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실시간 수업에서의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연구

        한진희,Han, Jinhe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3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진행된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C대학교에서 2020학년도 2학기 말에 온라인 설문조사에 응답한 188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결과 분석을 진행한 결과, 학습자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해 만족하지 않았으며, 온라인 수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수업내용이며, 그 다음으로 수업 운영, 플랫폼 순이었다. 따라서 교수자는 학습자가 만족하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위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수업내용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수업내용을 구성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교수자는 체계적이고 충실한 수업 설계를 통해 학습자가 수업에 사용되는 플랫폼에 익숙해져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여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에 더해, 학습자의 요구와 어려움을 파악하여 학습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수업을 계획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 개 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과 한정된 변수만을 측정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learners' class satisfac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synchronous online classes after COVID-19. A total of 188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conducted at the end of the Fall Semester 2020 at C University located Gyeongsangnam-do. Findings revealed that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synchronous online classes was relatively low, and the learners had negative perception of that. Learning content have the biggest effect on the learners' class satisfaction. Next came class management and the online learning platform. Therefore, instructors need to organize learning content effectively and enhance learners' understanding considering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learning content so that learners are satisfied with the synchronous online classes. Also, instructors should make it possible for learners to get familiar with the online learning platform and use it without any problems through systematic and faithful class design for effective learning in unfamiliar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n addition, instructors need to know learners' needs and difficulties and plan their synchronous online classe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was conducted only at one college and the limited number of variables was measured.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코로나19 이후 온라인수업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진희 ( Han¸ Jinhee ),한가영 ( Han¸ Gayoung. ) 대한영어영문학회 2021 영어영문학연구 Vol.47 No.3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in online education after COVID-19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the 212 Korean abstracts related to online education from 2020 to April, 2021 in Korea. The analysis of text mining and topic modeling were conducted through Textom 5.0 and UCINET 7.724. Findings revealed that keywords such as ‘class’, ‘learners’, ‘education’, ‘learning’, ‘instructors’, ‘online’, and ‘university’ were the main ones, and keywords with high centrality were ‘online education’, ‘class’, ‘learners’, ‘education’, and ‘research’. Additionally, the topics of about 35.6% of the total papers were related to the keywords like ‘class’, ‘online education’, and ‘learn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achievements of the research about online education conducted after COVID-19, and g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Changshin University)

      • KCI등재후보

        기혼여성상담자의 다중역할 갈등과 소진의 관계에서 수퍼바이저·배우자지지의 조절효과

        한진희 ( Jinhee Han ),김봉환 ( Bongwhan Kim ) 한국심리유형학회 2019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0 No.1

        본 연구는 기혼여성상담자의 다중역할 갈등과 소진의 관계에서 수퍼바이저와 배우자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기혼상담자 207명을 대상으로 일-가족 다중역할 갈등 척도, 수퍼바이저 지지 척도, 일-가족 양립을 위한 배우자지지 척도, 상담자 소진 척도(K-CBI)를 사용하여 설문을 진행하였고. 응답자의 95%가 여성이었다. 각 변인 간 관계를 알아 보기위해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다중역할 갈등은 소진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에, 수퍼바이저 지지, 배우자 지지와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에 있었고, 소진은 수퍼바이저 지지와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에 있었다. 둘째, 수퍼바이저 지지, 배우자 지지가 다중역할 갈등과 소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수퍼바이저의 평가적 지지가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넷째, 배우자의 자녀양육 및 교육 공유, 가정 일 도움, 어려움에 대한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본 연구는 상담자의 사회적인 차원의 예방 책략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개인과 주변 환경과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타인 보살핌과 자기 보살핌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각을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결과에 근거한 의의와 한계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사항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or’s supports and spoussal supports in the relation between married female counselors’ multiple role conflicts and burnou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7 married counselors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scales of work-family conflict, Korean counselor burnout inventory, the supervisor’s support, spousal support were used. To distinguish the moderating effec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indicate that meaningful positive relation between multiple role conflict and burnout exists. Meaningful negative relation among multiple role conflict and the supervisor's support and spousal support was also observed. Second, supervisor's support and spousal support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multiple role conflict and burnout. Third, ‘evaluative support of supervisor’ had moderating effect. Fourth, ‘sharing nurturing and educating children’, ‘helps with household matters’, ‘supports with difficulties’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multiple role conflict and burnout. Th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for differential social intervention strategies in counseling and the importance of active interaction of counselors and social support system. It also means that counselor have to maintain equilibrium between taking care of others and taking care of oneself.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 인식 연구

        한진희(Han Jin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5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instructors and learners about synchronous online classes and to deduce implications for conducting effective online classes as they are becoming more common and long-term because of COVID-19.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at the end of the Fall Semester 2020 at C University, which is located in Gyeonsangnam-do. A total of 39 instructors and 188 learn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ndings revealed that instructors need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system for conducting online classes. Additionally, the need for a system to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was identified. Further, it was found that instructors need to choose the class ty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of their clas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was conducted only at one university. However, it revealed meaningful findings that could be used to improve synchronous online classes. In future, several studies on online classes are anticipated.

      • 코로나 19로 인한 발달장애 아동의 온라인 교육 문제 탐색 연구

        한진희 ( Han Jinhee ),심재환 ( Shim Jaehwan ),정세원 ( Jeong Sewon ),최진우 ( Choi Jinwoo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20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20 No.-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하여 발달장애 아동이 온라인 수업 환경 속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교육은 전례가 없는 사례이며, 발달장애는 연령에 관계없이 발달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코로나 19 상황에 대한 주관적 의미는 무엇이고, 교육이 그들의 삶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으며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4명의 발달장애 아동의 학부모, 2명의 특수학교 교사가 연구에 참여 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교육으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와 한계가 있었다. 온라인 교육으로 전환됨에 따라 발달장애 아동이 사회성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게 되었고, 발달장애 아동이 가정에 머무르게 됨에 따라 학부모의 가사, 교육 부담이 증가하였다. 또한 개인의 수준에 적합한 교육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 많았다. 게시된 온라인 수업 콘텐츠의 난이도가 높아 수업을 따라가기 힘들거나, 난이도가 낮아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발달장애 아동 각각의 수준에 맞는 콘덴츠를 제작하기에는 시간과 물리적인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 아동의 수준에 맞는 온라인 학습법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 코로나 19와 같은 상황에서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 가이드 라인 구축 및 교육 콘텐츠 제공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개발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difficulty of childre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in the circumstances of online learning amid the COVID-19 pandemic. We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examine their subjective meaning of COVID-pandemic situation, how education is connected and how it influences their life through an interview. 4 parents of them and 2 special-education school teacher were participated into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online learning system derives several problems. As the education system has been converted to virtual, it reduced the chance of socialization of childre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left them in-home, which increased the household workload and education pressure on their parents. Appropriate education that is suitable for their own developmental spectrum was not provided. The level of online learning contents was too high that children had trouble understanding the materials and the same applied when the level was easy. In addition, teachers had a lot of hardship and limitation to make proper online learning contents for them. These results show that having a research of proper online learning method for childre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having education guideline for them in a disastrous situation like COVID-19 pandemic and developing an organize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learning contents become paramount.

      • KCI등재

        대학 교양영어 교육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연구

        한진희(Han Jin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8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양 영어 프로그램에서 한국인 영어 교수자와 원어민 영어 교수자가 가르치는 수업에 따라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수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에 위치한 4년제 C대학교에서 2019학년도 2학기 <영어회화>를 수강한 학생 831명을 대상으로 2019학년도 2학기가 끝나는 시점에 설문조사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총 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업내용, 교수법, 전문성 및 열정, 성실성, 과제분량, 피드백, 평가기준 및 방법제시의 명확성,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체 만족도 요인을 측정하였다. 학습자들은 한국인 교수자와 원어민 교수자의 영어 수업에 대체로 만족하였으며, 두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또한 원어민 영어 교수자의 수업과 한국인 영어 교수자의 수업 모두에서 교수자의 수업방법, 과제분량, 피드백, 평가기준 및 방법제시 항목이 전체 만족도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하지만 한국인 교수자의 영어 수업에는 교수자와의 원활한 상호작용 정도를 보여주는 피드백 요인이, 원어민 교수자의 영어 수업에서는 교수자의 수업 방법이 얼마나 효과적이었는지에 관한 요인이 전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 영어 교수자와 원어민 교수자의 영어 수업에서 학습자들은 교수자와의 활발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중요시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students’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English programs taught by native English teachers and Korean English teachers and to ascertain what is the biggest variable affecting students’ satisfaction.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 of the survey conducted at the end of the fall semester 2019 at C University, which is located in Gyeongsangnam-do. A total of 831 students who opted for “English Communication” at the fall semester of 2019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eight questions, which included “content,” “teaching method,” “competence,” “attitude,” “amount of homework,” “feedback,” “clarity in assessment,” and “overall satisfaction.” The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English courses of both the Korean and native English teacher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itionally, in the classes of both the native and Korean English teachers, “teaching method,” “amount of homework,” “feedback,” and “clarity in assessmen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overall satisfaction.” The most important variable of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English courses of Korean English teachers is “feedback,” which indicated how smooth the interaction with the teachers was. However, with the English classes of Native English teachers,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 method” was the most vital variab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udents emphasize ac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teachers in the English classes of Korean and native teachers.

      • KCI등재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와 교수자 간 상호작용이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교수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가영(Han Gayoung),한진희(Han Jinh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0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장기화되는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서 효과적인 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자와 교수자 간의 상호작용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 교수 실재감이 이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의 온라인 수업 만족도를 높이고, 온라인 수업의 질적 향상을 꾀하여,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교육 환경을 제시하는 데 기초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경상남도 소재 C대학에서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학습자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수업 안내 및 학습 촉진 요인과 교수적 지원요인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수업의 체계적 실행, 학습 촉진 및 점검, 의사소통 촉진 요인이 학습자와 교수자 간 상호작용과 수업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와 교수자 간 상호작용이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교수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알아보고, 교수자가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고려할 부분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on the satisfaction of universities’ online classes prolonged after COVID-19 and to test the mediatingeffect of teaching presence. Further,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research for effective learningenvironment by increasing learners’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the class.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 of the survey conducted at C University, which is locatedin Gyeongsangnam-do. A total of 172 learners who took a online clas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ndings revealed that the effect of ‘class guidance and facilitating learning’ and ‘instructionalsupport(support and management of learning materials)’ factors on the class satisfaction are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 ‘facilitating and monitoringlearning,’ and ‘facilitating discourse’ factors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and the class satisfaction.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learnersand instructors on the online class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presence areinvestigat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the implications that instructors should consider inthe online class environment are suggested in this study.

      • KCI등재

        C대학교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연구

        윤지원 ( Jiwon Yoon ),한진희 ( Jinhee Ha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C대학교의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운영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인식을 통해 현 수준을 진단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교양교육과정이 5개 핵심역량 중 다중시민 역량 개발에 가장 도움이 많이 되고, 사랑헌신 역량 개발에 도움이 가장 덜 된다고 답하였다. 중요하게 생각되는 핵심역량에 대해서는 공감소통 역량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실제 교양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역량으로 네트워크 역량, 다중시민 역량 순으로 응답하여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량과는 차이가 있었다. 핵심역량의 성취정도는 네트워크 역량, 창의융합 역량 순이었고, 교양교과목과 핵심역량의 일치 정도는 창의융합 역량이 가장 높고, 사랑헌신 역량이 가장 낮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겠지만, 이후, 이에 대한 보완을 통해 교양교육과정의 내실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current situation through investigating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es in C university and it is very much interest that this study trie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students get a feel for Affectional Multi-citizen and they think Love-devotion has the least effect to develop their own competences among five core competences. Also, they think Empathy communication i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e of the five but they seem to be aware of Network and Affectional Multi-citizen take the most part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ey know to achieve the competences in the following order; Network and Creative convergence. The answer of the question, that is, how related the competence which the subjects try to acquire is to five core competences in the curriculum, is that Creative convergence works but Love-devotion doesn’t work.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study become a base material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general education through a follow-up research on the core competence-based curriculum of gene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