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용 학업참여 척도(UWES-S)의 타당화: 학업동기, 참여 및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추헌택,손원숙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9 No.3

        Academic engagement has been known as a strong predictor of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outcomes in an educational context. Despite increasing interest and theoretical usefulness of this construct, a few researchers seem to be interested in the validation of instruments to measure academic engagement for Korean students. Thus, this study would like to introduce one of academic scales widely used, UWES-S(Utrecht Work Engagement Scale-Student) (Schaufeli et al., 2002a: 2002b) and to validate the UWES-S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UWES-S, 651 college students (285 for Field Trial, 366 for Main Study) were used. The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we used an integrated adaptation procedure to produce a Korean version of the UWES-S. Second, EFA(exploratory factor analyses) was applied to explor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UWES-S on the field trial data. Thir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UWES-S items were examined by graded response model(GRM). Also CFA(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its internal construct validity for the data from the main study. Finally, the external validity of the UWES-S was scrutinized with the related variables such as academic motivation and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Korean version of the UWES-S with 13 items was accepted that the four items were excluded from its original version. Second, the internal validity was supported that the 3 factor CFA model(vigor, dedication, absorption) fit the data well. Third, we supported the partial mediation model that academic engagement played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academic motivation(internal/external) and academic satisfaction. Finally, the differences between a validation of UWES-S for Korean colleg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necessity of construct equivalence testing,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f scale validating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수행과 성취결과에 주요한 예측변인 중 하나인 학업참여(academic engagement)를 측정하는 UWES-S(Utrecht Work Engagement Scale-Student)(Schaufeli et al., 2002a; 2002b) 척도를 타당화 하고, 학업참여와 학업동기 및 학업 만족도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타당화 표본은 우리나라 대학생들로써, 예비검사 285명, 본검사 366명으로 구성되었고, 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UWES-S의 17개 문항에 대한 기술통계치 검토 및 척도의 요인구조 탐색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문항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등급반응모형에 기반한 문항 특성치를 추정하였다. 셋째, 척도의 내적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이 실시되었으며, 외적 타당도 확보를 위해서는 학업동기 및 학업만족 변인을 포함한 구조방정식 모형이 활용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검사의 자료를 활용한 기술통계치 검토 및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요인 구조가 지지되었으며, 4개의 문항이 제거된 최종 13개 문항이 제안되었다. 둘째, 등급반응모형에 의해서 추정된 문항 특성치들을 검토한 결과, 최종 문항의 양호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이었고, 또한 학업참여 척도의 3요인 모형(열정, 헌신, 몰두)은 자료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적타당도 검증 결과, 학업참여는 학업동기와 학업만족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타당화 된 대학생용 UWES-S와 기존에 타당화 된 고등학생용 UWES-S(추헌택, 손원숙, 2011)와의 차이점을 논의하고, 표본별 학업참여 구인의 동등성 검증의 필요성 및 추후 척도 타당화 연구를 위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사의 기본심리욕구, 상황적 동기 및 교직적응탄력성간의 구조적 관계

        추헌택,류숙열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 Vol.15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기본심리욕구, 상황적 동기, 교직적응탄력성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한 관련 변인들 간의 이론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동기유형에 따른 관련 변인의 심리적 내면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 158명의 자료를 통해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이론적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랩핑을 적용하여 상황적 동기유형에 대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본심리욕구, 상황적 동기, 교직적응탄력성 변인들 간에는 정적 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상황적 동기의 한 유형인 자율동기는 기본심리욕구 및 교직적응탄력성과 정적인 상관을 보인반면, 타율동기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또한 선행연구들로부터 설정된 상황적 동기의 부분매개모형은 경험적 자료들로부터 양호한 적합도 수준을 보여 이론적 모형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개변인으로 설정한 자율동기와 타율동기의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두 변인 모두 기본심리욕구와 교직적응탄력성을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로부터 특수교사가 어떠한 동기유형을 지니는가에 따라 교직적응탄력성에 대한 상반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특수교사의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기본심리욕구가 충족될 때 자율동기가 높아지고 타율동기가 낮아지는 결과로부터 자율동기 형성을 위한 특수교사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에 대한 학교차원의 전략적 접근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theoretical mod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ic psychological needs(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situational motivation(autonomous and controlled motivation)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adaptive resilience. For this purpose, we hypothesized a partial mediation model predicting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have both a direct and an indirect effect on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via situational motivation(autonomous and controlled motivation). Method: 158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appli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echnique to test the theoretical model and bootstrapping to test moderating effect significance. Results: First, two components of situational motivation, autonomous and controlled motivation, were correlated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utonomous motiv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needs and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whereas controlled motiv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ose factors. Second, both types of situational motivation type were partially mediated by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daptive resilience. A theoretical model based on previous studies was fit by empirical data. Conclusion: Our results reveal teachers’ situational motivation functioned as mediators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daptive resil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to increase autonomous motivation and to reduce controlled motivation in school context.

      • KCI등재

        한국판 학업참여 척도(UWES-S)의 타당화

        추헌택(Huntaek Choo),손원숙(Won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참여(academic engagement)’를 측정하는 UWES-S(Utretch Work Engagement Scale-Student)(Schaufeli et al., 2002a; 2002b) 척도의 국내 타당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학업참여는 보통 학업에 대한 행동적, 인지적, 정서적 참여로 구분되며, 적극적 참여는 학업성취도를 높일뿐 아니라 그 자체로도 중요한 학업 성과라는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는 구인이다. 이 척도의 타당화를 위하여 먼저 총 17개 문항으로 구성된 영문판 UWES-S를 역번역 및 전문가 패널 활용 등의 통합적 절차를 통하여 한글판 번안 작업을 실시하였다. 총 330명의 고등학생으로 구성된 예비검사 자료를 활용하여서 탐색적 요인분석 및 문항/검사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 결과 총 2개의 문항이 제외되었다. 총 15개 문항으로 구성된 한글판 UWES-S 척도는 517명의 본검사 자료와 함께 구인 타당도의 증거가 수집되었다. 우선 3개의 요인(열정, 헌신, 몰두)으로 구성된 다차원적인 학업참여의 이론적 구조를 확인적 분석 모형으로, 관련변인 즉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만족 간의 관련성이 구조 모형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학업 참여 구인의 하위 집단 간 동등성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위계적인 측정 동등성(measurement equivalence) 가설을 설정하고 다집단 확인적 분석 모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3요인으로 구성된 학업참여의 이론적 모형은 지지되었고, 학업참여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만족감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대한 측정 동등성은 만족되었고, 두 집단 간 잠재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학업참여의 이론적 구조가 성별 집단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 장면에서의 학업참여 구인의 유용성과 외국 척도의 번안 및 타당화 절차에 대한 방법론적인 논의를 포함하였다. The construct of academic engagement has attracted growing interest as a way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to reduce dropout rates.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Utretch Work Engagement Scale-Student(UWES-S)(Schaufeli et al., 2002) using large-scale data on 847 students in high school (330 for Field Trial, 517 for Main Study). For adapting the UWES-S, we used an integrated procedure in a combination of back-translation and the committee approach. The adapted version of the UWES-S was tested b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es and item/test analyses with field trial data. Based on their results, we finalized a Korean version of the UWES-S with 15 items, where the two items were excluded due to the item properties and contextual issue. To collect the evidence of construct validity, we firstly tested the fit of a multidimensional factor model of academic engagement with Vigor, Dedication, and Absorption dimensions and it was supported with the data from the main study. Also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cademic engagement,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ere examin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They showed that academic engagement completely mediated the link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satisfaction as predicted by previous literature. In order to make valid model comparisons by group, we evaluated the extent to which the measurement equivalence of this model was invariant by gender. Finally, we examined differences in latent factor means by these same groups. In this sample, boys and girls did not substantially differ, in terms of the underlying constructs of engagement and the composition of these constructs. Finally, the importance of academic engagement in educational contexts and the methodological issue for validating tes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종이끈을 활용한 생태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류미희,추헌택,손원숙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3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ecological play with paper string craft would improve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creativity. In total, 68 five-year-old children were selected from kindergarten “A" in D city. Ecological play with paper string craft which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5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no changes in play occurred in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compare the group differences for self-regulation and creativity after 26 play sessions with each group,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conducted using SPSS 18.0. For ANCOVA, the pretest score was used as a covariate, and the post-test scores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performance not only in cognitive and emotional regulation, but also in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cological play with paper string craft is more effective in stimulati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creativity than the traditional curriculum.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usefulness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using the ecological materials such as paper string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종이끈을 활용한 생태 활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창의성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대구 소재 A유치원 만 5세 유아 총 68명으로 실험집단에 35명, 통제집단에 33명을 배치하였다. 약 8주, 총 26차시동안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종이끈을 활용한 생태 활동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사후검사가 처치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인지조절, 정서조절)과 창의성(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은 통제집단 유아보다 높게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창의성 증진에 있어 숲과 운동장, 교실 등 다양한 장소에서 실시한 종이끈을 활용한 생태 활동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유아용 생태 활동에서 종이끈 활용의 유용성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구지역 학부모의 교육인식, 교육기대와 자녀교육지원활동의 구조적관계

        김종혁 ( Jong Hyuk Kim ),추헌택 ( Hun Taek Choo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4

        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자녀교육지원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각각 교육인식, 공교육기대, 사교육기대로 구분하고, 이들과 자녀교육지원활동 사이의 구조적 경로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구지역 8개 구·군의 학부모 1000명을 대상으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먼저 부의 학력, 가장의 직업, 가구소득, 거주지, 부모가 인식하는 자녀성적에 따라 자녀교육지원활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학부모의 교육인식, 공교육기대, 사교육기대가 자녀교육지원활동과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갖는지를 분석하였다. 변인들의 전체효과를 살펴보면, 교육지원활동에 대한 전체효과가 가장 큰 변인은 교육인식으로 나타났으며, 공교육 기대와 사교육 기대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간접효과의 경우, 교육인식이 교육지원활동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보다 매개변인을 통하는 경우, 그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perception, expectation, and support activities of parents. The subjects were 1,000 parents who were representative each ``gu`` or ``gun`` of Daegu. The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parents and child grade perceived by parents. For the next step,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used to figure out how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re related to educational perception and educational expectation.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obvious differences in educational perception, expectation, support activities of parents according to parents background variables(father`s educational attainment level, household income, occupation, the area of residence) and perceived grade. Second, the results of SEM showed that educational perception of par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private education expectation, but had a negative effect on public education expectation. However, both expect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In sum, parents who had high understanding on their educational perception(the role of parents, the way of education, education environment) do not expect much on public eduction. On the other hand, on private education, they do. Furthermore, no matter what they expect on both private and public education, parents do their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