bronzeware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in a series of developments, in th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can be seen as a the knob object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in the Bronze mirror with coarse linear designs and the Patterned Bronzeware, and as the crystallization of creation. Along with this, marring and abrasion traces are observed on the mirror and back of the Bronze mirror with knobs, and the pattern of change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is confirmed (types a to d). The C-shaped wear marks on the left side of the double back (pattern side) of the string appear to have been directly used by the owner at the time, and are understood as the fundamental function of the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In particular, the situation in which the mirrors are broken and scattered in a wooden coffin tomb can be interpreted as a parallel with the burial ceremony along with the ceremonial act of the Bronze mirror with knobs, so it can be understood as a common and identical society with traces of use.

      • KCI등재

        韓國式銅劍의 成立 時期와 造形 - 區分磨硏 技術을 中心으로 -

        허준양 한국고고학회 2016 한국고고학보 Vol.99 No.-

        Bronze daggers featuring the application of section polishing techniques can be divided into types A1 and A2. The A1 type bronze dagger has been excavated at Dongseori, in Yesan, Guejeongdong, in Daejeon, and Namseongri, in Asan; the A2 type bronze dagger has been excavated in Yeonhwari and Gubongri, in Buyeo, and Oryougri, in Iksan. In China, the East Zhou type (A2 type) bronze dagger was excavated from Wanrong Maioqian No. 61M1, in Shanxi province, which has been dated to the early Warring States Period. The trumpet-shaped bronzes excavated from Zhengjiawazi No. 6512, in Shenyang, are similar to the bronzes from Dongseori; the shield-shaped bronzes from the same site are similar to the bronzes from Guejeongdong. Zhengjiawazi No. 6512 site, dated to the lat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bronze dagger and associated artifacts recently discovered from the site of Oryongri were considered, and based on this, it was suggested that the form classification of daggers into types I and II was the result of standardization in form, rather than representing diachronic change. Therefore the upper time limi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type bronze dagger was proposed to be the mid to late fifth century BCE, and the lower time limit to be the late fifth century to early fourth century BC. It is understood that, among the polished stone daggers of the Bronze Ag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striped pattern, polishing skills, and tools used for the patterned stone dagger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Korean-type bronze daggers evidencing section polishing skills. In addition, Korean-type bronze daggers and polished stone arrowheads have been excavated together in Late Bronze Age contexts.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the Korean-type bronze dagger was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patterned stone dagger. Therefore it can be maintained that the Korean type bronze daggers evidencing section polishing techniques adopted the technology of patterned stone daggers. In particular, the stone dagger which features striped patterns in the front of the dagger may have been adopted as the formative model of the Korean-type bronze dagger.

      • KCI등재

        韓國 靑銅武器의 型式分類와 硏究 動向 –尹武炳 선생의 1966·72年 論文과 그 以後-

        허준양 한국청동기학회 2021 한국청동기학보 Vol.28 No.-

        한국의 청동무기 연구는 尹武炳의 청동단검 형식분류에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동북아지역의 청동무기 중 한국에서 출토되는 동검의 특징적인 마연 현상을 찾아낸 것이다. 이후 이를 기반으로 세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는 바 아직까지 이보다 先見을 가진 형식분류가 나오지 못한 것은 그의 완성도 높은 논문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다시 말해 그의 청동무기 형식분류는 현재에도 생명력을 잃지 않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다만 尹武炳의 청동무기 형식분류는 공반품의 검토에서 오류가 발생하는데 필자는 선생의 연구를 기반으로 재분류를 진행하였다. 즉 동검 Ⅰ식과 Ⅱ식 마연의 세부적인 분류를 진행하고, 공반품을 통해 각각의 공존기간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요령식-한국식동과의 계보 문제(단절), 중세형 청동무 기의 제작지(국산화)에 대한 견해를 간략히 제시하였다. 이는 1960년부터 2020년까지 청동무기 연구사와 출토 사례를 기반에 둔 분류·분석의 결과로 생각되는 바이다. 이상을 토대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생각해본다면, 형식분류의 확대보다 선학의 연구사를 받아들이고, 치밀한 관찰을 통해 한국고고학에서 밝혀내지 못한 점을 특정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나아가 고고학 연구는 다양한 방향 모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각화된 쟁점 및 학제 간 협동 연구가 필수적이라 하겠다.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tudy of bronze weapons in Korea is based on the typology of bronze daggers by Youn Moo-Byong. He fou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nishing phenomenon of the bronze sword, excavated in Korea among bronze weapons in Northeast Asia. Based on such findings, various and detail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nd it is thought that the fact that the typology with foresight did not appear shows that his research holds a high degree of completion. In other words, it is suggested that Youn Moo-Byong's typology of bronze weapons does not lose its vitality until now, which is continuously used. However, errors occur in the Youn Moo-Byong's typology of bronze weapons when examining associated goods. For this reason, the author adds additional plans based on this study. For example, detailed taxonomy was conducted on bronze dagger Ⅰ and bronze dagger Ⅱ, and the coexistence period was established through associated goods respectively. In addition, this study briefly presents the views on the issue(severance) of genealogy between Liaoning type-bronze dagger and Korean type-bronze dagger and the production site of middle slender bronze weapons(localization). This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bronze weapons and the research history of bronze weapons based on excavated cases from 1960 to 2020. Considering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history of previous studies rather than the unnecessary expansion of typology and it is needed to specify the parts undiscovered in the Korean archaeology through the careful observation. Furthermore, archaeological research requires a variety of directions. To seek out the directions, mutual cooperation in various ways will be essent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