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논문-한국사회 신화 담론의 어제와 오늘 : 1920년대-30년대 한국사회의 ``신화`` 개념의 형성과 전개

        하정현 ( Jeong Hyun Ha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1 종교문화비평 Vol.20 No.20

        The term ``myth(神話)`` was introduced to the East Asia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Mythology discourse in the modern Korea was established by disputation between Japanese scholars and Korean especially Choi Namsun.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some Japanese historians insisted that Dangun has no relation with Kochoson. Some Korean historians had refuted their conjecture. The refutation between Japanese and Korean historians bring about the motive of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Shinwa(신화).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research the formartion of Shinwa in Korea by analysing ``Dangun`` discourse by Japanese historians and Korean who worked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he western term ``myth`` was reconstructed in Japanese historical context. Since we call the story of Dangun ``Dangun Shinhwa(단군신화)``, there has been some the point at issues. For example "Dangun is mythical hero? or historical ruler?" They resulted from the term ``myth`` from the west by way of Japan

      • KCI등재

        단일민족, 그 신화 형성에 관한 일 고찰: 종교 가르치기의 한 사례 연구

        하정현 ( Jeong Hyun Ha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6 종교문화비평 Vol.29 No.29

        신화는 일차적으로 고대인들의 사유와 표상이 담긴 이야기로서 전승집단의 종교와 삶의 규범을 담고 있는 유산이지만, 이 이야기는 전승과정에서 당대의 필요에 의해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새로운 신화로 탄생한다. 동아시아의 근대국가가 성립할때 일부 지식인들이 고대로부터의 전승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여 민족과 국가의 기원을 설명해주는 이야기들을 구축했다는 것은 한중일의 공통적인 현상이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당대에 절대시하는 개념들 가운데 어떤 개념은 그 자체가 초역사적으로 신성시 되어 신화로 기능한다는 점이다. 역사적 위기상황의 극복을 위해 수용한 ``민족`` 혹은 ``단일민족``의 개념이 그렇다. 따라서 한국민족이 단일민족이라고 하는 것은 근대에 형성된 일종의 ``신화``로서 근대 민족주의 형성과 함께 만들어진 전통이다. 이 글에서는 종교가르치기에서 신화를 다룰때 반드시 짚어야할 신화(myth) 개념을 근대신화의 형성과정이라는 역사적 사례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역사적 사례를 통해 신화개념에 역점을 두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실 때문이다. 첫째, 동아시아 ``근대신화`` 형성의 토대와 그것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침략전쟁과 식민지배로로 점철된 ``근현대사``를 파악하는데 필수불가결하다. 아울러 신화개념을 통한 역사적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신화학을 교양과목으로 수강하는 학생들은 근현대사의 심층적 이해는 물론 현대문화비평의 안목을 기르는데 도움을 받을 것이다. 둘째, 신화라는 용어가 내포하는 복합적인 함의를 균형있게 살펴봄으로써 종교가르치기에서 종교의 역동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The term ``myth`` is modern terminology. It was introduced to the East Asia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some Japanese historians insisted that Dangun(檀君) has no relation with Kochoson(古朝鮮). Some Korean historians have refuted their conjecture. The argument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historians bring about the motives of making the concept of Shinwa(神話)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procedures of making myth of Homogeneous Korean as a case study of "teaching religion". For the scholar the historic beginning is to be distinguished from later myths of origins. The scholars, particularly among the historians of China, Japan and Korea take it as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to investigate myths, for the ending parts of narratives are in themselves involved in a social constructs in order to give legitimacy to the story. It is apparent to satisfy for the current social demands of the nation-states building. It is also an act of casting and projecting their national values into the far distant past which is considered to be authentic and authorative. The western term ``myth`` had been made up in Japanese historical context in order to build "nation-state concept". In Korea, the myth of homogeneous ethnicity of Koreans had been also reconstructed as modern myth during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y. We can call it the invention of the tradition accordingly.

      • KCI등재

        근대 단군 담론에서 '신화' 개념의 형성과 파생문제

        하정현(Ha, Jeong-Hyun) 고조선단군학회 2011 고조선단군학 Vol.24 No.-

        The term "myth(神話)" was introduced to the East Asia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Mythology discourse in the modern Korea society was established by disputation between Japanese scholars and Korean especially choi Namsun.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some Japanese historians insisted that Dangun has no relation with Kochoson. Some Korean historians had refuted their conjecture. The refutation between Japanese and Korean historians bring about the motive of the formation the concept of Shinwa(신화).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research the formartion of Shinwa in modern Korea by analysing 'Dasngun' discourse by Japanese historians and Koean who worked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he western term 'myth' was reconstructed in Japanese historical context. Since we call the story of Dangun Dangun Shinhwa(단군신화), there has been some the point at issues. For example "Dangun is mythical hero? or historical ruler?" They resulted from the term "myth" from the west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베르그송의 이론으로 고찰한 즉흥적 행동을 통한 조형표현의 의의

        하정현 ( Jeong Hyun Ha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7 No.-

        `즉흥적 행동을 통한 조형표현`은 비의도적인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조형표현의 한 방법으로, 논리적 사고과정을 거치지 않고 즉시적으로 표현되는 성질로 인해, 작가 내면의 감정을 솔직하고 자유롭게 드러낼 수 있는 표현 방법적 측면이다. 이는, 감정을 표현하여 이해를 끌어내는 예술의 궁극적 목표에 다가가기 위한 효과적인 표현 방법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즉흥적 행동을 통한 조형표현`은 그 의미적 특성에 있어서, 합리적·과학적 사고의 한계를 벗어나 존재론적 사유를 하는 베르그송의 이론과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따라서 베르그송의 지속 이론을 통해 `즉흥적 행동을 통한 조형표현`의 의의를, <공간화 된 시간의 표현을 탈피한 새로운 조형표현>, <지속의 두께를 지니는 현재성의 표현>, <잠재적 상태로 존재하는 과거의 총체 표현>, <다양한 질적 창조의 지속으로서의 표현>이라는 네 가지로 분류하여, 미국의 추상표현주의 및 유럽의 앵포르멜 조형표현 사례 분석과 함께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는, `즉흥적 행동을 통한 조형표현`에 대한 의의를 베르그송의 이론을 통해 재조명하고, 이를 통해 즉흥적 행동을 통한 조형 표현의 응용이 적극 이루어져, 예술의 본질적 목적에 보다 가까이 다가가기 위한 창작의 탐구가 활발히 시도되는데 기여코자 한다. `Plastic art expression through the impromptu action` is one of the methods of molding expressions which was created in un-planned and illogical status and it shows the inner side of artist`s energy or emotion without rational thinking process and as a result, we could see the artist`s feeling in a frank and free manner. This, the plastic art expression through the impromptu, could be one of the effective expressions ways that are trying to get close to the ultimate goal of art, deriving the artist`s pure emotion. The semantic properties of this `plastic art expression through the imprompt action` which exclude the logical and rational way of thinking have quite close connections with the Bergson`s theory that is looking the world in terms of existence theory. Therefore, `plastic art expression through the impromptu action` based on the Bergson`s persistence theory `La duree` could be classified with the following 4 semantic properties such as < The new expressions escaped from spaced time expressions >, < The express -ions of currency that have thickness of persistence >, < Overall expressions of the past existed in the form of latent state >, < The expressions as the continuity of creations of various quality oriented > and have analyzed together with Abstract Expressionism and Informel.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new reason for one of the expression ways that is trying to be close to the real function of art by re-illustrating through the Bergson`s theory in order to evaluate the meaning and value of `plastic art expression through the impromptu ac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관혈적 수핵 제거술에 따른 재발률과 생존율

        양보규(Bo Kyu Yang),하정현(Jeong Hyun Ha),한성호(Sung Ho Hahn),이승림(Seung Rim Yi),정선욱(Shun Wook Chung),안영준(Young Joon Ahn),김민석(Min Seo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목적: 요추 추간판 탈출중의 관혈적 수핵 제거술에 따른 진성 재발률(true recurrence rate)을 추정하고, 추시 가능한 증례만을 포함하는 기존의 단순 재발률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척추 전방 전위증, 척추 분리증, 척추관 협착증 등의 척추 기타 병변이 동반되지 아니하고, 단일 병소에만 발생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하여 관혈적 수핵 제거술을 시행 받은 30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과 방사선학적 결과 및 전화 조사를 병행하여 후향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전례에서 추간판 탈출증의 진단은 MRI를 통하여 확진하였다. 재발의 판정은 증상의 재발 및 MRI의 확진이 동반된 경우로 한정하였으며, 타 병원에서 같은 부위의 재발로 진단받고, 재수술 받은 경우도 포함하였다. 장기추시에 따른 증례 탈락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통계학적 생존분석 (survival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생존분석은 해당 증례의 모든 환자가 동시에 수술 받았다고 가정하고 최종 추시기간이 11년까지 포함하는 생명표(life table) 방법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5.9년(1-11년)의 장기 추시 중 18%의 추시 소실이 있었다.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252명(82%)의 경우, 남녀 비는 11.6:1로 남자가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27.1세(17-75세)였고, 가장 많은 발생 부위는 요추 제 4-5번간(74%)이었다. 추시 가능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단순 재발률은 8.3% (21예)였으며, 이 중 요추 제 4-5번에서(16예; 76%)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추시 중 소실된 증례를 포함하는 생존 분석의 경우, 연간 재발률(annual recurrence rate)이 수술 첫해에 가장 높은 3.4%를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추시 9년에 누적 생존율(cumulative survival rate)은 88.9%로 나타났으며, 이후 최종 추시 11년까지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이에 따른 장기 추시 재발률은 11.1%로 추정되었다. 결론: 생존 분석을 이용하여, 장기 추시에 따른 증례 소실을 고려한 진성 재발률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수술 후 재발률은 추시 기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연간 재발률은 추시 기간의 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나, 전체적인 진성 재발률은 추시 가능한 증례만을 이용한 단순 재발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true recurrence rate of lumbar disc herniation after open discectomy, and to compare these results with those from other studi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2 to June 2002,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al findings, including a telephone survey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his study examined 306 cases, who had been operated by an open discectomy on a single level and had no other spinal lesions such as spondy-lolisthesis, spondylolysis, or spinal stenosis. MRI was used to confirm the diagnosis of a lumbar disc herniation in all cases. The recurrence of lumbar disc herniation was diagnosed only in those cases who had the same pattern of symptoms and was confirmed by MRI. The cases who had undergone additional surgery at another hospital at the same spinal level were also included as recurrence. In order to make up for weak points such the losses to a long term follow-up, statistical surviv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 life table method. In the life table method, the assumption is that all patients undergo surgery simultaneously. The longest follow-up duration was 11 years. Results: In 252 of the 306 cases (82%), follow-up study was possible. The average duration of the follow-up was 5.9 years (from 1 to 11 year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27.1 years (17 to 75),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6:1. The most common lesion of lumbar disc herniation was L4-5 (74%) at the initial diagnosis. The simple recurrence rate was 8.3% (21 cases)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cases lost to follow-up were excluded. Survival analysis showed that, the annual recurrence rate was highest at the first year postoperatively as 3.4%, but decreased with time. At the last follow-up of 11 years,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was 88.9% and the recurrence rate was estimated to be 11.1 % at final stage. Conclusion: Using survival analysis, the true rate of a recurrence of lumbar disc herniation after an open discectomy calculated. Even though the annual recurrence rate decreased with time, the true recurrence rate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may be higher than the results obtained suggest.

      •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치료 - 내측과 외측 반월상 연골의 비교 -

        정선욱,한성호,양보규,이승림,하정현,김민석,여용범,Chung Shun Wook,Hahn Sung Ho,Yang Bo Kyu,Yi Seung Rim,Ha Jeong Hyun,Kim Min Seok,Yeo Yong Beom 대한관절경학회 200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7 No.2

        목적 : 내측 및 외측 반월상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양상과 동반손상에 따른 치료원칙과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9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본원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이하 I군)로 진단받은 52명 52예와 외측 반월상 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이하 II군)로 진단받은 31명 3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I군 25세($16\~66$세), II군 29세($18\~63$세)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I군 18개월 ($12\~50$개월), II군 13개월($6\~46$개월)이었다. 술중 관절경 검사를 통하여 연골 파열의 부위, 동반손상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외측의 경우 추가적으로 원판형 연골인 경우를 조사하였다 술 후 최종 추시 시 이학적 검사와 임상양상에 따라 치료 판정을 하였으며, 두 군 전체에서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동반되었던 경우 추시 관절경을 19례$(23\%)$에서 시행하였다. 결과 :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동반된 경우는 I군 38예$(73\%)$, II군 5예$(16\%)$였으며, 원판형 연골이었던 경우는 II군에서 19예$(59\%)$였다. 최종 추시 시 봉합술을 시행한 예에서 I군의 경우 26예 중 22예$(85\%)$는 성공 판정을 받았으며, II군의 경우 3예 중 2예$(67\%)$에서 성공 판정을 받았고, 절제술을 시행한 예에서는 I군의 경우 26예 중 전예에서 II군의 경우 28예 중 26예$(93\%)$에서 성공 판정을 받았다. 이중 I군에서 재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봉합술을 시행한 2예에서 있었고, 재수술 당시 1예에서는 봉합부위의 재파열과 다른 1예에서는 새로운 부위의 파열을 발견하였다. II군에서는 원판형 연골의 모양을 보였던 19예 중 2예에서 절제술 후 남아있는 연골에서 새로운 파열이 발견되었다. 결론 : 내측과 외측 반월상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에 있어 동반 손상이 현저히 다르며, 그 차이를 고려하는 것이 적절한 치료 원칙을 정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attern of displaced bucket-handle tear of lateral and medial menisci and the treatment modality and results from accompanying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 Patients who were diagnosed for displaced bucket-handle tear of medial meniscus (group I: 52patients, 52cases) and lateral meniscus (group II: 31patients, 32cases) from September 1998 to December 2002. The mean ages were 25years $(16\~66)$ for Group I and 29years $(18\~63)$ for Group II,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ere 18months $(12\~44)$ and 13months $(6\~46)$, respectively. The zone of meniscus tear and the existence of accompanying injury were verified through intraoperative arthroscopy and discoid type meniscus was additionally examined for group II. The assessment was made according to the physical examination and clinical pattern at the postoperative last follow-up, and the 2nd look arthroscopy was performed in 19cases $(23\%)$ for the cases accompany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y in both groups. Results : There were 38cases $(73\%)$ in group I, 5cases $(16\%)$ in group II for associating ACL injury. We observed discoid type meniscus (19cases, $59\%$) in group II. At last follow-up clinical success in repair cases of group I and II are 22cases $(85\%)$, 2cases $(67\%)$, in resection cases are 26cases $(100\%)$, 26cases $(93\%)$ respectively. Reoperation is performed 2cases in repair cases of group I. One case is re-rupture, the other case is newly developed tear in white-white zone. Reoperation is performed 2cases due to remnant meniscal tear in resection cases of group II. All of 2cases are discoid type menisci. Conclusion : Displaced bucket-handle tear of medial & lateral menisci would be substantially different an aspect, considering on difference would help to select proper treatment mod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