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oT를 활용한 스마트 독서실 책상의 설계 및 구현

        하혜주,이기영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0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0 No.6

        최근에 독서실 이용의 증가로 독서실 시장이 계속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독서실 업체들은 청결 문제와 도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독서실에서는 조명을 사용하는데, 사용자가 조명을 킨 상태로 오랜 시간 자리를 비워, 전력 낭비가 심한 문제도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아두이노를 통해 도난사고를 방지하고 자동으로 책상을 청소해주며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조명 밝기를 조정할 수 있는 서비스와 안드로이드를 통해 사물을 통해 얻은 정보를 기반으로 분실물이 발생하거나 다른 사용자가 해당 책상에 접근하는 경우 단말기에 알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한다. Recently, the market of private study room continues to grow due to increased usage of private study room. However, old study room operators often have problems with cleanliness and theft, and cannot handle them in real time. Also, there is a problem of wasting power since users usually leave their desk for a long time with the lights on. Thus, in this paper, we intended to design a service which can prevent theft, clean up the user's desk, and adjust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based on Arduino system. Also, we tried to design a system which sends notifications from information of android-based IoT(Internet of Things), to the terminal when other people approach to the user's desk or try to steal user's item.

      • KCI등재

        학대 피해경험이 심리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성향점수매칭분석

        하혜주,심은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abuse and control groups in terms of emotional problems (i.e., concentration difficulties, aggression, depression, physical symptoms, social withdrawal), self-awareness (i.e., self-esteem, career identity) and peer attachment (i.e., communication, trust, alienation); in doing so, making use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For this purpose, relevant data was obtained from the third through fifth waves of the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 panel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By a matching process using the propensity score, 1,066 (abuse group=533, control group=533) pieces of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with simila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dolescents with a history of child abuse were more likely to have emotion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ggression, and physical symptoms. Moreover, the abuse group had lower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and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peer alienation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concentration difficulties, social withdrawal, communication, and trust. The current results suggest that child abuse experiences disrupt emotional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and that comprehensive and multidimensional psychological treatment aimed at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 of being abused in these ways is necessary. 본 연구는 국내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대 피해경험이 심리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학대 피해경험 여부에 따른 정서 문제(i.e., 주의집중, 우울, 공격성, 신체 증상, 사회적 위축), 자아 인식(i.e., 자아존중감, 진로정체감), 및 또래 애착(i.e., 의사소통, 신뢰, 소외)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이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초4패널의 3∼5차 연도(초등학교 6학년∼중학교 2학년) 자료 중 1,68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성향점수매칭분석(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을 이용하여 사례별 성향점수를 산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1:1 매칭을 실시하여 집단 간 특성이 동일하도록 재구성된 학대 및 통제집단 각각 533명, 총 1,066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대 피해를 경험한 청소년은 학대 피해를 경험하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우울, 공격성, 신체 증상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학대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 및 진로정체감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또래 관계에서의 소외를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의집중, 사회적 위축, 또래와의 의사소통과 신뢰에서는 학대 피해경험 여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학대가 정서 및 사회적 발달과 자아 인식의 발달을 저해하므로, 학대 피해경험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종합적이고 다차원적인 심리사회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뇌졸중 환자를 위한 심리사회적 개입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하혜주,심은정,서현지,염찬우,함봉진 한국건강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5 No.5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overall effect size (E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stroke patients. The systematic review included 61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up to October 2019, and the meta-analysis analyzed data from 37 articles. The sub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udy characteristics (i.e., intervention type, format, and setting, control group, outcome, study design, and level of risk of bias) influencing the intervention effect. The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stroke patients were mainly provided in the form of psychotherapy, psychosocial education, supportive therapy, or combined therapy in inpatient or outpatient settings. The interventions were provided in individual or group format focusing on depression, anxiety, quality of life, and self-efficacy. The result of the meta-analysis observed low ES (g = 0.40; 95% CI, 0.31-0.50), and that ES varied depending on the intervention types and settings. The psychotherapy was more effective than other types, and a larger ES was observed in interventions provided in an inpatient setting than outpatient or home settings. The estimated ESs were corrected using the trim-fill method because of possible publication bias, but it remained significant, suggesting that psychosocial interventions are effective in improving distress in stroke patients.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대상 심리사회적 개입 연구의 현황 및 특성을 확인하고 개입의 전반적인 효과크기를 확인하였다. 2019년 10월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61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진행하였다. 그 중 37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고, 개입 효과크기가 개입 유형, 형태 및 환경, 통제 집단 유형, 결과 지표 종류, 연구 설계, 비뚤림 위험에 따라 달라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하위집단분석을 수행하였다. 뇌졸중 환자 대상 심리사회적 개입은 주로 심리치료, 심리사회교육, 지지치료, 결합치료였으며, 병원 장면(i.e., 외래, 입원)에서 개인이나 집단 개입 형태로 우울, 불안, 삶의 질, 자기효능감에 초점을 맞추었다. 메타분석 결과, 뇌졸중 환자 대상 심리사회적 개입은 작은 효과크기(g = 0.40; 95% CI, 0.31-0.50)를 보였고, 개입 유형 및 환경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었다. 심리치료가 결합치료, 심리사회교육, 지지치료보다 더 효과적이며, 입원 환경에서 제공되는 개입이 외래나 환자 가정, 지역사회에서 제공하는 것보다 효과적이었다. 분석 대상 연구들의 출판 편향 경향으로 Trim-fill 방법으로 효과크기를 교정하였으나 여전히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심리사회적 개입이 뇌졸중 환자의 디스트레스 개선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애니메이션에 재현된 일본 도호쿠(東北)지방: 비판적 관점에서 본 <스즈메의 문단속>

        하혜주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4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78

        The Tohoku region suffered the most significant damage from the 2011 Great East Japan Earthquake.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cinematic representation of the Tohoku region in “Suzume,” focusing on the themes of memory and forgetting of disasters, and the loss of place and homeland caused by such calamities. Director Makoto Shinkai, through this film, counters the forgetting of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suggesting a resistance to oblivion. However, the memories portrayed in the film can be considered selective. Despite the disaster being a complex event that involved an earthquake, tsunami, and nuclear accident occurring simultaneously, the film notably avoids mentioning the nuclear accident. For this reason, the question remains as to what message director Shinkai included in this film about the dangers of nuclear power. Furthermore, the Tohoku region is depicted as a space lacking meaningful place-ness. The Tohoku represented in the film emerges as a space of loss, where the memories of places before the massive earthquake are erased due to the damage and subsequent reconstruction efforts. ‘Oya Coast service area’ and ‘Orikasa Station’ that appear in the movie are new spaces that were relocated from their existing locations. The film fails to show the original landscapes of these two spaces, and newly constructed areas exist merely as simple backgrounds, devoid of any real context.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is film places greater significance on the issue of mourning for the ruins that are fading away from people's attention and memories, rather than on the area damaged by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animation film research on ‘place and hometown loss.’

      • KCI등재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의 소설 『문(門)』에 나타나는 주거 공간―「벼랑 아랫집(崖下の家)」을 중심으로―

        하혜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 『문』의 무대인 「벼랑 아랫집」을 대상으로 내외부 공간의 구조와 그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설 속에서 묘사하고 있는 주거공간 부분을 도출하고, 이를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으로 구분하여 공간의 특징과 서사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벼랑 아랫집」의 외부공간은 언제 무너져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위험성이 있고, 내부공간은 갈등과 계급성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결론적으로 소스케와 오요네 부부를 무엇보다 힘들게 하는 것은 오요네의 전남편이 언제 찾아올지 모른다는 불안감이다. 향후 나쓰메 소세키의 다른 작품 속 주거공간과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지진다면 그의 건축가적 상상력이 보다 명확하게 드러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언택트 시대, 극장판 『귀멸의 칼날 : 무한열차편』의 흥행요인 연구 ―일본에서의 흥행성과 분석을 중심으로―

        하혜주(河慧柱) 한국일본문화학회 2021 日本文化學報 Vol.- No.91

        Despite the difficult situation in the global film market in 2020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the theater version of the Japanese animation film “Demon Slayer: Mugen Train” was one of the biggest box office hits ever. Previous studies, highlight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animation movie box office, were referred and in this study, researchers sought to determine in detail how these factors affected the box office of “Demon Slayer : Mugen Train” in Japan. The study revealed that factors such as the sympathetic story, the visual arts by the production company ‘ufotable,’ the number of open screens and expansion through over-the-top media, and word of mouth promotion through SNS affected box office succes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re are few studies highlighting the factors that led to the success of animation films, which were released during the pandemi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sights to support animation film production and marketing strategy development.

      • KCI등재

        아동학대 유형과 우울 증상 양상의 관계

        하혜주(Ha, Hyeju),심은정(Shim, Eun-J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1

        아동학대 피해경험은 우울의 주요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아동학대 유형과 세부 우울 증상의 관계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적다. 본 연구는 아동학대의 하위 유형인 학대와 방임에 따른 개별 우울 증상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이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초4패널 3차 연도(초등학교 6학년) 자료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중 아동학대 피해경험 척도 점수를 기준으로 선별된 학대피해(n =359) 및 방임피해(n =388)집단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피해경험과 우울네트워크 구조를 추정하였다. 첫째, 두 집단의 우울 증상 네트워크 추정을 통해 우울 증상 중 다른 우울 증상들과 관계가 강한 중심 증상(central symptoms)을 확인한 결과, 학대피해집단의 중심 증상은 “모든 일이 힘듦”, “우울한 기분”, “흥미 저하”였으며, 방임피해집단의 중심 증상은 “우울한 기분”, “흥미 저하”, “외로움”이었다. 둘째, 아동학대 피해문항을 추가한 네트워크 추정을 통해 아동학대 피해 경험과 우울 증상을 연결하는 교량 증상(bridge symptoms)을 확인한 결과, 학대피해집단의 교량 증상은 “자살사고”, “무망감”, “흥미 저하”였으며, 방임피해집단의 교량 증상은 “모든 일이 힘듦”, “무망감”, “자살사고”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학대 피해 유형에 따라 개별 우울 증상 양상에서 차이가 있으며, 학대 피해경험 아동과 청소년의 우울 평가 및 치료에서 이러한 중심 증상과 교량 증상을 고려한 개별화된 치료적 개입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Child maltreatment is a major risk factor for depression.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child maltreatment and patterns of specific and individual symptoms of depression. This study investigated associations between types of child maltreatment and individual depressive symptoms, making use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third year data of the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 panel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wo maltreatment groups were formed, based on the Child Maltreatment scale scores: an abuse group (n =359) and a neglect group (n =388). First, to identify the central symptoms of depression which may have connections with other symptoms, the networks of depressive symptoms were estimated. Next, items of child maltreatment were added to the network, to identify bridge symptoms of depression that are directly activated by child maltreatm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in the abuse group, “feeling everything is an effort,” “depressed mood,” and “loss of interest” were the most central symptoms, “depressed mood,” “loss of interest,” and “loneliness” were central symptoms in the neglect group. The bridge centrality indices indicated that “suicide ideation” was the highest bridge symptom of depression in the abuse group, followed by the symptoms of “hopelessness” and “loss of interest,” and in the neglect group, the symptom “feeling everything is an effort”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ose of “hopelessness,” and “loneliness.” The current results suggest that patterns of depressive symptoms may vary depending on the maltreatment typ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se central and bridge symptoms might be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in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n children/adolescents with experience of maltreatment.

      • KCI등재

        아동학대 경험에 따른 얼굴표정 정서인식의 차이

        하혜주(Ha, Hyeju),심은정(Shim, Eun-J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아동학대 경험, 특히 학대 유형에 따른 얼굴표정 정서인식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아동기피학대 경험 척도 점수로 아동학대 유형을 학대(n =9), 학대 및 방임(n =10) 및 통제(n =15)의 세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세 집단을 대상으로 상향 및 하향과제로 구성된 몰핑된 얼굴 과제를 실시하였다. 상향과제에서는 정서가가 0%인 중립 얼굴표정에서 100%인 극단 얼굴표정까지 2% 간격으로 몰핑한 네 가지 얼굴표정(i.e., 기쁨, 분노, 두려움, 슬픔) 자극을 순차적으로 제시하여, 정서를 인식한 시점의 정서 강도 및 인식한 정서 유형을 측정하였다. 하향과제에서는 극단 얼굴표정을 제시하여 인식한 정서 유형을 측정한 후, 극단에서 중립 얼굴표정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정서가 사라졌다고 인식하는 강도를 측정하였다. 아동학대 유형에 따른 얼굴표정 정서인식 관련 측정치 분석 결과, 학대집단과 학대 및 방임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슬픔 표정에 대한 정서인식 정확성이 낮았으며, 이를 분노로 오해석하는 경향이 유의하였다. 더불어 학대 및 방임집단은 학대집단에 비해 기쁨 표정에 대한 낮은 정서인식 정확성을 보였으며, 기쁨을 분노로 오해석하였다. 반면 정서인식 민감성에서는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학대를 경험한 성인이 얼굴표정 정서인식에서 보이는 분노에 대한 편향 가능성과 학대와 방임을 함께 경험한 사람들이 더 심각한 양상의 정서인식 편향을 보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얼굴표정 정서인식과 심리사회적 부적응 및 정신 병리의 관련성을 고려할 때, 아동학대 경험이 있는 개인에게 나타나는 얼굴표정 정서인식 편향을 다루는 개입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experience of childhood maltreatment affected facial emotion recognition, and whether this impact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maltreatment. Two groups that experienced maltreatment (an abuse only group (n=9) and a group with both abuse and neglect (n=10)) and a control group without the experience of maltreatment (n=15) were classified. These groups participated in ascending and descending morphed facial tasks. In the ascending task, sequences of neutral faces slowly changing to full-intensity happy, angry, fearful, and sad expressions were presented, an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when they identified emotions in facial expression. In the descending task, the same stimuli were presented in reverse order, and participants responded when they recognized the disappearance of an emotion in facial expres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with a history of childhood maltreatment were less accurate in recognizing sad expressions than the control group, and more likely to misinterpret sad facial expressions as angry ones. Moreover, compared to the abuse only group, the group with both abuse and neglect showed a lower level of emotion recognition accuracy with regard to happy facial expressions, and were more likely to misinterpret happy facial expressions as angry on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emotion intensity. The results suggest that childhood experiences of maltreatment are associated with facial emotion recognition biases in adulthood, especially in terms of anger. Furthermore, adults with a history of both abuse and neglect have more severe biases than individuals with only experiences of abuse. The current results warrant the need for addressing facial emotional recognition biases in individuals with experiences of childhood maltreatment, given its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sychosocial maladjustment and psychopathology.

      • KCI등재

        명화 소재 소설 속에 나타나는 하녀상의 영화적 변용 :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를 중심으로

        하혜주(Ha Hyej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

        본 연구는 요하네스 베르메르(Johannes Vermeer)의 명작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를 소재로 한 동명 소설과영화에 나타나는 하녀상을 계급, 젠더와 섹슈얼리티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계급성은 소설보다 영화에서 명확하게 나타났다. 소설은 그리트(Griet)에게 하녀로서의 역할을 인식시키면서도 그녀가 그림을 이해하려는 시도와 예술적 체험에 초점을 두고 그리고 있다. 이에 비하여 영화에서는하녀로서의 역할과 위치를 부각시킨다. 이러한 계급성은 주거공간과 음식, 의상 등에서도 이항대립을 통해 충실하게 재현된다. 특히 다양한 오브제들과 미장센을 통해 계급성은 소설보다 영화에서 강화된 형태로 드러난다. 그리트의 젠더와 섹슈얼리티는 영화보다 소설에서 더욱 강조된다. 예로부터 일반적으로 화가는 보는 주체가 되고 여성 모델은 보여지는 객체로서 자리해왔다. 그러나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영화에서 그리트와 베르메르는계급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들 간의 시선은 평등하게 그려진다. 또한 그리트는 피터와의 혼전 성애적 행위에 있어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어 성역할 고정관념을 교란한다. 본 연구 결과는 17세기 네덜란드 시대의 계급의식, 젠더와 섹슈얼리티가 소설 속에서 어떻게 재현되고, 또 영화에서 변용되는지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향후 회화를 소재로 하는 소설과 영화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소설적 상상력과 영화적 변용이 독자와 관객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age of maids appeared in novel and film of the same name with the material of <The Girl with a Pearl Earring>, a masterpiece by Johannes Vermeer from the perspective of class, gender and sexuality. As a result of the study, classification appeared more clearly in film than the novel. The novel focused on Griet’s attempt to understand painting and her artistic experience while recognizing a role as a maid. On the other hand, the film emphasized the role and position as a maid. This classification is faithfully reproduced through binary oppositions in terms of living space, food and clothes. In particular, the classification is revealed in improved form in films than novel through various objects and miseenscene. Gender and sexuality of Griet are further emphasized in novel than the film. From old times, the painter has been positioned as ‘seeing subject’ and female model has been positioned as ‘visible object’. However, in the film of <The Girl with a Pearl Earring>, views of Griet and Vermeer are drawn as equally despite of their difference in class. In addition, Griet plays a leading role in premarital sexual action with Peter, disturbing stereotype for gender ro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 helpful to understand how class consciousness, gender and sexuality from the Dutch era of the 17th century are reproduced in the novel and how they are adapted in the film. I hope that more in-depth study on how fictitious imagination and cinematic adaptation affect readers and audiences will be made for the novels and films created based on painting in the future.

      • KCI등재

        영화 속에 나타나는 에도시대 하급무사 가정의음식과 식사의 기능에 관한 연구

        하혜주 ( Hyeju Ha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야마다 요지 감독의 시대극 3부작을 대상으로 영화 속에 나타나는 하급무사 가정의 식사 양상을 ‘식사의 기능과 의미’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연구 방법: 야마다 요지 감독의 시대극 3부작에 재현되고 있는 식사 장면이 가지는 의미를 등장인물의 특징과 내러티브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영화 『황혼의 세이베』에서의 ‘죽’과 『비검, 오니의 손톱』에서의 ‘미음’은 생존을 위해 먹어야 하는 ‘생명의 식사’이고, 영화 『비검, 오니의 손톱』에서의 ‘돈가라지루‘는 친구와 함께하는 ’연회의 식사’이며, 영화 『무사의 체통』에서의 ‘데친 토란조림’은 부부 관계를 강화하는 요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및 제언: 야마다 요지 감독의 시대극 3부작에 등장하는 식사 장면은 영화의 서사를 추동하는 핵심적인 오브제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l patterns of low-ranking samurai families in the trilogy of period dramas directed by Yoji Yamada, focusing on the ‘function and meaning of meal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meaning of the meal scenes reproduced in Yoji Yamada’s period drama trilogy was analyzed through the characters’ characteristics and narratives. As a result of the study, ‘Okayu’ in the movie ‘The Twilight Samurai’ and ‘Omoyu (thin gruel)’ in the movie ‘The Hidden Blade’ is the ‘meal of life’, and ‘Dongara Jiru’ in the movie ‘The Hidden Blade’ is a ‘meal at a banquet’ with friends, and ‘Imogarano nimono’ in the movie ‘Love and Honor’ is a ‘meal to strengthen the marital relationship’.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meal scene in ‘Yoji Yamada’s period drama trilogy’ acts as a key objet that drives the narrative of the fil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