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골격계질환 예방활동이 작업·물리치료사의 통증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승협,노동희,손보영,이나정,안선정,감경윤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1

        목적 : 본 연구는 작업·물리치료사들의 근골격계질환 유해인자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예방프로그램의 적용이 통증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 5월부터 동년 7월까지 경남 창원에 위치하는 C병원에 근무하는 21명의 작업·물리치료사들을 대상으로 근골격계질환 유해인자를 Quick Exposure Checklist(QEC)를 통해 확인한 후, 이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예방프로그램을 8주간 적용하였다. 대상자들의 중재 전·후의 통증과 스트레스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와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각각 사용하였다. 결과 : QEC를 통해 작업·물리치료사들의 업무환경은 개선이 필요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고, 중재를 적용 후 중재 전에 비해 VAS와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결과가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p<.05). 또한 VAS와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통증변화와 직무스트레스변화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05). 결론 : 본 연구는 작업·물리치료사의 업무환경 분석을 통한 근골격계질환 예방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근골격계질환 예방활동이 작업·물리치료사의 통증 및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작업치료 전문가 활용을 통한 사물인터넷 기반 인공지능 로봇 서비스가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 돌봄에 미치는 영향

        한승협,최민경,조은주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net of Things (IoT)-enabl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robot services, combined with counseling and monitoring provided by occupational therapy professionals, on the care of school-ag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 IoT-based AI robots were provided to 171 school-ag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for four months, enabling the children to use the robots themselves with their parents. For the following six months, occupational therapy professionals conducted the monitoring including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parents during using the robot. The professional monitoring was provided to the parents by telephone calls every month and text messages at least once a week.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robots, a usability test was conducte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right before the professional monitoring period. Additionally,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professional monitoring, a satisfaction of robot usage and effectiveness of care 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monitoring period. Results : The study confirmed that IoT-based AI robots can be useful devices for the care of school-ag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p>.05). Furthermo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atisfaction with robot usage and effectiveness of care were shown after the professional monitoring for six months (p<.05). In particular, the interest,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regarding the cognitive program were higher compared to other programs, and they significantly improved even after six months monitoring period (p<.05).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at IoT-based AI robots are effective for the car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maximize these effects, we suggest that professional management and supervision by occupational therapists be needed. It is guessed that education and management of using AI robots for people with disability could become a new role for occupational therapists in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목적 :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기반 인공지능 로봇과 함께 작업치료 전문가에 의한 상담 및 모니터링을 제공하였을 때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의 돌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 171명을 선정하여 각 가정에 사물인터넷 기반 인공지능 로봇을 보급하여 4개월간 부모와 함께 아동 스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이후 6개월간 로봇 사용과 함께 작업치료 전문가의 부모상담 및 교육, 모니터링을 유선 월 1회, 문자메시지 주 1회 이상 실시하였다. 모니터링 전 로봇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른 로봇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로봇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모니터링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모니터링 전, 후 로봇 활용 만족도 및 돌봄 효과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의 돌봄을 위해 사물인터넷 기반 인공지능 로봇은 유용한 기기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차이는 없었다(p>.05). 또한 모니터링 후 로봇 활용에 대한 만족도 및 돌봄 효과성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05). 특히 전산화 인지활동의 흥미도, 수행도, 만족도는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 높았고, 모니터링 사후에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결론 :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의 돌봄을 위해 사물인터넷 기반 인공지능 로봇이 효과적이며,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작업치료사에 의한 관리 및 감독이 필요함을 지지한다. 또한 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 로봇 사용에 대한 교육 및 관리가 지역사회 작업치료사의 새로운 역할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수도권 1기 신도시 오피스텔 가격결정요인 연구

        한승협,이명훈 한국도시재생학회 2016 도시재생 Vol.2 No.2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market price and characteristics of officetels densely crowded in commercial areas of metropolitan area newtown. Also, we examined the possible factors that affect officetel prices using Hedonic price model. By comparing these factors among new-towns, we sought to understand new-town officetel markets and propose a direction for new-town officetel market policies. After analyzi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early metropolitan area officetel market price by region, we noticed that the complex, area, accessibility characteristics differed by area.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for 1~2 person families in new-town s plans to manage small-size housing including officetels are needed. As the supply of new-town small-size apartments decreased, the price of officetels increased. Also, the increase of 1~2 person families will continue to rise. Therefore, policy plans for providing and managing smallsize housing in already developed early metropolitan areas are needed. Secondly, a plan to show the necessity of securing self-sufficiency of newtowns and a plan to provide sufficient number of officetels based on the newtown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areas is necessary.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early metropolitan business professional ratio and service ratio with securing self-sufficiency and officetel prices. Controlling the time of supplying officetels in new town commercial areas appears to be needed along with a management plan and policy making from the government for new-town self-sufficiency.

      • KCI등재

        휴대전화를 이용한 원격재활(Telerehabilitation)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한승협,김동인,김진희,박아름,박충환,이보민,이재원,감경윤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3

        목적 : 본 연구는 만성뇌졸중 환자에게 휴대전화를 이용한 원격재활이 상지운동기능, 균형감각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발병 2년 이상 경과된 만성뇌졸중 환자 20명을 무작위 할당을 통해 실험군(10명)과 대조군(10명)으로 구분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자가운동프로그램을 주 5회, 총 8주간 실시하였다. 자가운동프로그램과 함께 실험 군에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원격재활 중재를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에는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일일점검표를 제공하였다. 중재 전·후 대상군들의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Fugl-Meyer 평가 척도, 버그균형검사,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운동 활동지표, 수정된 바델지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 휴대전화를 이용한 원격재활 중재가 제공된 실험군은 상지기능, 균형감각 및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서 유의하 게 향상된 반면(p<.05),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못했다(p>.05). 또한 중재 전·후의 변화량, 수행도와 만 족도 모두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본 연구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원격재활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균형감각 및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효과적 임을 지지하며, 국내 임상적 상황에서 원격재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기여분을 둘러싼 제문제 : 부양기여분법제

        한승협 부산여자대학 2009 釜山女子專門大學 論文集 Vol.31 No.-

        In principle, Korean Civil Law follows equitable inheritance practices in case of joint inheritance. On the other hand, it has contributory portion system in Article 1008-2 to realize substantial fairness, to avoid perfunctory fairness. One of the criticisms that have been raised since the latter of 1990s in relation to the contributory portion system is that the operation of the system aimed at substantial fairness in portion is not so efficient in reality because the provisions regarding the system are too strict. Furthermore, since it is difficult for a contributing heir/heiress to predict whether or not he/she will acquire a contributory portion and how much he/she will acquire for it, his/her status is not stable. Accordingly, under the current legal system that does not specify detailed requirements for contributor portions and calculation methods, it is necessary to objectively define the requirements and calculation criteria of contributor portions for the predictability of acquisition of inheritance by coheirs and for the stability of their status. This study categorizes since contributory portion is an element of revision of inheritance portions in the division of inherited property, it is limited to coheirs who are entitled to the division of inherited property. As a result, in the event that the spouse and one child are coheirs, those who are a second-ranked lineal ascendant or third-ranked sibling are not entitled to claiming contributory portion even though they made special contribution to the inherited property.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legislate provisions so as to recognize such contributions.

      • 보강적 피드백훈련이 만성 뇌졸중환자의 상지 및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승협 ( Seung Hyup Han ),감경윤 ( Kyung Yoon Kam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2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4 No.1

        목적: 본 연구는 보강적 피드백훈련이 만성 뇌졸중환자의 상지 및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만성 뇌졸중환자 12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할당을 통해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6명씩 배정하였다. 실험군은 보강적 피드백훈련이 1회 15분, 1일 1회, 주 5일, 8주 동안 제공되었으며, 대조군은 실험군과 동일한 회기동안 위상치료가 제공되었다.상지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뇌졸중 상지기능검사,개정된 Ashworth 척도, Fugl-Meyer 평가,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운동활동지표를 사용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수정바델지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보강적 피드백을 제공한 실험군은 상지 및일상생활활동의 모든 평가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인 반면(p<.05), 대조군은 Fugl-Meyer 평가, 운동활동지표에서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또한 집단간비교를 통해 훈련 후 실험군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서의 향상이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p<.05). 결론: 본 연구는 보강적 피드백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일상생활활동 기능에 효과적임을 지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ugmented feedback on upper-limb motor functions and ADLs of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12 chronic stroke patients. The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6 patients) and the control group(6 patients). Both groups conducted 15 minutes per 1 time, 5 times a week, a total of 8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augmented feedback training with the motion sensor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placebo training. The degree of functional recovery of pre and post intervention was measured by FMA: upper-limb function subtest, MFT, Box & block test, MAL and MBI. Results : As a result of providing augmented feedback training,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results in the performance capabilities of upper-limb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p<.05). However, the control group faile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est scores in all tests except FMA and MAL. Moreo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05).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augmented biofeedback training by motion sensor program can be an effective therapeutic tool in the improvements of upper-limb motor functions and ADLs of chronic stroke patients.

      • 페트리 네트로 표현된 멀티미디어 시나리오의 재생기 구현

        한승협(Seunghyup Han),임재걸(Jaegeol Yim),이계영(Gyeyoung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Ⅱ

        동기화 전략을 명시하는 방법으로 시간 구간 명시, 시간축 명시, 레퍼런스 포인트를 두는 방법, 페트리넷을 이용하는 방법 등 매우 다양한 연구 결과가 소개되었다. 본 논문은 기존의 멀티미디어 시나리오의 동기화 명시를 위한 페트리넷 방법[1-3]을 확장하며, 페트리넷 동기화 명시를 실현한 멀티미디어 시나리오를 재생하여 주는 재생 시스템을 구현하고, 자료 구조, 멀티 프로세싱, 동기화 기법 등을 중심으로 본 재생 시스템을 소개한다. 본 시스템의 특징은 미디어 단위의 시나리오 진행이 가능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이 학습에 많이 이용되므로, 물리의 ‘중력’을 간단하게 설명하는 예제와 더불어 어떻게 실행되는가를 설명한다.

      • KCI등재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CoTras)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전두엽-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승협(Han, Seung-Hyup),조은주(Jo, Eun-Joo),노동희(Noh, Dong-Hee),감경윤(Kam, Kyung-Y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5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CoTras)이 전두엽-집행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3년 8월부터 2014년 3월까지 경남 창원에 위치하는 C병원에 내원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 10명 을 두 그룹으로 무작위 할당한 후 실험군에게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을, 대조군에는 자가인지훈련을 1일 1회, 주 5회, 4주 동안 적용하고 그룹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이때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Korean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MoCA), 시계 그리기 검사(Executive Clock Drawing Test; ECDT), 선로잇기 검사(Trail Making Test; TMT), Rey-도형 검사(Rey Complex Figure Test; RCFT)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은 K-MoCA, TMT, RCFT-delayed recall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반면(p<.05), 대조군은 모든 평가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또한, K-MoCA, TMT, RCFT-delayed recall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변화량이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05). 본 연구는 한국형 전산 화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전두엽-집행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내 임상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중재 도구임을 지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CoTras) on frontal-executive functions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BI). This study was performed at C hospital in Changwon, Gyeongsangnam-do, Korea from August 2013 to March 2014. Ten patients with TBI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had been given CoTras once a day, fiv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whereas the control group had performed self-cognitive training under the same conditions. To verify the effect of intervention, the following executive function measures were used: Korean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MoCA), Executive Clock Drawing Test (ECDT), Trail Making Test (TMT), Rey-Complex Figure Test (RCFT).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K-MoCA, TMT, RCFT-delayed recall (p<.05). However,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any te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changed scores (post test-pre test) between two groups in K-MoCA, TMT and RCFT-delayed recall (p<.05). This study showed that CoTras is effective to improve frontal-executive functions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조은주,한승협,최용원,김훈주,이성자,노동희,배원진,이나정,최민경,김광재,감경윤 대한작업치료학회 201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4 No.4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삼킴기능평가도구를 분석한 논문으로, 임상에서 대상자의 상태와 상황에 따라 적절한 평가도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 PRISMA checklist와 diagram을 통해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고,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Medline(ProQuest), EBSCO host(CINAHL Plus with full text), 국회도서관(national assembly library of Korea)을 이용하였다. 연구에 선택된 문헌의 질 평가를 위해 PEDro scale(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문헌의 수는 총 32편이었다. 문헌에서 사용된 평가도구들은 장비사용의 유무에 따라, 삼킴단계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 최종분석에 포함된 논문에서 삼킴기능을 측정하기위한 평가방법의 수는 총 45가지였다. 이 중 장비를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는 것은 20개,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25개였다. 장비를 사용한 평가도구 중 13개가 비디오투시 삼킴검사(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 기반 평가도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비를 사용하지 않는 평가도구의 경우 대부분이 구강준비단계 및 구강단계를 관찰하기위한 도구였으나, GUSS(Gugging Swallowing Screen), EAT-10(Eating Assessment Tool), SSQ(Sydney Swallow Questionnaire), clinical assessment 등은 인두단계 및 식도단계를 관찰하는데 사용되었다. 삼킴단계를 구분하지 않는 측정도구로 ASHA(American Speech-language Hearing Association), DD(Degree of Dysphagia), DOSS(DOSS: Dysphagia Outcome and Severity Scale), DSR scale(Dysphagia Severity Rating), FOIS(Functional Oral Intake Scale) 등이 있었으며 이러한 도구들은 영양상태, 식이상태, 삼킴기능정도를 평가하는데 용이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환자의 삼킴단계별 상태나 임상환경에 맞춘 적절한 평가도구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평가를 기반으로 적절한 치료가 제공된다면 삼킴장애 환자의 회복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wallowing function evaluation tools for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and to help choose appropriate evaluation tools considering the patients and their clinical conditions. Methods : A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ISMA checklist. We accessed databases including PubMed, Medline, EBSCO host,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Korea. The PEDro scale was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articles. Evaluation tools were divided into whether each tool requires an instrument or not. They were also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wallowing phase. Results : Thirty-two articles were included and analyzed in total. A total of 45 evaluation tools were found. Twenty of these tools were instrumental tools or evaluation tools based on an instrument. Thirteen of them essentially require a VFSS to evaluate the swallowing function. We found that most of the tools not depending on an instrument were for observing the oral preparatory or oral phase; however, some tools including GUSS(Gugging Swallowing Screen), EAT-10(Eating Assessment Tool), SSQ(Sydney Swallow Questionnaire), and a clinical assessment were used to detect problems in the pharyngeal or esophageal phases. Finally, ASHA(American Speech-language Hearing Association), DD(Degree of Dysphagia), DOSS(DOSS: Dysphagia Outcome and Severity Scale), DSR scale(Dysphagia Severity Rating), and FOIS(Functional Oral Intake Scale) were found useful for evaluating the nutritional condition, diet type, and degree of swallowing, although they could not be matched to the specific swallowing phase. Conclusion : This systematic review provides guidelines for choosing proper swallowing evaluation tools leading to customized treatment for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in the clinical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