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A전문대학 학생들을 위한 핵심역량 진단척도 고도화

        최선일 ( Sunill Choi ),최선영 ( Sunyoung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현재 강조되고 있는 핵심역량 기반 교육은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많은 발전과 시도가 진행되어왔다. 반면 많은 전문대학들이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구축하여 운영하고자 시도하고 있지만 핵심역량 기반 교육의 기초가 되는 핵심역량 진단척도부터 연구가 매우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 전문대학 학생을 위하여 설정된 기존 핵심역량, 핵심역량 정의 및 하위역량을 재분석하여 새롭게 척도 문항을 구성하고,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 및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척도를 고도화하였다. 그 결과 총 5개의 핵심역량에 대해 13개의 하위 역량과 총 49문항을 전문대학 학생들의 핵심역량 척도로 구성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전문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Core competency-based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being emphasized, has been developed and tried a lot, centering on universities. On the other hand, many colleges are trying to competency based curriculum, but research on the core competency scale, which is the basis of core competency based education, is very incomplet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xisting core competency, core competency definition, and sub competence set for A college students are reanalyzed to form new scale items, and the scale is upgraded through expert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id. As a result, 13 sub-competences and a total of 49 questions for a total of 5 core competencies could be composed as a measure of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an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core competencies-based education of junior colleges were presented.

      • KCI등재

        A대학 교수 핵심역량 진단척도 개발

        최선일 ( Sunill Choi ),박수민 ( Soomin Park ),조무정 ( Moojeoung Ch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A대학교 교수핵심역량 진단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역량에 대한 분류를 시도하여 문항을 개발하고 검토하였다. 또한 A대학 내부 관련자와 외부 전문가들에게 시행한 FGI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핵심역량은 크게 기본역량, 강의역량, 혁신역량으로 나누어지며 세부적으로 기본역량은 교육가 자질함양, 대학가치 실현, 사회공헌으로, 강의역량은 강의준비, 강의운영, 강의개선 역량으로, 혁신역량은 전문성 증진, 혁신 추진으로 모델링되었다. 그 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기본역량 17문항, 강의역량 15문항, 혁신역량 9문항 등 총 41문항의 척도 문항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수의 핵심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agnostic scale for core competencies of professors at A University. For this study, previous research was analyzed and classification of competency was attempted, and scale were developed and reviewed. And, through FGI and Delphi surveys conducted on internal and external experts of University A, core competencies are largely divided into basic competencies, lecture competencies, university value realization, social contribution, lecture preparation, lecture management, and innovation. After tha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 total of 41 questions, including 17 basic competencies, 15 lecture competencies, and 9 innovation competencies, were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core competencies of professors were presented.

      • KCI등재

        파주 보광사 대웅보전 목조보살입상과 彫刻僧 英賾

        최선일(Choi Sunil)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0 美術史學 Vol.- No.24

        본 논문은 경기도 파주시 보광사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보살입상〉을 제작한 영색(英?) 비구에 관한 연구이다. 이 보살상은 2009년 5월에 사찰의 의뢰를 받아 수종(樹種)과 연륜연대(年輪年代) 등을 조사하면서 발원문이 처음으로 조사되어 조선후기 보살상 연구에 기준이 되는 작품이다. 발원문에 의하면 〈목조보살입상〉은 1633년 경기 양주 회암사에 봉안하기 위하여 탄오(坦悟)스님이 증명(證明)을 맡고, 영색, 성근, 지원, 옥준, 영축이 제작하였다. 탄오스님은 1623년에 조각승 수연이 제작한 강화 전등사 대웅보전 〈목조삼세불좌상〉을 제작할 때도 같은 소임(所任)을 맡은 승려이다. 조각승 영색은 1626년에 현진과 충북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소조삼신불좌상〉을 조성할 때, 17명 가운데 7번째로 언급되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 30대 중반의 나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633년에 수화승으로 경기 양주 회암사 〈목조보살입상〉(파주 보광사 봉안)을, 1636년경 청헌과 전남 구례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상〉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1639년에 청헌, 승일, 법현과 경남 하동 쌍계사 〈목조삼세불좌상〉과 〈사보살상〉을 제작한 후, 1645년에 청허와 경북 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을 제작하였다. 따라서 영색이 불상을 만든 지역은 전남 1곳, 경북 1곳, 경남 1곳, 경기 1곳, 충북 1곳으로 전국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발원문과 사적기를 보면, 영색은 임진왜란 이전에 태어나 1610년을 전후로 불상 제작 수련기를 보냈던 것으로 추정된다. 1620년대에는 충북 보은 법주사, 경기 양주 회암사, 전남 구례 화엄사, 경남 하동 쌍계사, 경북 상주 남장사 등의 사찰에서 활동하였는데, 영색이 수화승으로 제작한 보살상의 특징은 17세기 전반에 주로 제작된 보살입상으로, 이전에 제작된 보살상에 비하여 머리가 커서 신체에서 얼굴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오른쪽 어깨에 걸친 한 가닥의 대의 자락이 가슴까지 늘어져 있으며, 왼쪽 어깨를 따라 끝이 꽃모양으로 둥근 한 가닥의 두꺼운 옷 주름이 길게 접혀 있다. 또한 하반신에 입은 치마의 주름이 무릎 부분에서 U자형으로 도식화 되어 있다. 조각승 영색은 수화승 청헌과 불상 제작에 주로 참여하여 그와 같은 계보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활동 시기가 거의 비슷하여 사제지간보다 선후배 사이로 보인다. 따라서 지금까지 밝혀진 영색의 조각승 계보는 청헌(淸憲, 1626-1643), 영색(英?, 1626-1645)→성근(誠勤, 1633-1657), 영축(靈竺, 1633-1641)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조각승 영색과 그 계보의 조각승들이 17세기 전반의 불교조각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목조보살입상은 조선 전기에 주로 제작되었고, 전쟁 기간에 파괴된 사찰이 주로 복구되는 1600년부터 1640년대까지 주로 만들어졌다. This is a study about monk sculptor Yeongsaek, who made the wood standing Bodhisattva in Daeungjeon hall at Bokwangsa temple, Paju, Gyeonggi-do. I had a chance to research this standing Bodhisattva's material characters. During analyzing tree rings' of this Bodhisattva, the votive inscription was found inside the sculpture and this document provided rich information about stylistic features of late Joseon dynasty's standing wood Bodhisattva sculptures. According to the votive inscription, this wood standing Bodhisattva, dated 1633, was rendered at Hoeamsa, Yangju, Gyeonggi-do. Participated monk sculptors are Yeongsaek, Seong geun, Jiwon, Okjun, Youngchuk. There are other votive inscriptions, which can trace Yeongsaek's activities between 1620s and 1640s. In the earliest record, Yeongsaek partook Beopjusa's Three Seated Buddha rendering project in 1626. To achieve this project, seventeen monk sculptors were participated in and Yeongsaek' s rank was the seventh among them. In 1633 as a main sculptors, he made wood standing Bodhisattva in Bokwangsa temple, and in 1636 he worked with another monk sculptor Cheongheon to make Three Seated Bodies of the Ultimate Buddha at Hwaemosa temple, Gurye, Jeollanam-do. Yeongsaek was involved in Chengheon's another Buddha rendering project, making wooden seated Buddha of the Three Realms and four attendants Bodhisattvas, at Ssangyesa temple, Ha-dong, Gyeongsangnam-do in 1639. In 1645 Yeongsaek was engaged in monk sculptor Cheongheo's project at Namjangsa temple, Sangju, Gyeongsangbuk do. As a result, Yeongsaek participated all over country's Buddha making projects. If I reconstruct monk sculptor's life, based on votive inscriptions and historical records of an individual temple, he might have been born before Imjin Waeran (壬辰倭亂) and had been finished his apprentice around 1620s. During 1630s his expertness might reach the zenith, so he partook various Buddha making projects all over the country such as Hwaemosa temple, Hwaemosa temple, Ssangyesa temple, Namjangsa temple. Especially his standing wood Bodhisattva, dated in 1633 at Boguangsa temple, which was originally rendered in Hoeamsa temple, well represents the early half 17th century's standing Bodhisattva stylistic features. Compared with previous period's standing Bodhisattva sculptures, the potion of head becomes larger than earlier century's ones. Secondly, the way to make folded draperies of Bodhisattva garment became more simplified. Without rendering detailed pleats, one trail of garment, located in right shoulder, is elongated Bodhisattva's chest, and another trail of garment in left shoulder is folded like upside-down tulip's shape. The garment's pleats of lower half of Bodhisattva's body' were also simply created. Youngseak only carved "U" shape patterns on the lower half of Bodhisattva's body. Yeongsaek mainly worked with Chengheon's Buddha making projects, so they might have a close relationship. Their active periods are also similar. It might be assumed that Chengheon and Yongsaek maintained senior and junior relationship in a certain monk sculptor school. As a result, this recently found votive inscription helps to fill the blank of Chengheon monk sculptor school's members. This school members might be consisted of Chengheon (1626-1643), Yongseak (1626-1645), Shenggeon (1633-1657), and Youngchuk (1633-1641). The main approach to this study was for analyzing monk sculptor Yongseak's statue in art history of the early half 17th Buddhist sculpture. As one of the main members' of Chengheon's school, Yongseak played a critical role for shaping standing wood Bodhisattva style. In addition, we could figure out that standing wood bodhisattvas were mainly created between 1600 and 1640, and after that period, standing wood bodhisattvas were rarely rendered.

      • KCI등재

        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중학생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최선일 ( Sunill Choi ),손은주 ( Unju S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담임교사의 교육적 요구를 반영한 인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인성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담임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3개 중학교, 5개 학급, 140명의 중학생에게 프로그램을 실시전·후 인성교육의 요인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인성요인의 변화 유무를 학년별·성별로 분석하기 위해 SPSS 23.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내적일치도(Cronbach’s alpha),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담임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첫째, 낙관성,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유능성, 성취동기 등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학년별로 낙관성, 자아정체감, 성취동기 등에서 다른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성별로 낙관성, 자아정체감, 대인관계 유능성, 성취동기 등에서는 다른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진로정체감은 프로그램의 효과가 없었다. 본 연구는 여러지역 학교의 학생들을 포함하지 못했다는 점과 단기 프로그램이었다는 점에서 다소 한계가 있으나, 중학생들의 효과적인 인성 발달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that reflect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classroom teachers. To this end, we developed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classroom teacher and conducted pre-test and post-test on the factors of personality educatio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three middle schools, five classes, and 140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o analyze the change in personality factors by grade and gender, technical statistics, Cronbach’s alpha,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the needs of the classroom teacher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optimism, self-ident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motivation to achieve. Second, there were different effects on optimism, self-identity, and motivation for each grade. Third, gender had different effects on optimism, self-identit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motivation to achieve.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that it does not include students from various local schools and short-term programs, bu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programs for effective character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데이터 거래를 위한 “데이터가치평가사” 직업 교육과정 기초 연구

        최현주 ( Hyeonju Choi ),최선일 ( Sunil Choi ),황정훈 ( Jeonghoon Hwang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합리적인 데이터 거래를 위한 새로운 직업 유형으로서 ‘데이터가치평가사’(Data-Valuer)를 제안하고,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2차례의 FGI가 실시되었다. 1차 FGI에서는 현장 및 학계 전문가 6명을, 2차 FGI에서는 현장 및 데이터 교육 전문가 5명을 인터뷰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1차 FGI에서 데이터가치평가사의 정의, 역량, 직무라는 3개 영역과 각 영역에 대한 10개의 범주, 28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2차 FGI에서 데이터가치평가사의 직무 수준별 교육내용에 대한 3개 영역과 각 영역에 대한 10개의 범주, 40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문헌 분석과 2차례의 FGI를 통해 데이터가치평가사의 정의를 도출하였고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ata-Valuer as a new job type for reasonable data transactions in the data industrial society, and to deriv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it’s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wo rounds of FGI were conducted. In the 1st FGI, six field and academic experts were interviewed, and in the 2nd FGI, five field and data education experts were interviewed, and each data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3 domains (definition, competency, job), 10 categories, and 28 subcategories for each domain were derived from the 1st FGI. In the 2nd FGI,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contents of data value appraisers by job level, 3 areas, 10 categories for each area, and 40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rived the definition of a Data-Valuer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two rounds of FGI, and derived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curriculum.

      • KCI등재후보

        화순 쌍봉사 극락전 아미타불 연화좌대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김요정(Yojung Kim),손병화(Byung-Hwa Son),오정애(Jung-Ae Oh),조태건(Tae Gun Jo),최선일(Sunil Choi),박원규(Won-Kyu Park) 한국가구학회 2012 한국가구학회지 Vol.23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the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of Lotus Pedestal of the Amitabha Statue at Ssangbong-Temple in Hwasun. The six wood blocks used for the Lotus Pedestal were hard pines (Pinus spp.; diploxilon) except one piece which was ginkgo (Ginkgo biloba L.). The lotus leaves surrounding the pedestal body were also made of ginkgo. Tree-ring patterns of 3 blocks were synchronized and a 133 years chronology was made. The chronology was crossdated well with the master chronology of Japanese red pine in South Korea. It dated back to A. D. 1551∼1683, i.e. the last ring dated A. D. 1683. Through the estimation of the number of sapwood rings removed during carving, the felling year was calculated A. D. 1704 ± 10. The calligraphic writing on the Pedestal indicated that this statue was made in A. D. 1694. Therefore, the accuracy of the tree-ring dating has been proven.

      • KCI등재후보

        전라도지역 조선후기 목조불상의 수종

        박원규(Won-Kyu Park),오정애(Jung-Ae Oh),김요정(Yojung Kim),김상규(Sang-Kyu Kim),박서영(Suh-Young Park),손병화(Byung-Hwa Son),최선일(Sunil Choi) 한국가구학회 2010 한국가구학회지 Vol.21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ecies of 17 wooden Buddhist statu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17th and 18th century) in Jeollado, southwestern region of Korea. The bodies of statues were made of Ginkgo (Gingko biloba L.: 88%) and alder (Alnus spp.: 12%). The hands of statues were alder(64%), willow (Salix spp.: 27%) and Ginkgo(9%). The bottoms of hollow bodies were covered all with Japanese red-pine (Pinus densiflora S. et Z., 'sonamu') panels. The main species of statue body, Ginkgo tree was known to be introduced to Korea from China with Buddhism. The results indicated that Ginkgo trees of Korea in the 17th century had already become large and rich enough to be used for most of statues. Ginkgo wood has low shrinkage and even texture, which are crucial for carving sculptures. Alder and willow woods used for statue hands have fine and firm textures. The pedestals for these statues were also made of red pine wood. Red pine woods have rather high shrinkage and low hardness, but it is versatile woods strong enough to support heavy stat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