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임신성 고혈압 산모에서 태어난 조산아의 임상적 및 예후적 고찰

        한승표,박상기,송창훈,박종,김경심,최영륜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

        Purpose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review the clinical and hematologic findings of the preterm infants delivered from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PIH) mothers. Methods : The data were collected b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on the current prognosis of preterm birth and sending questionnaires on the status of NICU.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from two university hospitals and two resident training hospitals in Gwangju-Chonnam to evaluate the neonatal prognosis of preterm birth from Jan. 1, 1995 to Dec. 31, 1997. Results : The average survival rate of total preterm babies was 79.6%. According to birth weights, survival rate from less than 1,000 gm was 10%, 1,000-1,499 gm was 55.3%, 1,500-1,999 gm was 82.2%. Maternal risk factors were pretmature rupture of membrane(42.2%), preterm labor (21.3%), PIH(10.7%), multiple pregnancy(8.2%) and incompetent internal os of cervix(4.2%). The average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were 34.2■2.3 weeks and 1,940■620 gm in the preterm infants born to mothers with PIH. The death rate was 12.9% in the preterm infants born to mothers with PI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of RDS, use of assisted ventilation and surfactant, and frequency of the blood transfusion between the preterm infants born to normotensive mothers and those to mothers with PI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WBC count, platelet count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Mg, Ca and P between the preterm infants born to normotensive mothers and those to mothers with PIH. Conclusion : Our results may be helpful to predict the perinatal complications and manage the preterm infants by considering the clinical and hematologic findings of preterm infants born to mothers with PIH. 목 적 : 임신성 고혈압은 자궁내 성장 지연, 조산, 가사, 또는 혈액학적 변화 등으로 인해 주산기 질병 이환률과 치명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임신성 고혈압 산모에서 태어난 조산아와 정상 혈압을 갖는 산모에서 태어난 조산아를 비교하여 임신성 고혈압 산모에서 태어난 조산아의 처치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방 법 : 연구 대상은 1995년부터 1997년까지의 최근 3년 동안 광주·전남 지역의 2개 대학병원과 2개 종합병원의 신생아실에 입원한 재태연령 37주 미만인 조산아 2,360명과 이들 중 879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또한 본원에서 신생아실에 입원한 328명(임신성 고혈압 40명, 정상 고혈압 288명)을 대상으로 혈액학적검사를 비교 분석하였다.결 과 : 전체 조산아의 생존율은 79.6%이었으며, 재태연령이 증가할수록 또는 출생 체중이 증가할수록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임신성 고혈압 산모에서 태어난 조산아의 재태연령은 34.2±2.3주, 출생체중은 1,940±620 gm이었으며, 정상 혈압 산모에서 태어난 조산아는 재태연령은 33.2±3.2주, 출생체중은 2,060±610 gm이었다. 임신성 고혈압 산모에서 태어난 조산아 평균 Apgar 점수는 1분에 7.29±2.51점, 5분에 8.45±1.69점이었으며, 정상 혈압 산모에서 태어난 조산아의 평균 Apgar 점수는 1분에 750±2.47점, 5분에 8.36±2.00점이었다. 임신성 고혈압 산모에서 태어난 조산아에서 총 입원기간은 20.71±18.51일로 정상 혈압 산모에서 태어난 조산아와 비교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신성 고혈압 산모에서 태어난 조산아와 정상 혈압 산모에서 태어난 조산아에서 사망률, 심폐소생술 시행 여부, 인공호흡기 사용, 표면활성제 사용 및 수혈의 여부는 두 군간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임신성 고혈압 산모에서 태어난 조산아와 정상 혈압 산모에서 태어난 조산아에서 뇌실내 출혈, 뇌실주위연화증,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미숙아 망막증과 패혈증 발생 빈도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분만 양식에서는 임신성 고혈압군에서는 제왕절개가 62%로 많은 빈도를 보이고 있었다. 임신성 고혈압 산모에서 태어난 조산아와 정상 혈압 산모에서 태어난 조산아에서 혈액학적 및 혈청학적 검사에서 총 백혈구에서의 과립구와 림프구의 비율, 총 혈소판 수, 혈중 칼슘, 인과 마그네슘의 농도가 두 군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 KCI등재

        우리나라의 자동심장충격기 배치현황 분석

        한승표,조규종,조영석,김오현,김이호 대한응급의학회 2023 대한응급의학회지 Vol.34 No.6

        Objectiv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AEDs) have been installed for use o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HCA) patients in Korea. However, there are very few cases in which the AED was used before the 119 paramedics arrived in cardiac arrest patients.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locations of the AED in Korea were appropriate.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locations of OHCA patients, AED installations, and the number of OHCA patients within a 100-m grid around the AEDs in public and residential areas by province. The information on acute cardiac arrest patients was obtained from the original data of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The installation of AEDs is registered with the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Results: The number of OHCA patients in public and residential areas was 28,434 and 95,713,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installed AEDs in these locations was 15,387 and 11,420, respectively. The number of OHCA patients per AED was 1.8 in public areas and 8.4 in residential area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province (P<0.001). The percentage of OHCA patients within the 100-m grid around the AEDs was 21.9% and 23.1% in public and residential areas, respectively (P<0.001). Conclus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ED placement locations in public and residential areas by province.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OHCA patients within a 100-m grid around AED was only 22.9%,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AEDs was insufficient. Efforts to enhance the AED placements and monitoring are needed to resolve the regional deviations.

      • SCOPUSKCI등재

        초등학생들의 의료기관 이용양상 및 선택 기준에 관한 연구

        한승표,김은영,노영일,양은석,박상기,박영봉,문경래,Han, Seung Pyo,Kim, Eun Young,Rho, Young Il,Yang, Eun Seok,Park, Sang Kee,Park, Yeong Bong,Moon, Kyung Rye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2

        목 적 : 학동기 소아들의 상병상태, 의료기관 이용 양상, 선택기준 및 관련된 요인 조사하여 현재 소아 환자의 진료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대책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방 법 : 학동기 아동의 의료기관 이용율과 그 관련 요인을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1998년 6월 광주시내 초등학교 학부모 2,03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 과 : 1) 총응답자는 2,036명, 남자 1,035명, 여자 1,001명이었고, 남녀비 1.03 : 1 평균나이는 10.6세였다. 2) 질환의 유병률은 32.3%였고, 질환을 계통별로 보면 호흡 및 알레르기 질환 64.7%, 소화기 질환 12.8%, 외상, 치과질환, 기타 순이었다. 치료율은 89.9%였으며, 치료하지 않은 이유로 경미한 증상, 경제적 부담, 바쁜 생활 순이었다. 3) 질환에 이환 된 경우 주로 이용하는 의료기관은 소아과 46.7%, 이비인후과 19.8%, 약국 13.2%, 내과 12.2%, 가정의학과 순이었다. 4) 의료기관의 선택이유는 거리의 근접성, 치료효과, 교통의 편리성, 의사의 유명도, 의료인의 친절도 순이었다. 각 의료기관별 선택이유는 소아과의 경우 거리의 근접성, 이비인후과의 경우 치료 효과, 내과의 경우 의사의 평판이 많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5) 호흡기 증상의 의료기관 이용도를 보면, 기침의 경우 소아과, 약국, 이비인후과, 내과 순이었고, 콧물의 경우 소아과, 약국, 이비인후과, 내과 순이었다. 열이 있는 경우 소아과, 약국, 이비인후과, 내과 순이었다. 6) 소화기 증상의 의료기관 선호도를 보면, 설사의 경우 소아과, 약국, 내과 순이었고, 변비의 경우 소아과, 약국, 내과 순이었다. 복통의 경우 소아과, 내과, 약국 순이었다. 예방접종은 보건소, 소아과, 내과 순이었고 피부 증상이 있는 경우에 소아과, 피부과, 약국, 내과 순이었다. 7) 연령에 따른 의료기관 선호도는 호흡기 질환의 경우 소아과 이용율의 경우 7세 50%가 점차 감소하여 13세 때는 33.8%로 감소한 반면, 이비인후과의 경우 7세 26.7%, 13세 때 22%로 별 변화 없었으나 내과의 경우 7세 6.7%, 13세 때 10.1%로 약간 증가하였다. 소화기 질환의 경우 소아과 이용율은 7세 때 45.4%였으나 13세 때는 20.2%로 크게 감소한 반면, 내과 이용율은 7세 때 25%, 13세 때 34.8%로 증가하였다. 특히 11세경부터 내과 이용율이 소아과의 이용율을 앞서고 있었다. 8) 의료기관선택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사람은 어머니, 아버지, 의사의 추천, 친구 이웃 순이었다. 9) 소아과 진료의 적정연령에 대하여서는 12세까지 47.8%, 10세까지 22.4%, 15세까지 18.5%, 8세까지 10.1% 순이었다. 결 론 : 소아과 진료영역의 많은 부분이 타과에서 쉽게 진료되고 있어 이에 대한 홍보와 대응책이 필요할 것이다. 소아는 성인과 달리 독특한 성장과 발달과정이 있으므로 전문적인 진료 및 적절한 치료기관의 선택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stribution of illness, pattern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and factors determining medical care utilizat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 We performed the questionnaires in Gwangju city on 2,036 children of two elementary schools from June 1 to June 30, 1998. Results : The prevalence rate of illness was 32.3%. The distribution of illness was respiratory disease(64.7%), gastrointestinal disease(12.8%), injury & poisoning. The rate of persons having received medical treatment when they were sick, was 89.8%. The selection distribution among various medical facilities was pediatric hospital(46.7%), otolaryngologic hospital(19.8%), pharmacy (13.2%) and internal medicine in the decreasing frequency sequence.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medical facility were geographic accessibility and good results. The most common reason for the first visit to the pediatric hospital was geographic accessibility. The most common reason for a visit and to otolaryngologic hospital was a good result.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medical facility for respiratory symptoms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was pediatric hospital. The person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medical facility in the children were mother(73.3%), father( 10.8%), doctor and others in decreasing sequence. The persons answering the questionaire thought that the optimal age of pediatric care was from 0 to 12 years(47.8%), to 10 years(22.4%) and to 15 years(18.5%) in decreasing rate. Conclusion : Other departments instead of pediatrics have treated children. Children have particular growth and development process, which is different to those of adults. So, it is necessary to choose special medical care and adequate medical facilities fo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