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로교육에서 직업카드 활용의 현황과 과제

        김봉환(Kim, BongWh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직업카드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앞으로 직업카드 개발 및 활용이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이 무엇인가를 탐색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직업카드 개발과 활용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직업카드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셋째, 직업카드 개발과 활용의 합리화와 효율화를 위하여 앞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법은 먼저 직업카드와 관련된 문헌과 자료 그리고 개발된 직업카드와 연구논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직업카드 개발과 관련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FGI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2년에 처음으로 직업카드가 개발 된 이후로 지금까지 14종의 직업카드가 개발되었고, 활용 대상은 초.중등학생과 성인 등 매우 다양한 대상을 포함하고 있다. 둘째, 다양한 대상을 겨냥해서 개발된 직업카드와 분류 활동 등을 종합해 보면 대체로 적용 대상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앞으로 직업카드 개발과 활용의 측면에서 제안된 사항으로는 대상에 특화된 보다 다 양한 종류의 직업카드 개발, 직업카드 분류 방법의 다양화와 정교화, 직업카드를 활용한 집단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의 활성화, 다양한 변인을 포함한 직업카드 분류활동에 대한 효과검증 연구의 활성화 등을 포함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vocational cards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utilized in Korea, in order to find out what should be considered for reasonable and effectiv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vocational cards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facts and figures of vocational cards in Korea in terms of development and utilization? Second, how is the current research trend in Korea related to vocational cards? Third, what should we consider in the future for the rationalization and efficiency in developing and utilizing vocational cards? To solve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literature and materials related to vocational cards and existing vocational cards and theses. Next, this study conducted FGI three times with experts related to vocational card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nce 2002 when a vocational card was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a total of 14 vocational cards have been developed so far and the subjects comprised many classes such a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adults. Second, considering the vocational cards developed for various classes and sort activities, it was shown that vocational cards hav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in variabl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Third, the suggestions presented in terms of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vocational cards include development of more specified and diverse kinds of vocational cards. The verification and preciseness of vocational card sort, and activ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group career guidance program utilizing vocational cards. It is also suggested that activation for research on effect verification of vocational card sort, including various variables is conducted.

      • KCI등재

        평생능력 개발 : 전직지원상담자의 역량분석

        김학아 ( Haka Kim ),김봉환 ( Bongwhan Kim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5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7 No.2

        본 논문은 전직을 원하는 내담자들에게 전직지원 서비스를 수행하는 상담자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분석한 연구로, 최근 다양한 영역에서 전직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는 경향성을 반영하였다. 아직까지 전직의 영역 및 조직화는 명확한 대한 체계가 잡히지 않아 그 영역을 단정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직지원서비스 및 상담을 실시하는 전문가들에게 특별히 요구되는 전문역량을 파악하고, 실제 상담 장면에서 그것을 적용하여 내담자의 필요를 조력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기법을 사용하여 총 3회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직지원상담의 현황 및 전문가들에게 요구되는 구직자들의 다양한 수요를 총 3개의 역량군, 13개의 역량요소, 55가지의 역량지표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현재의 전직지원 여건 및 향후 전망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capability that counselors providing outplacement consulting need to equip themselves with and reflects the tendency of the increasing interests in a change of job in various fields of work. Since few studies on the aspects and organization of a change of job have been conducted, the present study aims at investigating professional capability that counselors specialized in outplacement need to have and hope to support clients in the real counseling situations. A total of three surveys were conducted based on a Delphi-analytic approach. As a result, the present study draws 3 types, 13 aspects, and 55 indexes of the capability in terms of the real conditions of outplacement consulting and various demands for job seekers. Based on the criteria mentioned above, the study discusses the present conditions of outplacement and the future prospects.

      • KCI등재

        사별한 부모의 사망 연령 시기를 맞은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현숙(Hyunsook Kim),김봉환(Bongwha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별한 부모의 사망 연령 시기를 맞은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경험을 이해하고 그 본질을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 문제는 “사별한 부모의 사망 연령 시기를 맞은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어떠한가?”이다. 연구자는 51세-59세의 여성 참여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Giorgi(2004)의 기술적 현상학 연구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상황적 구조 기술과 일반적 구조 기술로 나누어 기술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황적 구조 기술에서는 46개의 드러난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연구자는 이를 ‘무너진 하늘: 부모 죽음의 충격’, ‘부모의 삶과 나의 운명은 복사본’, ‘삶의 중턱에서 마주친 위기가 소환한 죽음불안’, ‘상실의 고통을 안고 생존의 바다를 가로지르기’, ‘언제나 곁에 있는 부모의 빈자리’, ‘가슴 속 깊이 묻어두었던‘나‘를 만나고 위로하기’, ‘다시 만난 중년의 부모를 부둥켜안기’, ‘죽음을 응시하고 수용하기’, ‘상실의 상흔을 간직한 유한한 존재로서의 성숙’의 9개의 본질적 주제로 구성했다. 이를 통해 사별한 부모의 사망 연령 시기를 맞은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경험의 본질은 ‘슬픔을 간직한 채, 삶을횡단한 죽음과 화해하는 과정’으로 귀결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별한 부모의 사망 연령시기를 맞은 중년여성의 죽음불안 경험에 대한 논의를 했고, 이후 의의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eath anxiety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who have reached the age of death of their deceased parents and to reveal the essence of them. The research question set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is “What is the meaning and essence of death anxiety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who have reached the age of death of their deceased parents?” The researchers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female participants aged 51-59 year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The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situational statements and general structure statement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In the situational statement, 46 topics were derived. The researchers found that their recovery experiences mean ‘sky is falling: shock of parents’ death,’ ‘my destiny to live an identical life of parents’,’ death anxiety resurfacing by a crisis at the middle of life,’ ‘crossing the sea to survive the pain of loss,’ ‘absence of parents who used to be always by my side,’ ‘meeting and comforting me I had buried deep in my mind,’ ‘hugging middle-aged parents I met again,’ ‘staring at death and embracing it,’ and ‘maturity as a mortal being, keeping the scars of loss.’ Through this, the essence of the death anxiety experience of a middle-aged woman who has reached the age of death of their deceased parents has been concluded as “the process of reconciliation with death running through life while keeping sorrow.”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death anxiety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becoming age of death of their deceased parents, and then presented their significance and suggestions.

      • KCI등재

        일반고 재학생의 학업중단위기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권신영(Shinyong Kwon),김봉환(Bongwha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4

        본 연구는 일반고 학생들의 학업중단위기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로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그들의 학교생활을 통한 학업중단위기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인 내러티브 탐구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시한 5단계 수행 절차를 따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일반고에 재학 중인 3명의 학업중단위기 학생들로 연구 참여자마다 5회 이상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학업중단위기 경험의 의미는 크게 ‘터널을 만나다’, ‘터널을 지나다’로 구성하였으며 다시 세분화하여 ‘친구라는 이름의 이중성’, ‘학교라는 이름의 굴레’, ‘길을 찾아내다’, ‘의미를 찾아내다’로 구성하였다. 연구를 통해 학교생활 속에서 학업중단위기를 겪고 있는 학생들의 살아내는 ‘이야기’를 생생하게 들을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교생활에서의 친구관계의 중요성, 학교의 개별화된 의미 탐색 및 위기학생 상담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연구자와 같은 고민을 하는 이들에게 학업중단의 실제적인 의미를 탐색해 보는 기회가 되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 of the at-risk student for school dropout by listening to the story of their lif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hree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a general high school who experienced the risk of school dropout. They were all students from the school the researcher was working at, and data was collected from more than five sessions of interviews in total to investigate their experiences on the verge of school dropout.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d transferred directly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xperiences of at-risk students of school dropout were as follows: It comes in the two chapters of ‘Face the tunnels’ and ‘Go through the tunnels’ to tell the ‘live story’ of students experiencing the risk of school dropout. The researcher expect that the results will be helpful to prevent various cases of school dropout in the field and to prepare alternatives.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중·고등학생의 온라인 진로상담 호소문제 분석: 커리어넷 온라인 진로상담 사례를 대상으로

        방혜진(Hyejin Bang),김봉환(Bongwhan K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빅데이터(Big Data) 분석 방법 중의 하나인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이용하여 중 · 고등학생들이 온라인 진로상담에서 호소하는 문제의 내용과 경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료로는 교육부 및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운영하는 진로정보망 커리어넷의 온라인 진로상담 사례를 이용하였다. 2000년도부터 2019년도까지 총 20년간의 온라인 진로상담 사례 200,239건을 중학생, 고등학생의 2개 대상으로 구분하였고, 진로상담 신청내용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실시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분석절차는 텍스트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분석, 데이터 해석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으며, R프로그램과 관련 패키지를 이용하여 Word Frequency, Word Cloud, Keyword Network Map 등의 분석기법을 사용하였다. 2019년도 진로상담 사례를 대상별로 구분하여 상위 5위의 키워드를 확인해본 결과, 중학생은 직업(n=2,376), 좋다(n=1,852), 공부(n=1,541), 꿈(n=1,517), 없다(n=1,495)로 나타났고, 고등학생은 직업(n=5,102), 좋다(n=4,591), 없다(n=4,417), 학과(n=4,340), 대학(n=4,138)으로 나타났다. 2000 ~ 2019년도 데이터를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키워드의 순위 변화를 살펴본 결과, 진로상담 사례에서 주요하게 언급되는 키워드는 ‘직업’이었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직업이 차지하는 키워드 순위는 지속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고등학생이 온라인 진로상담에서 호소하는 문제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진로상담에서 직업정보 제공 및 온라인 진로상담의 활용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reer concer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on-line career counseling by using text mining, one of the big data analysis methods. The analysis used online career counseling cases of CareerNet oper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00,239 cases of online career counseling were divided into two targets of middle, high school students from 2000 to 2019. To carry out the research, the analysis methods of Word Frequency, Word Cloud, Keyword Network Map were used using R programs and related packages that were useful for big data analysis. In 2019 career counseling cases, the top five keywords were identified by target,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be jobs (n=2,376), good (n=1,852), study (n=1,541), dreams (n=1,517), and none (n=5,102), good (n=5,591), no (n=4,4404), and department (n=417),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change in the ranking of keywords over time, the key word mentioned in the career counseling case was “occupation,” and the ranking of jobs over time was more solid. Through this study, discussions were held to come up with more effective career counseling measures by addressing the expectation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career counseling, the need to effectively provide job information in career counseling scenes, and issues related to the use of online counseling.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진로교과목과 진로구성 이론을 중심으로

        강미영(Miyoung Kang),김봉환(Bongwha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individual human life and career constr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four stages with reference to the narrative inquiry process of Clandinin and Connelly(2000) with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the career course in the university. In the study, the career construction theory was used as an interpretive framework to effectively understand and explain the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quality. The questions of career construction interview were applied to the entire study, including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nd the meaning of experience was derived, focusing on the core concepts such as life career theme, occupational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The meaning of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was derived as ‘Enlightenment about the existence and possession of the yoke’ ‘Reach the world in language’, ‘Insights again with inward eyes,’ ‘Revelation of Futur Antérieur,’ and ‘The Re-start in Hub.’ The practical implications to be presented in the field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tories of life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survived have formed their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s through ‘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Talking again’. Second, 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various interaction activities in the career course and constructed a career ‘By oneself and Together.’ Third, the experience of career constru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eans ‘By oneself, Self-Construction living together.’ This study hopes that this relational inquiry process will be a meaningful help for the lif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it is expected that a new understanding of the career construc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will contribute to the practice of career education and to transform the atmosphere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대학생인 개별 인간의 삶과 진로구성 경험을 이해하는데 있다. 내러티브 탐구로 수행된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진로교과목을 수강했던 대학생 2명과 함께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참조하여 4단계로 수행되었으며,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을 질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해석적 틀로써 진로구성 이론이 활용되었다. 진로구성 인터뷰 질문들은 자료 수집, 분석 및 해석 등 연구 전반에 적용되었으며, 핵심개념인 생애진로주제, 직업적 성격, 진로적응성을 중심으로 경험의 의미가 도출되었다.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의 의미는 ‘굴레의 존재와 소유에 관한 깨달음’, ‘언어로써 세상에 다다르다’, ‘다시 속눈으로 통찰’, ‘전미래의 현시’, ‘허브에서의 재출발’로 도출되었다. 진로상담 및 교육 현장에 전할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인 연구참여자들이 살아낸 삶의 이야기들은 ‘주체적 해석과 다시 이야기하기’를 통해 그들의 진로구성 경험을 형성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진로교과목 수강과정에서 다양한 상호작용 활동에 참여하며 ‘스스로, 더불어’ 진로를 구성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은 ‘스스로, 더불어 살아가는 자기 세움’의 의미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계적 탐구과정이 결과적으로 연구참여자의 삶에 의미 있는 도움이 되기를 소망하며, 대학생의 진로구성 경험에 관한 새로운 이해가 진로교육의 실천을 바르게 하고, 진로상담 및 교육 현장의 공기를 전환시키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기혼여성상담자의 다중역할 갈등과 소진의 관계에서 수퍼바이저·배우자지지의 조절효과

        한진희 ( Jinhee Han ),김봉환 ( Bongwhan Kim ) 한국심리유형학회 2019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0 No.1

        본 연구는 기혼여성상담자의 다중역할 갈등과 소진의 관계에서 수퍼바이저와 배우자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기혼상담자 207명을 대상으로 일-가족 다중역할 갈등 척도, 수퍼바이저 지지 척도, 일-가족 양립을 위한 배우자지지 척도, 상담자 소진 척도(K-CBI)를 사용하여 설문을 진행하였고. 응답자의 95%가 여성이었다. 각 변인 간 관계를 알아 보기위해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다중역할 갈등은 소진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에, 수퍼바이저 지지, 배우자 지지와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에 있었고, 소진은 수퍼바이저 지지와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에 있었다. 둘째, 수퍼바이저 지지, 배우자 지지가 다중역할 갈등과 소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수퍼바이저의 평가적 지지가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넷째, 배우자의 자녀양육 및 교육 공유, 가정 일 도움, 어려움에 대한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본 연구는 상담자의 사회적인 차원의 예방 책략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개인과 주변 환경과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타인 보살핌과 자기 보살핌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각을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결과에 근거한 의의와 한계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사항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or’s supports and spoussal supports in the relation between married female counselors’ multiple role conflicts and burnou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7 married counselors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scales of work-family conflict, Korean counselor burnout inventory, the supervisor’s support, spousal support were used. To distinguish the moderating effec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indicate that meaningful positive relation between multiple role conflict and burnout exists. Meaningful negative relation among multiple role conflict and the supervisor's support and spousal support was also observed. Second, supervisor's support and spousal support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multiple role conflict and burnout. Third, ‘evaluative support of supervisor’ had moderating effect. Fourth, ‘sharing nurturing and educating children’, ‘helps with household matters’, ‘supports with difficulties’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multiple role conflict and burnout. Th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for differential social intervention strategies in counseling and the importance of active interaction of counselors and social support system. It also means that counselor have to maintain equilibrium between taking care of others and taking care of oneself.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findings were discussed.

      • 대학생의 리더십 향상과 기초직업능력 개발

        김봉환,이성옥 숙명여자대학교숙명리더십개발원 2008 숙명리더십연구 Vol.8 No.-

        이 연구에서는 지식기반사회로 접어든 현대사회에서 대학생들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직업 환경에 적응하고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리더십과 기초직업능력의 중요성을 탐색하고, 리더십과 기초직업능력의 관계를 살펴본 후,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지식기반사회에서 조직은 창의적인 지식을 갖추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인적 자본에 크게 의존하게 되므로 대부분의 직업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기초직업능력을 갖춘 인재를 필요로 한다. 리더십과 기초직업능력의 구성요소를 비교해 본 결과 두 요소 간에 공통점도 있었고 상이한 점도 발견되었다. 그리고 리더십이 기초직업능력의 영역에 포함되도록 분류한 연구도 일부 있었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대인관계의 하위 영역에 부분적으로 포함되었거나 아예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적자원이 중심이 되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점점 더 강조되고 있는 리더십에 대하여 간과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높은 수준의 기초직업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리더십 능력을 반드시 갖추어야 할 것이다. 조직구성원들이 자발적이고 창의적으로 일에 몰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리더십을 매우 중시하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리더십을 기초직업능력의 중요 영역에 포함되도록 기초직업능력의 영역에 대한 재구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기초직업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정부의 재정적, 제도적 지원과 대학의 교육과정 편성과 각종 지원프로그램 개설 그리고 기업의 협조를 제안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and vocational core competence that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equipped with in order that they can adapt themselves to a rapidly changing vocational environment and demonstrate their own ability in modern society. It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vocational core competence and discussed plans to improve these abilities. Organizations in a knowledge-based society largely depend on human resources wherein creative knowledge can be utilized, It is essential to be equipped with vocational core competence that is a common requirement in most vocations. Comparing the elements of leadership with vocational core competenc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omething in common as well as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ome researches categorized leadership under vocational core competence but in most researches, leadership was partially included in the sub-area of personal relations or not included at all. It means that those researches failed to notice leadership that has been emphasized in knowledge-based societies where human resources are the key factors. In order to demonstrate a high level of vocational core competence, one must have leadership ability.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times that places importance on leadership that can lead and attract members to organizations where they work voluntarily and creatively, re-conceptualizing the meaning of vocational core competence should be done so that leadership is included in the essential area of vocational core competence. As for the plan to improve vocational core competence, finan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needed. Furthermore, providing courses in university curriculum and various support programs and obtaining cooperation from companies is also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