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고학으로 본 소가야의 성립과 변천

        하승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1

        Sogaya was a major political force that formed the federation of Gaya states (A.D.350~A.D.562). Sogaya was most likely the term that referred to many tribal states that existed in the western part of today’s Gyeongsangnam-do area. Based on pottery forms, tomb style and distribution of tombs, the development of Sogaya could be described in terms of three stages: foundation period (A.D~450), period of growth (A.D 450~525), period of decline (A.D 525~560) Pottery culture unique to Sogaya began to form around A.D. 5th century and geographic characteristics become prominent as time passed. During the growth perio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Sogaya’s potteries took place in many regions: the Nam-gang river area including Sancheong and Jinju; the southern sea coast area including Goseong, Tongyoung, Sacheon and Hadong In terms of tomb style of Sogaya, wooden coffin tombs are built during the 4th and the early 5th century, which are replaced by stone coffin tombs by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hen, beginning in the 6th century, stone chamber tombs began to spread widely, starting with the upper class people. The greater territory of Sogaya was defined by southern coastal area region and Nam-gang River area. The central polity includes tombs group in Songhak-dong in Goseong, Joongchon-li in Sancheong and Samga in Hapcheon. It is speculated that Sogaya responded to their more powerful neighboring states by forming a collaborative network of central and smaller forces within their influence. Based on the scale of kofun group, people who built kofuns in Joongchon-li in Sancheong was the earliest leader of Sogaya states, followed by people who built Samga kofun group. People who built Songhak-dong tombs in Goseong is considered a leader of Sogaya from the late 5th to early 6th century. However, the leaders of Sogaya did not appear to have power enough to dominate other states in terms of the strength of federation and their leadership in the federation. After the mid-6th century, Baekja and Shilla began to encroach upon Gaya region, which led to the fall of Sogaya. The influence of Daegaya and Baekjae expanded and the territorial expansion of Shilla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began. Baekjae, after occupying Seomjin-gang River area in the early 6th century, began to invade Gaya area in full scale. the fall of Sogaya is speculated to be around A.D. 560. 2000년대 가야고고학은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소가야에 대한 연구도 크게 진전되어 5∼6세기에는 대가야, 아라가야와 함께 가야의 3대 세력 중 하나였음이 밝혀졌다. 소가야 성립기는 5세기 1/4분기부터 2/4분기이다. 소가야는 재지의 토기 제작 전통을 바탕으로 선진적인 아라가야 토기 제작 기술을 수용하면서 새로운 토기문화권을 형성한다. 분포권은 산청․진주 등 남강수계와 고성․사천 등 남해안 일대이다. 소가야 성립기의 묘제는 목곽묘이다. 중심고분군은 산청 중촌리고분군과 합천 삼가고분군이다. 소가야 발전기는 5세기 3/4분기부터 6세기 1/4분기이다. 소가야양식 토기는 의령, 창원과 전남 동부지역으로 확대된다. 묘제 역시 역동성을 반영한다. 세장방형석곽묘가 유행하고, 고성․통영을 중심으로 분구묘가 출현한다. 6세기 전엽에는 왜계석실과 함께 횡혈식석실분이 도입된다. 소가야는 가야의 대외교역을 주도하였고, 남해안을 통해 백제와 왜의 국제교역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소가야 쇠퇴기는 6세기 2/4분기부터 3/4분기이다. 소가야양식 토기의 분포권은 산청 단성권, 진주권, 고성권, 사천권으로 축소되는 반면, 대가야토기와 신라토기의 반입이 급증한다. 묘제는 수장층을 중심으로 횡혈식석실분이 유행하고 중․하위층은 석곽묘가 축조된다. 합천 삼가고분군은 대가야로 편입되고, 중촌리고분군은 급격히 위축된다. 백제는 하동을 거쳐 진주방면으로 진출한다. 고성권에는 신라의 영향력이 확대된다. 소가야는 신라, 백제의 영역확장 정책으로 세력들이 분열하면서 급격히 쇠퇴한다. 소가야는 고성을 중심으로 마지막까지 세력을 유지하였으나 560년경 신라에 의해 멸망한다. 고고학 자료로 보아 소가야는 남강수계와 남해안 일대에 존재했던 다수의 정치체를 포괄한다. 소가야는 몇 개의 권역별 중심세력이 등장하여 횡적으로 연결되고, 권역별 종적구조가 생겼을 것으로 가정된다. 남강수계는 산청권, 합천 삼가권을 중심으로 진주권이 결합한 구조이다. 남해안은 고성권을 중심으로 통영권․사천권․하동권이 종적인 구조를 형성한다. 소가야의 성립배경은 자원부족과 교역 등 경제적 요인과 군사적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을 꼽을 수 있다.

      • KCI등재

        선천성 상기도폐쇄증후군에서의 분만 중 자궁 외 치료 1예

        하승철,이영하,구자윤,이윤세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017 임상이비인후과 Vol.28 No.2

        The Ex-Utero Intrapartum Treatment (EXIT) is a procedure that secures the airway in fetus with upper airway obstruction. Congenital high airway obstruction syndrome (CHAOS) is a blockage of the fetal trachea or larynx due to narrowing of the airway (stenosis), a web-like membrane, or even an area of the trachea that is missing (atresia). If it was not adequately diagnosed and managed in prenatal evaluation, infant would not survive after birth. We present a case of CHAOS, which was treated successfully by the EXIT procedure during the delivery.

      • KCI등재

        가야서남부지역 출토 도질토기에 대한 일고찰

        하승철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0 고문화 Vol.56 No.-

        서남부토기의 기종은 삼각투창고배, 일단장방형투창고배, 이단엇갈린투창고배, 수평구연호, 기대, 광구호, 대부직구호, 컵형토기 등이며, 서남부토기가 대가야, 아라가야와 구분되는 독자적인 토기생산체제와 유통권을 형성한 것은 5세기 중엽이었다. 이후 서남부토기의 생산은 가야가 멸망하기까지 약 100년 간 지속되었으나, 신라토기의 진출로 생산이 중단되었다. 서남부토기 성립기의 산청 중촌리 집단은 四通의 교통로를 이용하여 백제지역, 합천지역, 진주, 고성지역과의 활발한 교역을 바탕으로 성장하였다. 5세기 중 · 후반대의 서남부지역은 산정 · 함양권, 진주권, 사천 · 고성권을 중심으로 경호강과 남강을 이용한 내륙의 교역권과 남해안의 해상 교역권을 장악하여 강성해졌으며, 이러한 교역의 이점을 바탕으로 황강 상류지역인 합천 저포리 · 봉계리, 합천 옥전 등과 활발한 교류를 하였다. 반면에 이른 시기에 도질토기 생산체제를 갖추고 광범위한 분포권을 형성하였던 함안의 아라가야는 유통권이 축소되었으며, 서남부토기와는 의령~군북~진돔을 잇는 선으로 경계를 이루게 되었다. 그리고 이 시기의 서남부지역은 산정 중존리 집단을 가장 강력한 중심지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 한편, 5세기 후엽과 6세기 전엽의 대가야는 거창, 합천 반계제, 옥전, 함양 백천리 등으로 확산되고, 백제와의 교통로인 남원, 아영, 운봉, 장수지역으로 진출하게 됨에 따라, 서남부지역은 백제, 합천 등 주요한 교역 대상을 상실하게 되므로 점차 쇠퇴하게 되었다. 특히 산청 중촌리 집단은 급격히 쇠퇴하는 반면, 고성지역은 새로운 교역의 상대자인 신라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어 새로운 중심집단으로 등장하였다. 이상과 같이 필자는 서남부토기의 성립과 확산, 소멸과정을 통하여 서남부집단의 변화양상을 그려보고자 하였으며, 백제토기, 대가야토기, 신라토기의 출현양상을 시기별로 나누어 고찰해 봄으로써 서남부 지역의 대외관계를 추적해 보았다. 그리고 지금까지 확인된 서남부토기의 분포범위와 이와 관련된 집단은 ‘小伽耶’ 란 명칭으로 묶을 수 없다는 점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Categories of pottery found in southern west parts of Korea are such as, Mounted Cup, Jar, Long necked jar, Pottry stands, Cups with handle and the like. It is believed to date from mid-5c that distinctive production of pottery and its distribution by which Taekaya(대가야) and AraGaya(아라가야) can be differentiated found a shape. Yet, such system mentioned above since the fall of Gaya(as sad to be one of ancient kingdoms before a Unifed shilla) lasted itself for 100 years. with the emergence of Shilla patterns of pottery, it stoped producing. During the beginning of south west pottery , A group of JungChon(중촌) in Sanchong(산청) around the boundary of Mt GiRi(지리산) used the four-open-road in direction to develop actively the control of of trading with neighboring areas(Packche, HapChon, Jinju, Kosung). At this time, the whole area that was possible to trade and distribute in each pat of it included Sanctumg, Hanyang and JinJu. the core of marine exchange in which SaChun and KoSung(고성) areas were developing made its own business with Bongyeri(봉계리) in HapChon around the upper stream of Ri. Hang. Meanwhile, AraGaya of HamAn(함안) in a earlier period had established production system of pottery and expanded its wide range distribution. But over time, its distributing network were reduced to the extent that the line ranging from UiYeong to KunBuk(군복) to JinDong(진동) made it clear to differentiate with south west pottery . To be short, I can describe a big picture representing changes of south west groups by examining their emergence, expansion, ad disappearing. other than that, chronological patterns of emergence of three different potteries(Paekche, Taekaya, Silla) were also examined. while there is for now much doubt that archaeological records including potteries would make sure to understand partly political situations of group, it is more to be certain that I find it clear to see changing patterns of pottery buried over periods.

      • KCI등재

        5〜6세기 고성지역 정치체의 성장과 대외관계

        하승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22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7

        소가야연맹은 고성․산청․합천 등 가야 서남부지역에 존재했던 여러 정치체로 구성되었다. 고성지역 가야 정치체는 ‘고자국’으로 추정되며 소가야연맹을 구성한 유력한 세력 중 하나였다. 고자국은 3세기부터 성립한다. 동외동유적과 송학동 1E호분은 고자국 성립기의 사정을 알려준다. 5세기 후반부터 고성지역 정치체의 성장이 두드러진다. 고분군의 위계가 뚜렷해지고 대외교역이 활발하게 진행된다. 송학동고분군을 정점으로 율대리․연당리․내산리 등 수장층 고분이 조성되면서 일정한 권역을 형성한다. 토기양식과 묘제에도 독자적인 색채가 강하게 드러난다. 고성지역의 특유한 묘제인 다곽식분구묘와 송학동유형 석실은 주변의 고분문화에 영향을 준다. 6세기에 고성지역은 가야의 대외교역 창구이자 백제-가야-왜를 잇는 해양 교류의 중간거점으로 성장하였다. 고분에 부장된 주변 각국의 유물은 고자국의 대외관계를 알려준다. 6세기 중엽에는 백제와 신라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대가야의 남하로 인해 소가야연맹이 분열한다. 고자국은 6세기 중엽까지 명맥을 유지하지만 대외 교역이 위축되면서 점차 쇠퇴한다. 고자국은 560년을 전후로 멸망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