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눗방울로 과학하기에서 유아교사의 교수행동

        한미라 ( Han Mira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유아들이 비눗방울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교사가 어떻게 개입하는가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질적 사례연구로 연구참여자는 어린이집 교사 1명과 만 5세 유아 6명, 유치원 교사 1명과 만 5세 유아 5명이다. 유아와의 비눗방울활동에서 교사의 교수행동에는 몇 가지 주된 특징이 나타났다.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교사는 주제와 관련된 과학적 지식과 개념을 충분히 알지 못하였다. 또한 과학과정기술과 질문하기를 적절하게 하지 못하여 유아들의 탐구와 과학적 사고의 확장을 지원하지 못하였다. 그런 중에도 교사는 유아들의 생각을 읽기 위해 노력하였고, 유아들이 자신의 생각에 따라 탐색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과 교재·교구를 제공하였으며 유아들 간의 상호작용을 격려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유아들이 자발적으로 탐색하고, 활동을 주도하게 하는 동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o examine how the teachers involved in the young children`s exploration of the soap bubble activities. There were revealed some characteristics on teacher`s instructional activities. Teachers didn`t have enough scientific knowledge and concepts related to the topics. And they were incapable to use scientific processing skills or to ask the children appropriate questions. Thus young children`s scientific exploration were hardly supported and their ideas were not extended properly. In spite of the drawback, the teachers made effort to understand young children`s ideas. By offering appropriate environment and resources, the teachers allowed the children to explore with their own ideas and encouraged to take part in active interaction with each other. Such efforts might have stimulated the children`s spontaneous exploration and initiation in the activities.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ideas and their encouragement of spontaneous exploration have contributed to the young children`s interests in the scientific activities. The teachers were supportive in their roles by accepting young children`s ideas. As a result, the activities were continuously extended so that the young children were abl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activity (soap bubble play) in more in-depth level. Therefore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ideas should be highlighted and promoted in current teacher-training courses.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한미라 ( Han Mira ),김광수 ( Kim Gwangsu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그릿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교사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1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에서 측정모형을 분석한 후에 구조모형 분석을 하였다.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에는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효능감, 그릿,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들 사이에는 모두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그릿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그릿은 회복탄력성에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회복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효능감이 그릿을 통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and grit on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indirect effects of teacher efficacy on resilience mediated by gri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0 day care center teachers.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by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For the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the structural model was analyzed after th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model. Bootstrapping analysis was applied to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of the indirect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teacher efficacy, grit, and resilience. Second,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positive effects on grit. Third, the gri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positive effects on resilience. Fourth,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positive effects on resilience. Fifth, indirect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resilience through grit was significant. Finally,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가상현실(VR)을 활용한 역사콘텐츠 개발과 의미 : 조선시대 과거제도를 중심으로

        한미라(Han Mira),이수진(Lee Sujin),이유미(Yi Yu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본 논문은 가상현실(VR)을 활용하여 조선시대 과거제를 구현하는 과정을 제시하고, VR을 활용한 역사콘텐츠의의미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에서는 VR을 활용하여 조선시대 과거제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VR로 제작된 조선시대 과거제에서는 과거 시험 준비 과정, 과거 시험장, 과거 합격자의의식인 방방례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VR 콘텐츠는 Oculus Quest2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콘텐츠 제작 과정은 스토리 보드 작성, 사료에 기반한 고증 및 아이템 모델링, 콘텐츠의 인칭 설계, 장면 이동 방식 설계, 사용자 테스트 및 UX를 통한 문제점 개선 등의 순을 이루어졌다. VR로 제작된 조선시대 과거제도의 콘텐츠는 크게 세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째, VR을 통해 현재 사람들이 현재는 경험할 수 없는 조선시대의 과거제의 과정에 대해 조선시대에 있는 것처럼 현존감 있게 체험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과거제의 배경이 되었던 공간적 장소도 접할 수 있다. 둘째, 역사 교육의 효과 증대와 폭을 확대시킬 수있다. 즉, 제작된 VR 콘텐츠를 통하여 학습자가 몰입도 있게 조선시대 과거제를 체험함으로써 역사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등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셋째, VR로 제작된 역사콘텐츠는 일정한 환경만 구성되면 누구나쉽게 접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보다 더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계층을 대상이 역사를 접할 수 있는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virtual experience of the Gwageo System(the governmentexamination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VR-based historicalcontent. The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at Chung-Ang University recreated the experience ofundergoing the Gwageo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e content ofthe VR application included the process of preparation, Gwageo System(the government examinationsystem) and the ceremony held for those who passed the exam (the Bangbangrye). The applicationis compatible with Oculus Quest 2. The content production process consisted of storyboardcreation, historical evidence and item modelling based on historical records, character design,scene movement method design, user testing, and problem improvement through user experience. Development of the virtual experience of the Gwageo of the Joseon dynasty had three majorimplications: First, through VR, people can experience the Gwageo System, which does not takeplace now, as if they were in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y can come into contact withthe spatial places that were the settings of the exam. Second, the effectiveness and breadth ofhistory education are increas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by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through an immersive experience. Third, historicalcontent produced by VR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ly accessible once it is established in acertain environment; it can be accessed by different groups of people in diverse places.

      • KCI등재

        액션러닝 기반 온라인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협업능력에 미치는효과

        이지혜,한미라,Lee, Jihye,Han, Mira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online practicum based on action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cooperation ability of nursing students. Similar experimental study of single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s online class. A total of 47 nursing students who were junior grade from one colle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paired t test using the SPSS/Window 21.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improvement after online practicum based on action learning was significant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t=3.832, p<.001), academic self-efficacy(t=4.258, p<.001), and cooperation ability(t=3.853, p<.001). These findings imply the value of online practicum based on action learning to enhan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In the future,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the same group including control group and blended learning method using action learning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 KCI등재

        숲 유치원 아이들의 자유로운 숲 놀이 양상과 의미

        이영림(Lee, Young Rim),한미라(Han, Mira) 한국육아지원학회 2018 육아지원연구 Vol.13 No.1

        생애 초기 유아들이 자연을 접하고 경험하는 것은 자연에서 배울 수 있는 건강과 지혜, 감성을 몸과 마음으로 받아들일 줄 아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본 연구는 매일 하루 일과의 대부분을 숲에서 생활하는 숲 유치원 유아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자유롭게 놀이하면서 나타나는 놀이의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상남도 C시에 위치한 K유치원 숲 반 솔방울팀 유아 3세 4명, 4세 9명, 5세 4명 등 총 17명이다. 본 연구는 2016년 7월 첫 주부터 11월 마지막 주까지 20주 동안 매주 2회씩 총 41회에 걸쳐 참여관찰과 면담 등으로 실시된 질적 연구이다.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첫째, 숲에서 아이들은 온몸으로 자유롭게 놀이하며 몸으로 주변 세계를 배워 나갔다. 둘째, 아이들은 함께 놀이하면서 만남을 통해 관계 형성을 배워나갔다. 셋째, 아이들은 숲 놀이에서 필요한 모든 것을 자연에서 창조해내었다. 넷째, 숲에서 아이들은 자연과 교감하는 삶을 살았다. 숲은 아이들이 신체적 자유로움을 느끼며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는 열린 공간이었으며, 숲에서의 놀이는 몰입에 따라 몇 시간 또는 며칠에 걸쳐 지속적으로 연이어졌다. 이는 우리 유아교육현장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보며, 증가 추세에 있는 숲 유치원의 유아 놀이에 대한 이해와 교육의 방향 모색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Experiences in natural environment in early years provide young children with opportunities to grow healthy and learn wisdom and sensibility inherent in n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children’s free play in fores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7children, 4 children aged 3, 9children aged 4, and 4children aged 5) in the Pine Cone Team of the Forest Class of K kindergarten located in C city, Gyeongsangnam-do. The children spent most of the time in forests each day.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research involving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for 41 times, twice a week for 20weeks from the first week of July, 2016 to the last week of November, 2016.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played freely using their whole body and learned the surrounding world through their bodies. Second, the children played together and learned to build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Third, the children created everything they needed for the forest play, with objects the natural environment. Fourth, the children learned to communicate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e forest. The forest was an open space where children enjoyed free physical movements, and their play in the forest continued for several hours or lasted many days depending on the degree of immer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implications that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s of children’s play in forests and help find directions of education at forest kindergart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