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나주 다보사 명부전 불상과 조각승 지견(智堅)

        최선일(Choi, Sun Il),조태건(Jo, Tae Gun)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2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1 No.-

        본 논문은 나주 다보사 명부전 불상을 조성한 조각승 지견(智堅)에 대한 연구이다. 나주 다보사 명부전은 최근 공개된 발원문에 의해 1659년 지견을 포함한 10명의 조각승들에 의해 조성되었다. 나주 다보사 명부전 권속은 지견이 처음으로 수화승으로 활동한 작품으로 그의 작품 양식을 분석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지견은 17세기 중반을 대표하는 조각승 무염(無染)과 해심(海心)을 연구하면서 존재가 알려진 조각승이다. 지견은 주로 무염과 해심 집단에 속하면서 불상을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지견은 1654년에 수화승 해심과 영광 불갑사 명부전 존상을 조성하였다. 그리고 1661년에 수화승으로 전남 영광 대웅전 목조아미타불좌상을 개금하였으며, 무염 계보와 관련된 사찰들의 시주자로 참여한 기록들이 확인된다. 따라서 지견은 무염 계보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졌던 승려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나주 다보사 명부전 권속들의 양식적 특징에서는 무염 계보 특유의 표현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무염 계보가 조성한 지장보살상들과 시왕상을 비교해 볼 때, 지견이 제작한 나주 다보사 지장보살좌상은 턱선이 완만하고, 얼굴의 양미간이 좁다. 또한 무염과 해심이 조각한 지장보살상과 달리 어깨가 좁고 옷주름에서도 무염 계보의 특징적 표현이 나타나지 않는다, 지장보살좌상에서의 이질적인 양상은 시왕상에서도 그대로 반영된다. 무염 계보 시왕상은 온화하고 해학적인 표정이 주를 이루지만 다보사 시왕상은 전부 엄숙한 모습이다. 그리고 무염계보 시왕상에서는 최소한 한 구씩의 시왕은 동물을 발아래 밟은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반하여, 나주 다보사에서는 이 같은 모습의 시왕상을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지견은 무염 계보의 불상 조성양식을 직접적으로 수용한 조각승은 아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으로 17세기 전반에 조각승 무염, 해심과 같이 활동한 지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앞으로 전국 사찰에 봉안된 조선후기 불상의 조성발원문이 체계적으로 공개된다면 조각승 지견과 관련된 분석을 더욱 다양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7th Century, Buddhist Sculpture, Monk Sculptor, Kisitigarbha, the Ten Kings, Ji Gyeon, Naju Dabosa (多寶寺) Myeongbujeon Buddhist sculptures was found. According to this document, Ji Gyeon and other nine monk sculptors rendered these images in 1659. These sculptures are important works for analyzing Ji Gyeon’ artistic disposition. The activities of Ji Gyeon have been found on various written records. He seems to mainly work with Mu Yeom monk sculptor school, which was th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sculptor schools in the mid 17th century. In 1654, Ji Gyeon participated in Buddhist sculptures rendering project in Yeonggwang Bulgapsa (佛甲寺) Myeongbujeon. The main artist for this project was Hea Sim (海心) who was regarded as the heir of Mu Yeom school. In 1661, Ji Gyeon also led the glittering project for Yeonggwang Bulgapsa Buddha traids, all of which were created by Mu Yeom in 1635. Ji Gyeon’ name was also found in various temples’ votive tablets, listing all patrons’names. Ji Gyeon seemed to pay some tributes for these temples, enshrining Mu Yeom School’s Buddhist sculptures. As a result, Ji Gyeon appeared to maintain a close relationship with Mu Yeom school monks. However, the stylistic features of Naju Dabosa Myeongbujeon sculptures do not seem to follow Mu Yeom School’ style faithfully. Comparing with Mu Yeom’ seated Ksitigarbha sculptures, Ji Gyeon’ Ksitigarbha’ chin and jaw line are more gently curved than Mu Yeom’, and Ji Gyeon Ksitigarbha’ potion of the middle forehead is narrower than Mu Yeom’. In addition, casting garments patterns on shoulders and legs are different from Mu Yeom’. Such a different stylistic features do not limited to the principal sculptures in the hall. These different approaches to materialize appearances are also displayed on the secondary sculptures, the Ten Kings. The majority of facial shapes of Ten Kings, rendered by Mu Yeom School, displays a bright or a jestful mood. However, most of Naju Dabosa’s the Ten Kings facial impressions, created by Ji Gyeon, are stern and austere. In additions, when Mu Yeom School participated in the Ten Kings producing projects, they usually carved one or two animals underneath one or two kings’ legs. However, in the Naju Dabosa Ten Kings’ set, there is no such an animal expression. It is true that this set of Buddhist sculptures in Naju Dabosa Myeongbujeon is not enough data for analyzing monk sculpture Ji Gyeon’ artistic world. However, this approach can be a threshold to introduce Ji Gyeon’ artistic world.

      • KCI등재후보

        화순 쌍봉사 극락전 아미타불 연화좌대의 수종 및 연륜연대 분석

        김요정(Yojung Kim),손병화(Byung-Hwa Son),오정애(Jung-Ae Oh),조태건(Tae Gun Jo),최선일(Sunil Choi),박원규(Won-Kyu Park) 한국가구학회 2012 한국가구학회지 Vol.23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the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of Lotus Pedestal of the Amitabha Statue at Ssangbong-Temple in Hwasun. The six wood blocks used for the Lotus Pedestal were hard pines (Pinus spp.; diploxilon) except one piece which was ginkgo (Ginkgo biloba L.). The lotus leaves surrounding the pedestal body were also made of ginkgo. Tree-ring patterns of 3 blocks were synchronized and a 133 years chronology was made. The chronology was crossdated well with the master chronology of Japanese red pine in South Korea. It dated back to A. D. 1551∼1683, i.e. the last ring dated A. D. 1683. Through the estimation of the number of sapwood rings removed during carving, the felling year was calculated A. D. 1704 ± 10. The calligraphic writing on the Pedestal indicated that this statue was made in A. D. 1694. Therefore, the accuracy of the tree-ring dating has been prov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