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소설의 재인식과 역사체험 -개혁개방기 김학철, 리근전, 김용식 소설을 중심으로-

        한명환 ( Han Myeong-hwa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8 국제어문 Vol.44 No.-

        지금까지 개혁개방기 중국조선족 연구는 대개 기관 지원에 의한 공동조사연구로서 진행되어왔다. 공동작업에 의한 조사와 연구는 그동안 구해보기 어려웠던 자료들을 발굴하고 정리한 의의가 있었으나 디아스포라나 탈식민주의, 만주 체험 등 거시적인 접근이 주종을 이루는 등 한계가 있었다. 조선족문학의 진실은 `언어`의 심층적 측면, 즉 세계관으로서의 언어체험과 이주사, 항일투쟁의 역사체험의 두 연관고리를 떼어놓고 밝힐 수 없다. 따라서 본고는 딜타이의 생의 철학적 관점에서 개혁개방기 중국 조선족의 역사소설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리근전 <고난의 년대>와 김학철 <격정시대>는 한민족의 만주이주사와 1920-30년대 항일투쟁사의 생생한 체험의 기록이다. 리근전이 일관된 이념의틀 속에서 공동체의 항쟁과 이주사 기록을 남겼다면, 김학철은 성장소설로서 갖는 인생론적 체험과 공동체적 공감이 어우러진 역사인식에 도달하고자한다. 우리는 두 소설로부터 지금껏 한국소설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민족주의적 경계로부터 벗어나 있는 중국조선족만의 역사 체험이 라는 독립된 체험공간을 발견할 수 있었다. 곧 중국의 동북지역에서의 공산주의자의 항일체험이 집단 이념적으로 혹은 개인적으로 생생하게 재현되어 가는 가운데 조선족의 역사를 추체험할 수 있다. 이는 민족이 또 다른 차원에서 문학 체험적 상상력을 발휘하는 역량을 확대해갈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이를 근거로 노작가세대인 김용식은 <무영탑> 등 신라, 고려, 조선의 역사를 새롭게 구성하여 재현한다. 김용식의 역사소설은 중국조선족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통일신라, 고려, 조선에 대한 상상력의 소산이다. <무영탑>의 경우, 현진건의 경우와 달리, 아사달이 당나라 석공으로 등장한다. 이는 전설로 전해온 아사달이야기를 중국 조선족의 체험 입장에서 새롭게 바라본 결과로 받아들여야 한다. 문학이란 결국 감정의 소산이 아니라 생의 체험에 따른 현상학적 결과물이므로 우리는 그 타당성을 해석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해내야 하기 때문이다. This thesis aims to explain the meaning of chinese korean novel in 1980` in prospective of Wilhelm Dilthey(1833-1911). The literature of chinese korean against Japan colonialism had composed of the their own`s history of chinese korean people and therefore chinese korean only will see korean dynasty ages , for example Silla dynasty, Koryeo dynasty, Choseon dynasty, in their own`s places. In 1980` China, chinese korean people trying to challenge in building new nation consciousness, chinese korean novelists had to struggle to write a evolutional new thought on opening wide age in economic diplomacy. But they also want to contribute the chinese korean`s experienced history in china as a original chinese korean. (Such a experience means specially Das Erlebnis from Dilthey) There are two representative chinese korean novels ; < Years Suffering-Gonaneyeondae > written by Ry, Keun-Jeon and < Ages of Passion- GyeoggeongSidae > by Kim, HakCheol, that comprising combating stories against Japan troops in Japan`s occupying era in korea, during 1920-30`. First, < Years Suffering > represented ideologically the idea of encouraging the good & punishing the evil and karma , in the 1930`s struggle`s consciousness against japan colonialism in way of propaganda, and there are also grotesque image , specially something odd and cruel that have upraised reader`s basic instinct in libido. And In these novels, Re & Kim want to explain the real world of chinese korean war-history against japan troops and Manchu`s korean habitant`s stories. We could not yet evaluate rightly their textual meaning of Manchu`s korean immigrant history in china, because maybe we, south korean, would not been apt to represent the real stories against Japan colonialism but anti- communism stories, that have made us blind from reality of struggling against japanese colonialism. But , also, < Years Suffering > did the mistakes in making fiction, that had neglected real characterizing and plot, delicate story-telling , and therefore, in that stories, still more, there had become traces of the sterile record and speedy hand-writing. < Ages of Passion > by Kim Hak-Cheol, had supported the weakness of < Years Suffering >; Kim tried to represent how to change a naive child in communist from subjective nationalist by way of not propaganda of the ideology or struggle against japan but by the bildungsroman(formation story) of one child born in Wonsan. While there are traces of sterile and cluttered compound in < Years Suffering > by Ry , < Ages of Passion > by Kim tries contribute to accomplish the model of communist , as a living characterization. Hero, Seo Seon-Jang in < Ages of Passion > has rarely living communist character in korean novels but Yunmin of < Years Suffering > can not. These two character represented by contrast in korean modern novels of against Japan`s colonialism and of Manchu`s korean historical experiences. In third, Kim, Yong-Sik`s < Shadowless pagoda- MuYeongTap > also had represented adaptative stories prehistory of korean, Love stories in Silla dynasty, but as a chinese korean`s originality ; having historical consciousness as chinese korean. In conclusion, above three works, altogether complicate the meaning of contra-position in view of korean historical novels , although having implicated chinese korean historical experience. The historical experimental traces must be meant the interpretations of the mental experiences of people and then that one should be explicated because, if being lost orientation, they are always apt to be consisting , having coherence.

      • KCI등재후보

        한민족 소설의 만주 '항일 체험' 비교 연구

        한명환(Myeong-Hwan Ha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6 No.-

        본고는 일제강점기 만주 체험을 다룬 한국 장편소설 <북간도>, <전갈>과 조선족 소설 <해란강아 말하라>, <고난의 년대>, <격정시대>에 나타난 '항일 체험'의 양상을 딜타이의 정신사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비교하였다. <북간도>는 최초의 만주 이주 체험을 정밀하게 조명, 청인들과의 갈등을 섬세하게 묘사 서술하였다는 점에서 독보적이지만 청인들의 지나친 횡포와 박해상을 심도 있게 그려나감으로써 만주 이주민들에게 일본의 진출이 오히려 고맙게 받아들여 질 수 있었던 점을 직시하고자 한다. <전갈>은 독립군 후손의 관점에서 대한 독립군의 행적에 대해 추적하여 보여준다. 손자 강재필이 조사한 할아버지의 만주 체험의 실상에는 친중과 친일, 애국의 구분이 얼마나 무의미하고 허망한 것인가 보여준다. <전갈>은 개인 삶의 진실성에 대한 깊은 배려에서 나온 만주 항쟁에 대한 휴머니즘적인 체험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북간도>에서 극명하게 다루어진 1910년대 청국과 만주 조선인들 간의 갈등 양상이 중국 조선족 소설에는 양가적으로 드러나거나 아예 드러나지 않고 반제ㆍ반봉건 또는 중국 공산당과의 관련된 항일 농민 투쟁만이 부각된다. 뿐만 아니라 <고난의 년대>의 작가는 기 발표된 <해란강아 말하라>가 품고 있는 관습적 민족성이나 소설적 구성, 문체까지 사상적으로 비판하는 입장에 서기도 하였다. <고난의 년대>는 전통적이고 민족적 삶의 방식에 연연하지 않는 중국 공산당원으로서의 민중적이고 계급주의적인 혁명의식을 보여준다. 이러한 만주 항쟁의 체험인식의 배면에는 1949년 토지 소유를 조건으로 한 조선족의 중국 국적 취득 등 생존의 현실 문제가 절실하게 개입되어 있었다. 개혁 개방기에 발표된 김학철 <격정시대>의 항일 체험은 1930년대 중반에서 1940년 초, 사실상 항일 활동이 어려워진 만주 외에 원주, 서울, 상해, 남경, 광주, 태항산 등에 넓게 걸쳐 있다. <격정시대>는 항일 개인의 체험에 기울인 1930년대 항일 항쟁사라는 점에서 <고난의 년대>와 비교된다. 서울 출신 작가의 독특한 문체에 담긴 주인공의 성장과 변모는 독자로 하여금 주인공의 테러 행위와 공산주의자로서의 의식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한다. 한국 현대소설사에서 <북간도>와 <전갈>, <해란강은 말하라>, <고난의 년대>, <격정시대> 각 편은 각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당대적 현실을 대표할 만큼 만주 항일체험을 주제로 한 작품적 자족성을 지니고 있다. 다섯 편의 장편들은 서로 각각 시대적ㆍ공간적ㆍ사상적으로 다를 수 있음에도 이들은 대립되지 않고 보완될 수 있는 위치에 서있다. <북간도>는 비봉촌을 배경으로, <전갈>은 흑룡강성 하얼빈과 밀양에서 <해란강아 말하라>는 해란강변에서 <고난의 년대>는 천수동, 용정 등지에서 <격정시대>는 만보산과 중국 각처에서 각각의 항일 체험을 기록한다. 각각의 상황에서 만주에서의 항일 주체들은 각각의 체험적 인식에 따른 독자적 언어 표현을 통해 삶의 정신세계에 도달하고자 한다. 이러한 체험의 부분들을 통해 우리는 비로소 만주 공간에서의 피어린 한민족 삶의 공동체의 실체를 구성할 수 있다. 작금의 분단 현실로 인한 만주에서의 항일 체험에 대한 부분적 사고에서 벗어나 한민족 체험의 전체를 지향함으로써 우리는 살아있는 만주 항쟁의 모습을 새롭게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investigate five novels of south Korean and Korean-Chinese writers ; An Su-Ggil <Bukggando> (<North Manchuria>), Kim Won-Il <Scorpion>, Kim Hak-Cheol, <Tell me, Haeran river>, <Gyeoggjeon Sidae>(<The age of steep Passion>), Lee Geun-Jeon, <Gonaneu-Sidae>(<The Serial Ages of Suffering>) <Bukggando>(1967) represents the Korea self-confidence and identity as a manchuria's habitant withstanding the conflicts & sufferings of emigration to north Manchuria. This novel depicted ironically the situation that Japan might guard the Korean peasants from Chinese troops and Chinese land lord in 1910' to colonize Manchuria <Scorpion>(2007) reveals the process of Korean fighting against the Japanese colon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view of the descendent of the Independence Korean army. Korean Independence Army, Kang Chi-Mu's grandson, Kang Jae-Pil tries to investigate the grandfather's real total life in Manchuria. Finally, this novel helps us to think in versa of the estimating on the person's heroic deed for the independence in Manchuria because Korean Army should die to fight together in Vladivostok, though they won the great victory against Japanese troops in CheongSanRi in 1920. <Scorpion> endeavors to show it is meaningless to criticize the poor man who made a mistake to survive in Manchuria as a Korean victory soldier in 1920. through the tragedy of Kang Chi-Mu's family. <Scorpion> therefore, should be the humanistic memorandum of the dependence army from deepening experience(Das Erlebnis) in Manchuria. Kim Hak-Cheol, <Tell me Haeran river> and Lee Geun-Jeon, <The Serial Ages of Suffering> revealed the experiences of Korean peasants who had fought against Japanese aggression in Manchuria in 1930' after colonization of Koreanpeninsula. In addition, Kim Hak-Cheol, <The Age of Steep Passion>, represented the individual fighting experiences against Japan, while being straddled widely by China out of Manchuria. This novel was compared with <Serial Ages of Suffering> in a point of not socialistic community experiences but individual and private socialistic experiences in 1930's. And it naturally helps reader to accept the common sense of a young communist because the humanistic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the hero, Seo SeonJang. These five novels seem to make a complementary corporation to reveal their unique resistant experiences in spite of differences in time, space, ideological background, <North Manchuria> in Village of Bibong, <Scorpion> in Harbin and Milyang, <Tell me Haeran river> in Village of YuSu, <The Serial Age of Suffering> in YongJeon etc., The <Age of Steep Passion> in Manbosan and other Chinese districts. We might be able to understand the body(totality) of Manchuria's survival Korean life, if only, through the experiences in these novels. In conclusion, We, Korean, will be arrived to reconstruct the aspect of Korea total experiences, being evaded from the divided views in two.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950년대 지역 신문에 나타난 여성 담론 양상 연구 ― 영남지역 신문소설의 ‘여성주체’개념을 중심으로 ―

        한명환(Myeong-hwan Han) 어문연구학회 2005 어문연구 Vol.47 No.-

        This paper aims to verify Korean women's images as a subaltern in the mass media , especially searching for how to be presented in newspapers of Yeongnam area in the 1950's. Generally, Korean women's right in 1950'had been ignored because the human right of Korea in the 1950's have been trampled not only under political ideology but also confucianism fixed in Korean people's mind for a long time. l am more interested in discourse of women in newspapers of Southern areas that implicated social variables in the 1950's. According to Gayatri Chakravorty Spivak, Woman's right of the Third World is always related to the postcolonialism. She notices that cognitive failure in postcolonial surroundings can not be recovered and then one can recognize the real meaning of women's discourse only by reading deconstruction of the feminine story. Korean, also, after the colonial period during 1905-1945, divided into two countries after 1945 became another postcolonial nation. Since then, Korean women could not help but be subordinated by the double bind ; man-oriented moralism with traditional and occidental ideologies that transferred to Korean via Japanese colonial age. These double bind transformed by confucianism and the communism ideology again. Therefore, if one would not read the 'differance' (by Jacque Derrida) in newspaper's discourse in the 1950's, he or she must miss true meanings of women's discours in 1950's. In the first chapter, I deliberated that this analysis on feminine discourse in 1950's would be appropriated for Gayatri Spivak's intentions. and I proved the adequacy through colonial history and national custom. In the second and third chapter, I surveyed and searched the feuilleton's discourses in newspapers of Yeongnam in the 1950's. In the fourth chapter, I examined the facts of 'appropriation' of discourse in the 1950's by the invisible consultation between Korean nation and mass media. As a result, it was presented how obstinately the newspaper's stories of the 1950's of Yeongnam area intended to tame the Southern people in the traditional man-centered morality. One could be convinced on facts by one example ; Jang Deok Jo was so complicated a heroin that she survived as a woman writer in bith postcolonial period and the latter colonial period of the 1950's. Through this, I knew that more concrete studies are needed related to deconstructionism. Through the secret opening slit in the discourse of women, we can read the woman's desire that is frustrated by the social oppression and also, is suffocated by experiencing a scapegoat for a national foundation. Woman's slit can be translated into irony and contradiction of heroin, putting them in prison of 'double bind'. Women's self-representation and self-signification are realized by deconstructing the description of accomplished historical material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ubaltern in Korean modern history without convicting the subjection of the woman that had been appropriated, especially in case of woman's stories in suburban area far from capital city.

      • 한국전쟁기 대구경북지역 신문 연재 수기의 반공이데올로기 형성과정에 나타난 탈식민적 양상

        한명환(Han, Myeong-Hwa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6

        본 논문은 한국전쟁기 대구경북지역 신문에 연재되어 남아있는 전쟁관련 수기를 대상으로 그 전개와 변모양상을 조사 연구한 것이다. 한국전쟁기 대구경북지역 신문연재 수기는 해방이후 분단국가로서의 반공 이데올로기의 형성과정이라는 탈식민적 양상을 보여준다. 1952년 『대구매일』에 연재된 〈남해의 비사〉는 일본 천왕을 흠모하고 일본군으로서의 입장을 내세운 일본중좌 쑤시의 태평양전쟁 수기였다. 이는 미국연합군을 배제한 일본군의 입장에서 기술되고 있다는 점에서 전시 미디어의 양가성을 재현한다. 전시 종군기자들은 후방의 전쟁 독려, 반공 계몽의 관점에서 수기를 쓰고 있으나 ‘김문’과 같은 종군작가들은 좀 더 한국전쟁의 내밀한 실상을 좀더 가까이에서 재현한다. 김재용, 이대영의 수기에는 미국의 전투력을 아군의 것과 동일시한 피식민지배자로서의 탈식민적 혼종성이 나타난다. 문총구국대 김문의 종군기에서는 부라운 군조와의 대화를 통해 해방이후 전시까지 소통 불가능한 인종과 문화의 오리엔탈리즘을 재현한다. 한편 개인 수기에 있어서 사회적 지도층인 최민순은 반공을 사상적으로 체계화하는 과정에서 한국전쟁을 ‘성전’으로 인식, 휴전에 반대하고자 하였다. 이는 근거 없는 미움을 서구 제국주의 논리로 감싼 기독교근본주의와 유사한 형태의 주장이었으나 이는 해방공간으로부터 전시까지 연계되어온 식민지 피지배자로서의 입장을 그대로 재현한 것이라 할 수 있었다. 이는 당시 전쟁의 비극을 조선시대 천주교를 박해한 동족상잔의 비극에 비유한 지원의 입장과 대조되는 것으로, 서구 제국주의로부터 파생된 담론, 강대국 간의 이념 담론을 추종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이들 한국전쟁기 지역신문에 나타난 수기들은 일본에 대한 인식변화와 더불어 반공 사상이 어떻게 급조되어 형성되어왔는가에 대해 깨닫게 해준다. 일제식민지배의 과정을 체험한 지식인들의 신문 글쓰기에는 지배와 피지배의 양가성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흔적이 드러난다. 미국의 개입은 그러한 이중성을 재연하도록 도와주었다. 전시 수기 자료들을 통해 어떻게 반공 이데올로기가 정착 되었는가에 대한 배경과 형성과정, 즉 미국과의 동질화와 분노의 논리로 민족정신이 ‘반공이념’으로 급격하게 대체될 수 있었던 자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대구경북 지역 언론계와 사회지도층이 민족 개념을 전략적으로 ‘專有(appropriation)’하고자 하는 데서 ‘반공’이 이데올로기로 형성되기 시작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전쟁기 신문소설의 발굴과 문학사적 의의

        한명환(Han Myeong Hwan) 한국현대소설학회 2003 현대소설연구 Vol.- No.20

        The Aim of this thesis is the research and study about feuilleton of Daegu and Kayeongbuk area in 1950-1953. This research and study on the `part` has been underestimated until now, in comparison with `center`, so called Seoul area. Therefore, this study should put specially on the feuilleton of daegu and kyeongbuk that had worked as a temporary center during korean war. Until now, the study of the postwar literature has been needed to be changed as the view of the point of the research of the local feuilleton that really comprising the memory of korean war. We know that feuilleton in 1950-1953 was to be diverse in length and in contents, which contained several many aspects not only some love affairs of widow, but also the enlightenment of ideology related to military psychology and physical disease; pleuritis and lung disease, agony and conficts in love affairs resulted in poverty and phobia and so on. Theses local feuilletons during 1950-1953 feel the story making sensual and provocative but in another sense, those feuilletons contain the real codes equal to the life of the people in war, and that they endure linear tension between brightness and darkness, hope and despair. In conclusion, the point of view of 1950`s literature needs to revision in comprehensive and affirmative.

      • KCI등재

        1960년대 손창섭 신문소설의 사회적 연구

        한명환(Myeong Hwan Han)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현대소설연구 Vol.- No.52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1960`s SonChangSeop` newspaper stories on how to respond and challenge the social change resulted from democratic movements in 1960. 4.19 and 5.16 coup de etat in 1961 compelled people`s reformation age in 1960`s. At first, he wrote the 8 stories with the target consciousness and the clear vision of the newspaper story. He had written the stories not to stimulate his non specialized readers`s instinct nor to satisfy readers low taste but to tell everything freely for them. He tried to criticize the people`s physical desire and immoral survival attitude that were driven by the compulsion of coup power in 1960`s. He strived to enlighten people`s thoughts and imaginations of justice and morality and to have them to realize the disillusion of modernizing city resulted from the haste construction compelled by coup de etat power. According to Hana Arrent, modernization shrivels the human natural political subjectivity, but public sphere keeps the corrupted private sphere. SonChangSeop`s newspaper stories also mean the negation and disavowal of the traditional patriarch`s developing system, supported by strong army style in 1960`s. His stories did not intend to configurate the popular vulgar sexaulity by giving up a seriousness but appealed the negation and disavowal mind standing against patriarchal system and his political society through another authorship. <Saeweoleegamyeon, If The Time Pass Away> and <Jeomadigasemsoge, In the Everybody `s Heart> showed moral corruption and injustice of majority during the LeeSeoungMan`s dictatorship in 1959∼1960. In <Naeiremeunyeoja, My Name is Girl>, and <Bubu, Couple> criticized patriarchal custom, and vicious practice. They also criticized man`s disguised power, attitude and cynically represented the process of his forming power in 1961`s coup. And <Ingangyosil, humanbeing`s class>, <Gyeolhoneuieumi, Meanging of marriage>, <Ahdeuldeul, Sons>, <Yiseongyeongu, A study of the other sex> had its readers to realize the conflict of Korean family in the middle of 1960`s : five son`s fight because of filial piety and painful women`s marital matter discourse experienced because of discrimination, distorted Good Samarian`s conducts in Compulsory Mobilization System of 1960`s. In conclusion, these stories focused on a story <Gil, Way>, which was written right before Seongchil`s departure to his home country. Seongchil, the hero of <Gil>, finally wished to go back to his home town, country far from modernized Seoul that experienced much pain and hopelessness. Motive of his retun to countryside was very important for Sonchangseop himself, that he appealed his vision four times to the readers out of his nine works.

      • 고대일본의 철학사상 발전에 준 조선민족주의 영향

        한명환 ( Myeong Hwan Han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5 No.-

        고대 일본의 문화가 조선 문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높은 문화수준을 가지고 있던 조선민족은 일찍부터 일본영토에 적극 진출하여 선진문화를 전파해주었으며 이 나라 문화발전을 선도해왔다. 여기서는 이 중 철학사상의 발전에 준 영향만을 고찰하려고 한다. 일본의 오랜 역사책인 고사기에 의하면 285년에 백제국이 왕인을 보내어 논어 10권을 야마또 조정에 바쳤다고 한다. 왕인은 단순히 논어를 전달하는 데만 그치지 않았는데 일본천황이 왕인을 태자인 우지노 와끼이라쯔꼬의 스승으로 임명하여 여러 유교경전을 배워주게 하였으며 왕인은 그 후 후미노 오비또들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이 기사는 왕인을 비롯한 백제사람들이 일본 땅에 유학의 시초를 열어놓았고 유교사상을 본격적으로 보급해나갔다는 것을 실증해주고 있다. 유교사상의 전파는 백제사람들 뿐 아니라 고구려 사람들에 의해서도 진행되었는데 일본서기의 담징에 대한 기록에 ‘그가 5경을 알았다’고 하였으니 그가 일본사람들에게 불교사상과 함께 유교사상도 적극적으로 선전하였다는 것을 시사해주는 것이다. 고구려, 백제, 신라의 세 나라 사람들은 유교사상뿐 아니라 고대일본에 처음으로 불교사상을 전파하고 보급하였다. 불교의 초기 사상적 발전을 보여주는 대표적 예로써 남도 6종의 출현을 들 수 있는데, 이 남도 6종의 성립과 발전이 조선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졌던 것이다. 일본 삼론종은 고구려의 중이었던 혜관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그 이후 고구려의 삼론종불학자 도등으로 일본 삼론종의 중심이 이어지게 되고, 이 밖에도 645년 ‘대화개신’이후에 야마또 정권에서 임명한 ‘10사’로 선발된 사람들은 고구려의 도등, 혜운, 령운, 상안 그리고 백제의 중들인 혜묘, 혜린, 혜지, 민 등 모두가 고구려와 백제의 중들이었다. 이들에 의해 고대일본에서는 도랑 이래의 고구려의 삼론종철학사상을 계승한 삼론종학파가 성립되게 되었으며 7세기 전반기 야마또 왕정의 지배사상으로 되게 되었다. 남도 6종의 다른 하나는 법상종인데 처음 백제계통의 불학자 도소에 의해 사상이 전해지고 이후 지붕, 지란, 지웅 등 신라의 불학자들 때부터 크게 부흥하게 된다. 남도 6종 가운데 8세기 전반부터 일본 불교철학계에 가장 큰 세력으로 등장한 것은 화엄종이었다. 729년 일본에 건너간 후기 신라의 화엄종 불학자 심상은 대안사에 거처하면서 찾아오는 중들에게 ‘화엄경’ 사상을 강의해 주었다. 일본 화엄종의 우두머리였던 로벤도 그를 찾아와 3년에 걸쳐 강의를 받았다고 한다. 그는 특히 후기 신라의 불학자 원효의 저서를 일본에 많이 소개하였는데, 오늘날까지 일본학자들이 로벤 등이 심상을 통하여 신라 원효의 교학체계 쪽에 보다 친근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것이 이 시대 일본인들의 화엄수용의 하나의 태도였다고 평하고 있는 것은 우연하지 않다.남도 6종의 다른 종파들인 성실종과 구사종, 율종의 사상들도 우리나라 불학자들에 의하여 전해진 것이었다. 성실종은 백제의 불학자 도장에 의해, 구사종은 신라 지평법사의 영향으로, 율종 또한 마찬가지다. 이처럼 남도 6종은 거의가 고구려, 백제, 신라의 조선 사람들에 의해 성립되고 발전한 것이었다. 우리 민족에 의한 불교의 사상적 영향은 또한 원효와 그의 철학사상의 영향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의연, 고변, 정경 등 많은 일본 불학자들이 원효의 저서들을 탐독하고 그의 사상을 자기의 사상형성에 받아들였다. 고구려, 백제, 신라 등 조선 사람들에 의하여 유교, 불교와 같은 세련된 종교적 세계관들이 전파됨으로써 고대일본에서는 철학적 사유분야에서 획기적인 전환이 일어나게 되었으며 미개로부터 문명에로의 도약이 이룩되게 되었다. It is clear that Chosun's culture has influence upon cultural develop -ment of ancient Japan. Chosun nation who have a high level of culture advanced early into Japan to propagate a advanced culture and had taken the lead cultural development of ancient Jap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only influence on development of philosophic ideas among these influence. Chosun nation as Goguryeo, Baekje, Sinra propagated a polished philo -sophy of religion like Confucianism and Buddhism. So ancient Japan developed the field of philosophy and jumped from savage to civ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