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컴퓨터기반 협력학습에서 공유지식 형성을 위한 표상도구설계

        신윤희 ( Yoonhee Shin ),김동식 ( Dongsik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9 No.2

        컴퓨터기반 협력학습도구를 사용하여 한 공간에서 다양한 관점을 가진 사람들이 토의하고자 할 때,작성된 글이 과제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고 서로의 지식과 의견을 공유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에서 공유지식 형성을 방해하는 요인을 문헌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도출된 원리를 기반으로 협력표상도구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도구는 평가 준거에 따른 체크리스트와 F.G.I를 통해 교수자, 설계자, 학습자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반복 조정되었다. 최종 조정된 도구는 복합 과제를 해결해야하는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상황에서 학습자 간 지식 및 의견을 공유하는 데 방해요소를 최소화하여 협의를 촉진하고 고차원의 해결책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When using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CSCL) tool where learners with different perspective are discussing in the same place, it is difficult to catch connection between specific position of learning content and written message by learners, share each other knowledge and opin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enomena responsible for causing "Un-shared knowledge" by literature research and designed collaborative representation tool based on described principle. A version of the Mediated annotation tool was developed for each problem identified and was subsequently tested by software evaluation standard and F.G.I. Final mediated tool will contribute to overcome knowledge sharing barriers, facilitate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and describe high quality solution.

      • KCI등재

        공공보건의료인력 임상교육효과 평가: 지역거점공공병원 간호사 대상

        신윤희 ( Yoonhee Shin ),박관준 ( Kwanjun Park ),변은경 ( Eunkyung Byun ),이동원 ( Dongwon Lee ),주웅 ( Woong Ju ) 한국보건행정학회 2016 보건행정학회지 Vol.26 No.4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clinical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in regional public hospital, utilizing the Kirkpatrick`s model. Methods: Kirkpatrik`s 4-level model was applied to this study. Trainees were asked to fill out questionnaires in the middle and at the end of the program. Also administrators of excellent trainees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s regarding nursing management performance after 1-2 months from the end of the training course. Results: All trainees had positive reactions to the clinical education program. Not only the results of individual level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scores, academic achievement scores, practical application rate, and educational transition factors) but also the scores of organization level (nursing management performance scores) are improved. Conclusion: By show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effectiveness factors we ne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in a future study. In addition, development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formance indicators are needed. To establish a long-term education system, it is required to applying the excellent trainee`s successful experiences.

      • KCI등재
      • KCI등재

        국제질병부담연구의 복합질환 고려 위한 방법론 고찰

        박보미 ( Bomi Park ),신윤희 ( Yoonhee Shin ),박혜숙 ( Hyesook Park ) 대한보건협회 2021 대한보건연구 Vol.47 No.2

        연구목적 : 만성질환 유병률의 증가와 기대수명 연장으로 인하여 한 개인에게 두 개 이상의 질환이 동시에 이환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복합만성질환의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인구집단에서의 질병부담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 복합 질환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연구방법 : 이번 연구에서는 장애보정생존년수를 측정하는 국제 질병부담(GBD) 연구에서 복합질환을 고려하여 질병부담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들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 : 초기 GBD 연구에서는 질병부담 산출시 복합질환을 질환 전반에 걸쳐 고려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GBD 2010연구부터 발생률 접근법이 아닌 유병률 접근법을 도입하고 질환(cause) 중심 접근에서 ‘질환(cause) - 후유증(sequela) - 건강상태(health state)’ 중심 접근으로 전환하면서 비치명적 건강상실을 의미하는 장애로 인한 건강년수의 상실 계산시에 복합질환을 보정하기 시작했다. 가상의 대상자가 각 sequela에 독립적 확률로 노출된다고 가정하고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여 총 20,000명의 가상의 대상자를 생성하였다. 2개 이상의 질환에 동시에 이환된 대상자의 장애가중치는 배가적 모델을 적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계산된 장애가중치 값을 해당 조합을 이루는 각각의 sequela에 배분하여 복합질환 상태가 보정된 장애가중치 값을 구하였고, 보정된 값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장애로 인한 건강년수의 상실의 보정된 값을 계산하였다. 시뮬레이션을 1,000번 반복하여 불확실도를 산출하였다. GBD 2013 연구부터는 더욱 안정된 값 산출을 위하여 가상 대상자수를 40,000명으로 증가시켰다. 결론 : 복합질환을 보정하여 질병부담을 산출하는 방법이 발전되어 왔으나 더 정확하게 질병부담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비독립적 복합 이환을 보정할 수 있는 모델 개발 및 복합 이환 상태의 장애가중치 산출방법 개선을 위한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겠다. Objectives : As the prevalence of multimorbidity,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two or more diseases in the same individual, is increasing with the aging of the population, technological advances, and improvements in medical care and public policy, accounting for multimorbidity in the calculation of disease burden is becoming more important. Methods : This study reviewed advances in methods to adjust for multimorbidity in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GBD) study. Results : The first GBD study introduced a single measure to quantify the burden of diseases called disability-adjusted life year (DALY), which is a sum of years of life lost (YLL)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YLD). The approaches for GBD study have been improved continuously, and since 2010 the GBD study adopted a prevalence based approach rather than an incidence based approach to calculate the YLDs, and the YLDs have been adjusted for comorbidity. To adjust for multimorbidity, GBD 2010 study ran a Monte Carlo simulation of 20,000 individuals based on the assumptions of independent probability and the multiplicative function for the combined disability weight. To capture uncertainty, 1000 different micro-simulations were run. The combined disability weight was distributed proportionately to all comorbid sequelae, and the average of these adjusted values across all simulants with a particular sequela produced the adjusted YLDs. The number of simulants has increased to 40,000 since GBD 2013 study to produce more stable values. Conclusion : More research to incorporate dependent comorbidity into the simulation and reduce uncertainty from disability weight should be conducted to adjust for multimorbidity more accurately.

      • KCI등재

        XR 교육 콘텐츠 설계를 위한 수업에서의 XR 적용 및 효과

        최서현(Seohyun Choi),이주영(Jooyoung Lee),신윤희(Yoonhee Shin)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2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9

        In this study, the XR was applied to pre-service teachers in class activities, and give them the opportunities for using XR and identified the change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Participants selected learning topics that can apply the XR, and designed instructional plans. Experts review on the contents suitability and technical applicability was conducted. Four topics were derived, and if some elements were supplemented, topics are expected to apply into educational contexts. In addition, attitudes toward XR and the willingness to use XR improved positively after the use of XR. Also, through after-class survey, participants showed high self-efficacy and they positively recognized the usefulness, ease, and enjoyment after using XR. The results identified that XR experienc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hange of participants’ perception toward XR and presented ideas and topics that use XR in educational contexts.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XR in the future educational contexts.

      • KCI등재

        인공지능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인공지능 사고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주영(Jooyoung Lee),원용호(Yongho Won),신윤희(Yoonhee Shin) 한국공학교육학회 2023 공학교육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hinking-based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AI literacy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beginner. This program consists of 17 sessions,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ABCDE” model and is a project-based program. This program was conducted on 51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36 respondents excluding missing values were analyzed in R language. The effect of this program on ethics, understanding, social competency, execution plan, data literacy, and problem solving of AI literac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has very large prac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is program provided learners experiencing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the first tim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concepts and principles, collection and analysis of information, and problem-solving processes through application in real life, and served as an opportunity to enhance AI literacy. In addition,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AI literacy should be designed based on AI thinking.

      • KCI등재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의 선수지식 수준에 따른 Worked-Out Example(WOE) 정보 유형의 효과 연구

        정재원(Jung, Jaewon),홍정화(Hong, Jeonghwa),신윤희(Shin, Yoo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의 선수지식 수준에 따른 소거된 WOE 정보 유형이 인지부하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학습자의 선수지식을 고려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WOE 소거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생 22명이었고, 연구 대상자는 선수지식 수준과 소거된 WOE 정보 유형에 따라 네 집단으로 나누어 문제해결학습을 진행하였다(선수지식 수준이 높고 ‘문제해결원리’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한 그룹, 선수지식 수준이 높고 ‘문제해결방법’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한 그룹, 선수지식 수준이 낮고 ‘문제해결원리’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한 그룹, 선수지식 수준이 낮고 ‘문제해결방법’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한 그룹). 학습이 끝난 후 인지부하와 문제해결력을 측정하여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선수지식이 높으면서 문제해결원리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받은 그룹의 내재적, 외재적 인지부하가 가장 낮고 본유적 인지부하가 가장 높았으며 문제해결력도 가장 높았다. 반면 선수지식 수준이 낮으면서 문제해결방법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받은 그룹의 내재적, 외재적 인지부하가 가장 높고 본유적 인지부하가 가장 낮았으며 문제해결력도 가장 낮았다. 이를 통해 선수지식 수준이 높은 경우 문제해결원리를 완성해 나가는 WOE 정보 유형이 효과적이며 선수지식 수준이 낮은 경우에도 문제해결방법을 소거한 WOE 보다는 문제해결원리를 소거한 WOE 정보 유형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faded information based on learners’ prior knowledge, cognitive load and problem-solving competency in problem-solving learning. The participants were 22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4 groups based on level of prior knowledge and type of faded information: a high prior knowledge with faded principle worked-out example (WOE) group, a high prior knowledge with faded-method WOE group, a low prior knowledge with faded principle WOE group and a low prior knowledge with faded-method WOE group. After problem-solving learning, the participants’ cognitive load and problem-solving competency were analysed using two-way ANOVA. The high prior knowledge with faded principle WOE group showed the lowest extraneous load, the highest germane load and the highest problem-solving competency. In addition, the faded principle WOE type was effective on the low prior knowledge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a faded information strategy that considers learners’ prior knowledge is important, and a faded principle WOE strategy is more effective than a faded-method WOE strategy for both novices and experts.

      • KCI등재
      • KCI등재

        경험 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메타버스 플랫폼 분석 및 교수학습전략 탐색

        최서현(Seohyun Choi),주재홍(Jaehong Joo),신윤희(Yoonhee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학습 환경에서 학습자, 콘텐츠, 교수자 관점에서의 상호작용 기능을 분석하고 이를 경험학습의 4가지 학습단계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교수학습전략과 연결하여 제시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활용도가 높은 메타버스 플랫폼 5가지를 선정하여 플랫폼 내에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기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상호작용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메타버스 기능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결과 총 10개의 메타버스 기능을 통합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경험학습의 4단계와 각 단계에 따른 교수학습 전략과 매칭하여 경험학습의 맥락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전략과 적합한 메타버스 기능을 제시하였다. 결론 향후 메타버스를 활용하고자 하는 교수자가 학습 목표와 내용, 적용하고자 하는 교수학습 활동에 따라 메타버스 플랫폼과 기능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interactive functions in a metaverse learning platform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s, contents, and instructor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associated with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four learning stages of experiential learning. Methods To this end, metaverse platforms were selected, and functions that can be used to promote interaction within the platform were analyzed and integrated to der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features. Results As a result, a total of 10 metaverse functions were suggested, and each function could be used in the context of each stage of experiential learning according to educational context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Conclusions It was intended to present guidelines so that instructors who want to use metaverse in the future can effectively use metaverse platforms and function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goals,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에서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을 지원하는 시각화 도구 및 학습성과 분석

        조현아(Hyeon-ah Jo),공정민(Jeong-min Kong),주재홍(Jae-hong Joo),신윤희(Yoonhee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이하 “CSCL”)에서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을 지원하는 도구를 통해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이 성인 학습자의 팀 협력학습 과정과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1은 성인 학습자의 CSCL에서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을 지원하는 시각화 도구의 특성을 알기 위해, SSRL 설계원리와 3C 등을 활용해 비교 준거를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2는 국내 대학의 대학원생 19명을 대상으로 CSCL 환경에서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을 지원하는 도구를 활용한 문제해결식 학습을 실행하여, 팀 협력학습의 과정 및 결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국내외에서 활용되는 시각화 도구 중 뮤랄(Mural)이 CSCL에서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을 지원하는 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CSCL에서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 지원 도구를 제공받은 실험집단의 경우, 통제집단보다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질이 높은 것 나타났다. 셋째, 협력학습 결과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우수한 산출물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후 분석 결과,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에 대한 실험집단의 인식이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CSCL에서 학습자 간 협력학습 촉진을 위한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의 기능적 역할과 시각화 도구에 대한 학문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안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ly shared regulated learning on the team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and outcomes of adult learners through the tool that supports socially shared regulated learning in the CSCL environments. Methods In study 1, we used design principle of SSRL(Socially-Shared Regulated Learning) and 3C framework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ization tools that support SSRL in the CSCL environments. In addition, In study 2,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ol supporting socially shared regulated learning and the team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and outcomes through 19 graduates students in the CSCL environments. Results First, among the visualization tools, We verified that the Mural was the most useful in supporting socially shared regulated learning.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s that were provided the socially shared regulated learning tool had a qualitativ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Third, the experimental groups derived better learning performance than the control groups. Finally, although it was insignificant, we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ositively perceived the socially shared regulated learn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in the result of the posthoc analysis.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unctional role of socially shared regulated learning and visualization tools to promote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 CSCL environments. We also suggest the research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