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월조사 행장 발굴과 연보 정정

        최동순 한국불교학회 2009 韓國佛敎學 Vol.54 No.-

        Sangwol josa (Sangwol Wongak Daejosa, 1922~1974) is the founder of Guinsa-Temple at Danyang, Chungbuk and the patriarch of reestablished Cheontae order in modern Korea. He was bor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ound the mountains of Samcheok, Gangwondo. Based on the strong religious beliefs prevailed in the Samcheok region, he had organized a religious community within So-Baek Mountain in 1950. From the time on, he has taken care of the poor and alienated people who has been suffered from the Korean War and conflicts between leftists and the rightists. In 1966, Sangwol josa declared Guinsa-Temple body as Korean Buddhist Cheontae order and inherited Cheontae order that had develop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t that time, he had endeavored greatly to establish the Cheontae order as the main religious order and also showed many other outstanding educative power that served as a basis for expanding religious influence. Despite these factors, research on the restored Cheontae order and Sangwol josa has barely been made. This serves as the background for this research and it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issues. First, the achievements of Sangwol josa, who had restored Cheontae order, has not been revealed. The procedure of founding Guinsa-Temple and restoration of Cheontae order has not been yet examined either historically or ideologically. Due to the lack of research, the error in birth year has still not been corrected. Currently, Cheontae order is following the theory that Sangwol josa was born in 1911.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it was difficult to produce any base material for studying the restoration of Cheontae order. Second, there is an identity problem of the restoration of Cheontae order. The oppression of Buddhist Monks through military regime in 1980 is a typical example. After this incident, effort was made to resolve the identity problem, such as, publishing a sūtras and modifying the education system. However, the achievements of Sangwol josa has not been revealed, which has served as problem in religious order studies. Third, chronological history of Sangwol josa is realistically needed. If the erroneous birth year of Sangwol josa would be set in 1911, it would function as an obstacle for the development of Buddhist Cheontae order. Insisting on the error degrades the state of the religious order. Furthermore, these errors will be recorded in educational material for missionary work focused on monks and believers. Media reports and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will just serve as a circulation of falsehood. Even more, academic researches will be based on false informations. As the present paper will show, the year of Sangwol josa’s coming to the world should be 1922, not 1911, as is often cited. We must modify the birth year to the year that can be actually backed up with true evidence. From this study, the birth year of Sangwol josa should be modified from 1911 to 1922 and in accordance with it the chronological record should be settled. Hence, the modification of the birth year in preexisting publications has enabled research for ideology of Sangwol josa, as well as, Cheontae order. Historical inheritance, along with ideological orthodoxy was secured by the connection of the Goryeo Cheontae order, as well as Chinese Cheontae order. Furthermore, it created a good chance for studying the religious culture of Samcheok, where Sangwol josa was born. Especially, the publishment of “White Lotus will blossom everywhere (Sangwol josa’s founding of Guinsa-Temple)” (Dong-soon Choi, 2009) was an innovative event in Cheontae order history. 상월조사(상월원각대조사, 1922∼1974)는 충청북도 단양군 소백산 기슭에 구인사를 창건하고 천태종을 重創하였다. 그는 일제강점기에 강원도 삼척 지방의 산중에서 태어났다. 삼척 지역이 갖는 강렬한 신앙을 기반으로 1950 년 소백산에 수행 교단을 구성했다. 해방과 좌우익의 대립, 6.25전쟁, 냉전시 대를 겪으면서 그는 피폐해진 민중들의 가슴을 보듬었다. 1966년 상월조사는 구인사 교단이 대한불교천태종임을 선언했으며 고려 시대에 발전했던 천태종을 계승하였다. 당시 천태종을 한국의 주류 종단에 편입시키는 등 뛰어난 교화 능력을 바탕으로 교세를 확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창 천태종 및 상월조사에 대한 학술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연구 조사의 배경을 세 가지로 요약한다. 첫째, 상월조사의 행적이 자세히 알려지지 않은 배경이다. 연구 결여로 인 해 상월조사의 출생 및 생애 연도의 오류를 확인하지 못했다. 또한 구인사 창건 과정과 천태종 중창에 대한 역사적 사상적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것이 중창 천태종 연구를 위한 기반 자료를 제작하기 어려웠던 배경이다. 둘째, 중창 천태종의 정체성 문제이다. 1980년 계엄군에 의해 발생한 法 難 때 드러난 것이 대표적 사례이다. 법난 파동 이후 정체성 문제 해결을 위해 宗典 발간과 교육제도의 개선 등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상월조사의 행 적이 밝혀지지 않아 논란이 되었고, 중창 교단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로 이 어지지 못했다. 셋째, 상월조사 생애 연보 제작의 현실적 필요성 때문이다. 오류인 1911 년 탄생설은 대한불교천태종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다. 오류를 고수함으 로서 종단의 위상을 약화시킬 것이다. 더구나 탄생 주기 및 승려 및 신자 교육은 물론 청소년 포교를 위한 교재에도 오류들을 수록하게 될 것이다. 1922년 출생 사실이 밝혀진 이상 탄생 연도를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 본 연구조사에 의하여 상월조사 출생 연도를 1911년에서 1922년으로 수정 하였고, 연보를 확정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출간물의 연도 수정을 통해 상 월조사의 사상은 물론 중창 천태종에 대한 연구 착수가 가능하게 되었다. 더 불어 상월조사를 배출한 삼척 지역의 신앙문화를 연구할 수 있는 좋은 기회 이며, 본 연구조사의 결과물인 『처처에 백련 피우리라(상월조사의 구인사 창 건기)』(최동순 지음)를 발간한 것은 천태종 역사의 획기적인 일이라 하겠다.

      • 프로축구팀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사회문화적 인식

        최동순,이창섭,이종호 충남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06 體育科學硏究誌 Vol.24 No.1

        This study is on sociocultural recognition of regional residents for professional football dub, Daejeon Citizen FC. For this 348 persons were participated in survey. Two Analyses were performed : 1) One-way analysis of varience that investigate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ociocultural recognition among sex, age, school career, income, and social class, participation degree for soccer activities and interest degree for soccer; 2)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at investigates the sociocultural cognitions(regional identity, social interaction, cultural life) of regional residents for Daejeon Citizen FC(existence, game, relevance with residents). The result of above analyses gained following conclusions : 1)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sociocultural recognition among sex, social class, participation degree for soccer activities and interest degree for soccer. 2) Game, relevance between residents and Daejeon Citizen FC contribute to reinforcement of regional identity, social interaction and cultural life of residents; existence of Daejeon Citizen FC do not contribute to them instead.

      • KCI등재
      • KCI등재

        초기 천태교단의 행의(行儀) 고찰

        최동순 한국선학회 2007 한국선학 Vol.16 No.-

        천태대사는 내(內)적 관심뿐만 아니라 외(外)적 의례도 불교 수행의 중요한 부분으로 설정하였고 이는 천태수행 근저에 배태되어 있다. 그는 좌선지관을 통한 관심(觀心)만을 추구하지 않았고, 수행자의 외적 행위인 생활 형태도 중요하게 여겼다. 따라서 좌선 중의 수행뿐만 아니라 행주좌와(行住坐臥)의 생활 중에 일어나는 갖가지 양태들도 수행의 단계로 분류하였다. 그는 여기서 더나아가, 참회법(懺悔法)이나 예불형식 등 특정한 의례도 수행의 중요한 부분에 포함시켰다. 참회법(懺悔法)을 비롯한 각종 불교의 행법들은 불교 수입기라는 특징이 작용하였다. 중국어에 익숙지 않았던 서역승[인도승]들이 보여주는 불교 의식(儀式)은 중국인들에게 색다르게 보였다. 불교의 높은 종교적 철학적 내용들은 당시 왕실이나 귀족 계층에서 수용하였지만, 예불이나 각종 신의(身儀)적 의례, 불명(佛名)에 대한 구칭, 다라니 주송(呪誦) 등의 종교적 의례들은 불교가 민중들에게 보급될 수 있는 중요한 요인들이었다. 의례를 포함한 행도가 강조된 경향은 혜사(지의의 스승)뿐만 아니라 지의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에 교단을 구성한 천태종으로서는 참회법을 비롯한 각종 행의적 양태들을 자연스럽게 수용하였다. 그러한 흔적은 천태삼대부(天台三大部)를 비롯하여 지의 강설 여러 문헌에서 볼 수 있다. 그 가운데 참범 행도는 불교의 중요한 수행방식으로 자리잡았고 여타 다른 행의로 발전하였다. 천태대사의 행법은 수행행위를 규정한 사종삼매(四種三昧)로 분류되고 총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회법을 비롯한 각종 신체적 행의들을 중심으로 재편한 것이다. 이는 내(內)적 지관이 함께 수반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사종삼매에는 내적 수행인 좌선지관과 함께 외적 행도인 예불, 송경, 참회, 다라니 주송, 아미타불을 염불하는 등의 절차들이 개설되어 있다. 지의 입적 이후 국청사(國淸寺) 교단을 이끌어 온 관정(灌頂)은 당시 행해진 의례들을 모아 국청백록 에 수록하였다. 지의가 신체적 형태를 통해 사종삼매의 체계를 세웠고, 관정은 입제법(立制法), 경례법(敬禮法), 보례법(普禮法), 육지사훈(六知事訓) 등 의례와 청규(淸規)들을 정리하였다. ‘국청사 교단’은 지의가 주도했던 ‘수선사 교단’을 계승하고 있으며, 지의 또한 혜사의 ‘대소산교단’의 영향을 받았던 것이다. 이들 교단들은 천태 초기의 교단들이며 당시 남북조 시대의 불교적 편린들을 수용한 것이다. The Great Priest, Chih-i(智顗, 538-597), mentioned that outward practice is also an important part of Buddhist practice not to mention inward interest. His doctrine is the germination of Tien-tai Sect's Idea. He set much value on physical behaviors, that is, ascetics' outward life, besides sitting in Chan(禪) meditation. Thus, he regarded various phenomena shown in process of walking, standing, sitting, and lying in every state, not to mention sitting in Chan meditation. In addition, he regarded specific ceremonies, such as the Way of Ksamayati(懺悔法), worship formalities and otherwise, as a kind of practice. Various practice methods, including the Way of Ksamayati, show the feature in the period of Buddhist introduction. The buddhist ceremonies shown by Indian monks, who was not good at Chinese language, were unusual for Chinese people. High-minded religious and philosophical subjects were accepted by the then royal family or aristocracy, but religious factors such as various body ceremonies(行儀), various buddhist appellations, Dharani(陀羅尼) recitation and otherwise played important roles in diffusing Buddhism throughout the populace. The trend that emphasizes outward practice including ceremonies exercised influence on Chih-i without mentioning Huisi(慧思, the master of Chih-i). As Tien-tai Sect established its religious body in those days, it naturally accepted various practice methods including the Way of Ksamayati. Chih-i's lectures including 'Three Tien-tai Scriptures' support such records. In particular, Chambeom practice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practice of Buddhism and has developed into other practice methods. The practice method of Tien-tai priest was classified into four Samayas that stipulated practice methods, and was synthesized again. In other words, it was recompiled into various physical behaviors. It means that inward insight should be involved. The Four Samaya includes regular formalities such as sitting in Zen meditation, worship, recitation, Ksamayati, Dharani recitation, Amitabha recitation and otherwise. After Chih-i entered Nirvana, Guan-ding(灌頂), who has leaded the Temple Guoqing(國淸寺), arranged buddhist ceremonies performed in those days and compiled 'Guoqingbailu(國淸百錄)' Chih-i established the system of the Four Samaya through physical behaviors, and Guan-ding arranged various ceremonies such as Lizhifa (立制法), Jinglifa(敬禮法), Pulifa(普禮法), admoniton for six mangers and otherwise. The Temple Guoqing has taken over the theory of the Temple Xiuchan(修禪寺), leaded by Chih-i. Likewise, Chih-i was influenced by the religious body of Mt. Daisu(大蘇山). These religious bodies were established in the early stage of Tien-tai, and accepted the various parts of Buddhism in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 KCI등재

        천태종의 관음 칭명 수행 원리- 요세 비명의 ‘當處現前’과 그 배경 탐구 -

        최동순 한국선학회 2013 한국선학 Vol.34 No.-

        원묘 요세의 비석인 중진탑에 새겨졌던 ‘當處現前’이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 이 단어에는 천태사상과 그 실천의 역사적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또한 연구의 중요성이 더해진다. 隋 천태 지의로부터 宋 사명 지례에 이르기까지 형성된 천태사상의 핵심을 高麗 요세는 훌륭하게 수용 하였다. 요세는 僧選에 이어 종문에서 이름을 날렸던 宗匠이었다. 그러나 속세를 버리고 은둔의 길로 돌아섰다 . 지눌의 정혜결사를 도운 경험이 있다. 또한 延壽의 禪淨思想을 연구함은 물론, 지의 『관경소』와 지례 『묘종초』를 열람하였다. 『묘종초』에서 요세는 作是의 원리를 발견하였고 칭명과 관상 염불인 이행도를 기반으로 백련결사를 결성하였다. 『관경』의 ‘入衆生心’과 지의의 ‘解入相應’, 지례의 ‘感應道交’로 이어진 내용을 섭렵했던 요세는 이들 의 의미를 ‘當處現前’으로 완결 짓는다. 이것이 고려 중후기 천태종의 기반이며 조선 초에 이르기까지 그 기조가 이어졌다. 그 행법을 상월 조사가 관음 칭명 수행으로 계승하였다. 현재 대한불교 천태종 전국의 사찰에서 이 수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그 관음 칭명이 宗旨인 一心三觀의 역사적, 교의적 정 통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확신시키고자 한다. The meaning of ‘DangchuHyunjun’ inscribed in the Joonjin-pagoda the memorial stone of Wonmyo Yose appears to be very significant. In this phrase, it is reflected the cheontae thought as well as the historical flow of its practice. In this respe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be added. The priest Yose of Kyoryo well received the core of the Cheontae Thought from cheontaejieui of Sui dynasty to Ssu-ming Chih-li of Song dynasty. He was a famous artisan of the Choentae order in the religious sect followed by his success in the examination in joining as gov’t official. But he renounced the world and secluded himself from society. He was presented at the Junghye Association by the priest Jinul. He not only have studied the Seonjung Thought禪淨思想 of Yǒng míng yán shòu永明延壽 but also read『Gwankyeongso 』of Jieui and 『Myojongcho』of Jire. In the『Myojongcho. Yose invented the principle of Jak.si作․是, and established the Association in White Lotus Temple based on the easy discipline way(易行道) being chanting & meditating Buddhist player. Yose finally completed by ‘DangchuHyunjun當處現前’ after learning all the details of the ‘Buddha enter the living beings mind入衆生心’ by Guān mó liáng shòu sutra and ‘Comprehend-enter and correspond解入相應’ by Jieui, and ‘A feelings and response in crossing感應道交’ by Jirye. This was the basic of Cheontae order in the mid-post of Koryo dynasty, and such trend was succeed until in the early part of Josun dynasty. That Cheontae order was succeed by the Priest Sangwol through the Avalokitesvara bodhi sattva Name calling dicipline. Currently all temples nation-wide under the Korean Cheontae order implement such discipline. Considering the above, it was intended to provide a ground for the verification the three contemplation in one mind一心三觀 being the charter of Avalokitesvara bodhi sattva Name calling discipline that has equipped with historical, religious legitimacy.

      • KCI등재

        쫑카빠의 止觀과 天台止觀의 비교 연구 -『보리도차제약론』과 『천태소지관』을 중심으로-

        최동순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29 No.-

        지관(止觀) 수행을 중심으로 티벳의 쫑카빠와 중국의 천태 지의의 수행법을 비교하였다. 두 인물이 동아시아 불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비록 그들이 활동한 시대와 지역적 기반이 다르지만 교학과 실천에서 뛰어났다는 점과 함께 그 사상과 방법론을 남기고 있다. 또한 그들은 각각 겔룩빠와 천태종이라는 종파를 일으킨 장본인이다. 쫑카빠가 지은『보리도차제약론』은 지관을 중요 수행법으로 채택하고 있다. 지의는 『천태소지관』을 설하여 입문자들에게 가르쳤다. 지관을 중심으로 두 저술을 세 가지로 비교하고 고찰하였다. 첫째, 지관 수행을 위한 환경을 조성과 좌선 실수를 위한 각종 준비, 그리고 실천 방법을 비교하였다. 둘째, 좌선 실수(實修)에 따른 여러 가지 장애들을 상정하고 그 장애들을 제거하는 방법을 비교하였다. 셋째, 『보리도차제약론』과 『소지관』에서 말한 지관 수행이 미도지의 수행임을 밝혔다. 이에 따라 지관의 성취 후 금강승과 원융으로 나아간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인도 불교는 철저하게 차제 중심의 불교였고, 그것을 후기 대승불교가 유입된 티벳불교의 전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대승불교의 수행법이 포함된 다수의 선경류 역시 중국에 전역되었다. 선경류를 바탕으로 일찍 형성된 천태지관이 있었고 차제를 계승하였다. 그러나 『육조단경』에서 보듯이 돈오(頓悟)의 법문이 자리 잡았고 차제 행법과 다르게 중국 선종을 형성하였다. 노장 사상의 영향을 받은 선종은 번쇄한 절차들을 생략하고 무위(無爲)에 안주하려는 경향을 보이며 돈오 수행을 선호한 것으로 보인다. 돈오 수행의 대척점으로서 천태종과 티벳불교의 공통점인 지관이 나타난다. It compared the discipline of Tibet's Tshong kha pa blo bazng grags pa and that of Chi-i in China with reference to samatha vipasyana discipline. The two figures take an enormous influence in Buddhism. Although they lived in a different time and region, both were eminent in theory and practice leaving unique methodologies. They are the ones who created dGe lugs pa and Tian tai zong respectively having a huge influence in the history of Buddhism. Tshong kha pa's 『Lam rim chung ba』employed samatha vipasyana as a crucial discipline while Chi-i taught 『Tian tai xiao zhi guan』. This study compared it into three. First, atmosphere construction for zhi guan practice, preparation for sitting mediation and its practice method are studied. Second, some barriers of sitting mediation practice and its resolving method are compared. Third, it demonstrates that 『Lam rim chung ba』and 『Tian tai xiao zhi guan』are practices of unexplored one. Accordingly, it makes it clear that the achievement of zhi guan lead to Vajrayana and boundlessness. India Buddhism is thoroughly lam rim focused Buddhism, which was confirmed in Tibet Buddhism introduced by later Mahayana. Various Chan sutras including Mahayana were spread out in China. There were Tian tai xiao zhi guan established based on Chan sutras followed by lam rim. However, as shown in 『Liu Zu Tan Jing』, sudden enlightenment took initiatives forming Chan order that is different to Lam rim practice. Chan order influenced by Taoism omitted complicated procedures but intended to stay in letting that prefers sudden enlightenment. The common point of Cheontaejong and Tibet Buddhism was formed to counter sudden enlightenment. A Buddhist practice that developed zhi guan is compared and speculated which is different to sudden enlightenment.

      • 가공순서와 부품수요를 고려한 제조셀 형성 및 효율측정 모델

        최동순,장익,황형수 원광대학교 생산 및 자동화기술연구소 1999 생산.자동화기술연구소논문집 : 원광대 Vol.- No.2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cell formation of maximizing similarities and flows between the machines by a way of inter-cell flow reduction. This method is applied to manufacturing environments (1) considering operation sequences of parts, (2) considering operation sequences and part demands. At first, we form the machine cells that maximize similarities and flows between the machines. Then we assign the parts to machine cells made applying a part-assignment rule which guarantees minimum exceptional elements and maximum wirkload balance among the cells. And also we measure the efficiencies of the formed manufacturing cell at system level and cell level. Two examples in the case of above (1) and (2) confirm our method,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