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상과 사실 - 이영훈교수의 비평에 다시 답한다

        허수열 경제사학회 2013 經濟史學 Vol.54 No.-

        This paper is written on the purpose of replying to the criticism raised by Prof. Young Hoon Rhee (“The Historical Time-Space in Confusion and Fantasy – The Reply to Huh’s Criticism to Me-“). According to his assertion,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of Korea declined drastically during 18th and 19th century, but shows an upward trend with the entering of Japanese farmer to Korea. When I clearly proved there’s no irrigation facilities created by Japanese farmer until 1917 with empirical evidence, he changed his map from 1917 to 1921 without any explanation. There was not a shred of evidence to support his assertion. His regression analysis on the productivity of rice farming between 1645 and 1945 also ignored the particularities of the source data. His assertion that the rapid increase of agricultural product between 1910-1917 was caused by the boom of WWI also could never be proved. His explanations were nothing to do with the theme. I think that the Prof. Rhee’s assertions comes from his imagination, and there is nothing virtual about it. 이 논문은 필자의 저서에 대한 이영훈교수의 비평논문(「혼란과 환상의 역사적 시공-허수열의 『일제초기 조선의 농업』에 답한다」)에 다시 답하기 위해 쓰여진 것이다. 그는 조선의 농업이 17세기 후반부터 19세기 말까지 몰락하고 있었고, 일본인들이 조선에 진출해 오면서 그 상황이 반전되기 시작했다고 생각한다. 전라북도의 방조제, 보, 벽골제를 비롯하여, 조선 후기 수도작 생산성, 1910-1917년간의 미곡 생산 등에 관한 그의 주장은 이런 역사관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영훈교수의 비평 대상이 되었던 필자의 책에서, 1917년까지 일본인에 의해 축조된 방조제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았음을 객관적 증거를 들어 비판하였을 때, 그는 그것을 실증적으로 반박하는 대신 사용하는 지형도를 1917년에서 1921년으로 바꾸면서 문제를 회피해 버렸다. 조선후기 수도작 생산성에 관한 그의 회귀 분석은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잘못된 분석이었고, 1910-1917년간의 농업 생산의 급증이 제1차 세계대전의 호황 때문이라는 그의 주장에 대한 필자의 비판에 대해서도 그는 어떻게 제1차 세계대전의 호황이 농업 생산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설명하는 대신, 관계도 없는 다른 설명만 늘어 놓았다. 필자는 이영훈교수의 주장이 어떤 객관적 사실에 근거를 둔 것이 아니라 그의 상상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식민지근대화론의 쟁점

        허수열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7 東洋學 Vol.41 No.-

        식민지근대화론은 한국의 경제성장에서 추계된 GDP, 1인당 GDP, 인구 등의 자료를 사용하여 일제시대의 조선이 세계적으로 가장 빨리 성장한 지역의 하나였고, 이렇게 조선경제가 성장하면서 비록 민족별로 소득의 불평등은 있었고 그것이 확대되기는 했지만, 조선인들의 1인당 소득, 1인당 소비도 증가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을 토대로 식민지시대에 근대적 경제성장도 시작되었다는 주장도 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의 경제성장에서 추계된 GDP의 일부 문제점만 검토하더라도 이런 주장이 성립되기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 식민지근대화론은 조선총독부 초기통계가 갖는 여러 문제점들을 충분히 수정하지 않고 사용함으로써 지나치게 성장률을 과대평가하였다. 또 식민지경제가 붕괴하는 일제말기를 다루지 않고 그것이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한 1940년까지의 자료만 사용함으로써 발전적 측면만 부각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 KCI등재

        식민지기 조선인 1인당 소득과 소비에 관한 논의의 검토

        허수열(Huh Sooyoul)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0

        식민지근대화론의 대표적인 저작인 『한국의 경제성장 1910-1945』과 『한국의 장기통계: 국민계정 1911-2010』, 그리고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에서 생활수준 부분을 담당했던 주익종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동안 조선인 1인당 GDP와 실질소비지출은 70% 가량 증가하였다고 한다. 일제의 조선 강점의 부당함과 는 별개로 조선인들의 물질적인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는 의미고, 수탈론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주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식민지근대화론의 핵심적인 주장의 하나인 조선인 1인당 GDP 및 실질소비지출이 주익종의 계산처럼 그렇게 증가한 것은 아니었음을 밝혔다. 그의 주장은 조선총독부의 부정확한 통계에 의존하는 바가 컸다. 따라서 그것을 합리적으로 수정하고 1941~1945년 간의 조선경제 몰락기를 고려하면, 조선의 GDP 증가율은 한층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조건에 따라 주익종의 모델을 풀어보면, 그가 상식적으로 도저히 받아 들이기 어렵다고 생각했던 결과들이 모두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이 된다. 그가 자신의 모델을 통해 얻은 결론을 합리화하기 위해 덧붙인 조선인 1인당 소비에 대한 논의 역시 자료를 엄밀하게 분석해 보면, 거꾸로 자신의 주장과 배치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일제강점기 동안 조선인들의 1인당 소득이나 소비가 증가했다는 식민지근대화론의 주장은 사실에 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Joo Ik -Jong was in charge of writing the sections regarding the standard of living in several books, including Economic Growth in Korea 1910-1945 (2006), National Accounts of Korea 1911-2010 (2012), and New 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around the Liberation Period (2006). He argued that per capita GDP and per capita real consumption expenditures of Koreans increased by approximately 70%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physical standard of living of Koreans improved significantly, and directly refutes the theory of colonial exploi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ute Joo’s argument by generalizing his model. In my generalized model, I show that the per capita GDP of Koreans depended mainly on the growth rate of the GDP and that his argument relies on inaccurately estimated growth rates of the GDP. If we modify the exaggerated growth rate from 1910 to 1917 and consider the Korean economy’s collapse between 1941 and 1945, the GDP growth rate of Korea will decline significantly. And in this low growth rate, the per capita GDP of Koreans will be reduced. The argument through the colonial modernity that per capita GDP and per capita consumption expenditures of Koreans increased substantially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s opposed to the fa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