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심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 형성을 위한 장소특정적 공간 요소에 관한 연구

        채승현,김주연,임선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연구배경 및 목적)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삶의 질과 문화 소비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복합문화공간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복합문화공간의 문화 서비스영역 확대에 따른 공간형태 진화는 장소성의 변화를 의미하며 공간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경향에 장소성 형성의 중요성은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심 복합문화공간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문화 장소를 구축하며 장소성이 뛰어난 공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장소특정적 공간 요소를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복합문화공간의 장소특정적 공간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의 방법을 설정하였다.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장소성 형성요인 및 특성들을 규정하고 복합문화공간의 장소성을 형성하기 위한 특정적 공간 요소를 각 사례에 대입 후 분석하여 사례별로 도출된 장소특정적 공간 요소의 종합 분석을 토대로 향후 효과 및 기대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의 범위는 체계적이고 일관적인 분석의 증명을 위하여 금융기업의 복합문화공간이라는 단일 분야로 지정하였다. (결과) 복합문화공간의 장소특정적 공간 요소를 도출하여 사례에 따라 분석을 평균화한 결과 공간적 전문성이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났으며 영역적 복합성, 맥락적 접근성, 행태 유도적 참여성이 같은 점수로 나타났고 형태적 상징성의 경우 가장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 복합문화공간의 형태적 상징성은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을 구축하는 것이 아닌 기존에 업무 위주로 운영이 되고 있던 공간을 리모델링하여 재구성하는 경우 건축의 독창성과 상징성을 높이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으나 맥락적 접근성을 높여 이용자를 유입하고 공간의 전문성, 영역적 복합성, 행태 유도적 참여성의 유도로 문화 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공간 안에서 폭넓게 제공하고 다양한 조건에 따른 자율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성을 획득할 수 있다. (결론) 장소성 형성요인이 상호작용을 통해 장소의 특정적 요소가 부각되며 구심점 역할이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도시를 표방하는 차별적 요소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도심 복합문화공간에서 장소특정적 요소가 도심 환경을 조성하며 삶의 질을 높이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역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향후 더욱 다양한 분야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세부적이며 실증적인 연구를 도모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Entering the 21st century, as the quality of life and the desire for cultural consumption increased, complex cultural spaces began to emerge. The evolution of space form due to the expansion of cultural service areas in complex cultural spaces means a change in ‘sense of place’ and the importance of forming ‘sense of place’ is drawing more attention to the trend of people's continued demand for spa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cultural place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in urban complex cultural spaces and to identify place-specific space elements to create a space environment with excellent ‘sense of place.’ (Method) The following methods of research were established to identify the location-specific spatial element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formation of ‘sense of place’ are defined and the specific spatial factors for forming ‘sense of place’ of complex cultural space are analyzed after substituting each case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place-specific spatial factors derived on a case-by-case basis, future effects and expectations are presented.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designated as a single area, a complex cultural space for financial firms, for the purpose of proving systematic and consistent analyses. (Results) As a result of eliciting place-specific spatial elements of complex cultural space and averaging analysis according to cases, spatial expertise was shown as the highest score, with the same score as regional complexity, contextual accessibility, and behavioral-induced participation, and the lowest score in the case of formal symbolism. The morphological symbolism of the complex culture space may be limited in enhancing the originality and symbolism of the architecture when remodeling and reconstructing the existing work-oriented space rather than building a new complex cultural space, but by increasing the contextual accessibility, providing a wide range of opportunities to attract users and enjoy the culture and arts through the inducement of spatial expertise, area complex, and behavior-inducing participation, and thus gaining autonomous participation under various conditions. (Conclusions) It can be said that the ‘sense of place’ forming factor can be a pivotal role, with specific elements of the place highlighted through interaction. This can also be seen as an important role in the discriminatory elements that advocate cities in a complex modern society. Finally,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role of place-specific elements in the urban complex cultural space to create an urban environment,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enhance user satisfaction, and aims to promote detailed and empirical research through case studies in more diverse fields in the future.

      • KCI등재

        폐기물 재활용성 향상을 위한 리모델링 철거공사의 시공성 평가 및 사례적용

        채승현,김기현,차희성,김경래,한주연,Chae, Seong-Hyun,Kim, Ki-Hyun,Cha, Hee-Sung,Kim, Kyung-Rai,Han, Ju-Yeo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0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1 No.3

        노후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공사 수행 현황을 살펴보면, 공동주택의 신축공사와는 달리 철거공사라는 새로운 공종이 추가 된다. 이러한 철거공사는 리모델링 공사를 구성하는 다양한 공종 중에서 공사 기간을 좌우하는 주요 공종에 해당하나, 실제 공사수행 방법은 기존의 일반 건축공사 철거형태와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즉, 폐자재의 재활용 등을 통한 자원의 낭비 및 환경파괴 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리모델링 공사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 생산성만을 강조한 기존철거공사의 수행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리모델링 공사의 특성을 반영한 철거공사의 프로세스 정립이 필요하며, 더불어 정립된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단위 작업의 시공성을 평가하여 향후개선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정립한 리모델링 공사의 철거 프로세스 및 단위작업(이하 '신규방식'이라함)과 기존 일반 건축공사의 철거공사 수행 방식(이하 '기존방식'이라함)의 비교를 통한 신규방식의 시공성 측면의 개선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문가 면담을 통한 철거공사의 시공성을 측정할 수 있는 주요요인을 도출한 후, 이를 근간으로 공가(空家)상태인 시영아파트의 두개 동에 신규방식과 기존방식의 비교실험을 통한 시공성의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From now on, the aged apartment or house is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So, we have to build a process of remodeling and develop the new technique. Demolition work is needed for systematic plan and management. However, contractors of the remodeling project established a rough plan and did not consider recycling wastes, safety of workers and structural stability of building. Therefore, we need a step to develop a assessment system, verify and make specified. This paper evaluated how much improve on construction speed, work efficiency, intensity of work and influence with another process comparing the existing method with the new demolition method.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sessment system are developed with these output. The case study was carried out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ased on developed assessment system, which have the same condition. The existing method was made up of 3 steps- 1)Demolish windows, doors and iron goods, 2)Demolish indoor and outdoor walls, 3)Drop the waste. The new demolition method was made up of 5 steps- 1)Demolish windows, doors and iron goods, 2)Demolish the ceiling and wall's finishing materials, 3)Demolish the floor's finishing materials, 4)Demolish indoor and outdoor walls, 5)Drop the waste. Work time, idle time, the character of a work unit are analyzed by mock-up test. This study's output is expected to establish a systematic process of new demolition method and based on the maximizing waste recycling work in our construction industry.

      • KCI등재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수행을 위한 사전검토 모델 개발

        채승현,김경래,신동우,차희성,Chae, Seong-Hyun,Kim, Kyung-Rai,Shin, Dong-Woo,Cha, Hee-Su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3 No.1

        향후 노후 공동주택의 증가에 따른 철거시장의 급격한 성장에 대비하여, 폐기물의 재활용 등을 통한 자원의 낭비 및 환경 파괴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실제 실무자가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를 적용하기에는 해당현장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해 많은 변수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또한,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의 수행을 위해 어떠한 부분에서 효율적인지에 대한 파악과 어떤 부분을 보완해야하는지에 대한 사전검토 기준이 없어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수행의 확대에 방해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사업초기단계에서 발주자와 건설회사 실무자에게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의 수행을 위한 사전검토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해당 프로젝트에 필요한 보완사항,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수행시의 효율성과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의 수행을 위한 사전검토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철거공사와 대비하여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의 수행에 영향을 주는 8가지 항목들을 도출한 후, 각 항목별로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보완가능여부에 따라 평가항목들을 분류하여 평가함으로써 친환경 리모델링 수행을 위한 문제점 및 보완사항을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최종평가시트를 통하여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수행의 적절성여부 판단 및 보완사항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것들을 포함하는 사전검토 모델을 통해 체계적인 철거공사 계획의 수립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수행의 확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Due to the increase of aged housing demolition in preparation for the rapid growth of the market, Eco-friendly remodeling demolition work which can minimize environmental destruction have been studied. However, the owner or contractor to apply for eco-friendly remodeling demolition work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can not have a potential for many variables. In addition, There is no standard which can find effective part and catch a problem by performing eco-friendly remodeling demolition. Therefore, the project owner and construction company executives in the Pre-construction stage to the implementation of eco-friendly remodeling demolition construction by providing a model for the pre-evaluating the project.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of eco-friendly remodeling of demolitions is proposed for the pre-evaluating model. After the eight items were drawn affecting the performances which are influence to accomplishment of the eco-friendly remodeling demolition, evaluation criteria was suggested for each item. Also By classifying and assessing the evaluation items, It will be able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supplements for eco-friendly remodeling demolition. Through the final evaluation sheet, The works of the appropriacy and supplement will be checked for the eco-friendly remodeling demolition. Finally The preinvestigation model is helpful for making the plan of systematic demolition, futhermore It is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eco-friendly remodeling demolition.

      • KCI우수등재

        심층 신경망의 효과적인 정형 검증을 위한 계층별 요약 기법

        연주은,채승현,배경민 한국정보과학회 2022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9 No.11

        Deep learning has performed well in many areas. However, deep learning is vulnerable to errors such as adversarial examples. Therefore, much research exists on ensuring the safety and robustness of deep neural networks. Since deep neural networks are large in scale and the activation functions are non-linear, linear approximation methods for such activation functions are proposed and widely used for verifi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technique, called layered abstraction, for non-linear activation functions, such as ReLU and Tanh, and the verification algorithm based on that. We have implemented our method by extending the existing SMT-based methods. The experimental evaluation showed that our tool performs better than an existing tool. 딥 러닝은 다양한 분야에서 좋은 성과를 내고 있지만 그 결과 값이 어떻게 도출되었는지 알 수 없어서 적대적 예제와 같은 오류에 취약하다. 따라서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의 안전성과 강건성을 보장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심층 신경망은 규모가 크고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들이 비선형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검증 시 활성화 함수를 선형으로 근사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ReLU, Tanh 등의 활성화 함수에 대해 새로운 근사 방법인 계층별 요약(layered abstraction) 및 이에 기반한 검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알고리즘의 구현을 위해 기존의 SMT (Satisfiability Modulo Theories) 기반 방식을 확장하였으며 기존 도구보다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