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측 대퇴골 전자하 내측에 발생한 부전 골절: 증례 보고

        채동식 ( Dong Sik Chae ),이정한 ( Jung Han Lee ),이우석 ( Woo Suk Lee ),양익환 ( Ick Hwan Yang ),한창동 ( Chang Dong Han ) 대한고관절학회 2013 Hip and Pelvis Vol.25 No.3

        외상력없이 발생한 불완전 부전 골절은 흔히 대퇴골 피질부의 외측에서 발견되는 반면 불완전 피로 골절은 내측에서 관찰되는데, 저자들은 외상력이나 약물 복용의 과거력없이 발생한 두 달간의 양측 대퇴부 내측부 통증으로 내원한 66세 여환으로 대퇴골 피질부의 내측을 침범하는 양측 전자하 부전 골절을 보고하는 바이다. A non-traumatic, incomplete insufficiency fracture commonly involves the lateral side of the femoral cortex; whereas a non-traumatic, incomplete stress fracture commonly involves the medial side of the femoral cortex. Here, we describe a case of a 66-year-old woman with a two-month history of bilateral thigh pain without trauma or medication usage who was diagnosed with bilateral subtrochanteric insufficiency fractures involving the medial side of the femoral cortex.

      • SCOPUSKCI등재

        A Simplified Phenomenological Theory of Viscosity for Liquid Metals

        김원수,채동식,Kim, Won Su,Chae, Dong Sik Korean Chemical Society 2001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22 No.1

        This study simplifies the phenomenological theory of viscosity previously proposed by the present authors. This simplified theory has only two thermodynamic properties and one parameter, as opposed to its predecessor, which has many, allowing for easy calculation of the liquid viscosities. The viscosity of liquid metals, an excellent test for checking the validity of the liquid theory, can be calculated using the equation based on the simplified theory. The calculated results by the current theory turn out to be good for the liquid metals, including sodium, potassium, rubbidium, cesium, lead and mercury.

      • KCI등재

        반월연골판의 퇴행성 변화 정도에 대한 자기 공명 영상과 조직학적 및 생화학적 소견의 비교

        정환용(Whan Yong Chung),성승용(Seung Yong Sung),채동식(Dong-Sik Cha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1

        목적: 자기 공명 영상에서 반월연골판의 퇴행성 변화 정도가 조직학적 및 생화학적 변화와 상관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전치환 수술 환자와 사체의 반월연골판을 대상으로,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반월연골판의 퇴행성 정도를 평가하고 조직학적 및 생화학적 변화 정도를 확인하고 두 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대조군의 반월연골판은 자기 공명 영상 및 조직학적 소견상 0단계로 확인되었으며 생화학적 검사상 대상들 간의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의 반원연골판은 자기 공명 영상에서 퇴행성 변화가 증가할수록 수분과 단백 다당이 증가하였고, 반면에 교원질은 감소하였다. 모든 군에서 자기 공명 영상에서 0단계를 보이는 반원연골판의 조직학적 소견은 유사하게 관찰되었으나 생화학적 특성은 차이가 있었다. 자기 공명 영상상 I, II단계의 퇴행성 변화는 조직학적 소견과 일치하지 않았다. 결론: 자기 공명 영상에서 관찰되는 반월연골판의 퇴행성 변화의 정도는 조직학적 소견과 일치하지 않았다. 이는 수분의 양 때문으로 생각되며 자기 공명 영상상 퇴행성 외측 반월연골판의 고강도 신호의 원인으로는 교원질의 감소와 단백당의 증가로 예상된다. 그래서 자기 공명 영상에서 관찰되는 퇴행성 반월연골판으로 조직학적 퇴행 정도를 판단할 때에는 주의를 요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degeneration severities of meniscus assessed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ould well estimate those assessed using histological and biochemical examinations. Materials and Methods: Seven lateral menisci from knees with osteoarthritis undergoing total knee arthroplasty (study group) and five from normal controls (control group) were examined for this study. Degeneration severities of the menisci were graded using MRI, histologic and biochemical examinations of the menisci were then performed. Comparative analyses of MRI grading and results of histological/biochemical examinations of the menisci were performed in each group. In addition, comparative analyses of histological/biochemical conditions were performed between specimens of the study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ing grade 0 on MRI. Results: All specimens from the control group showed grade 0 on MRI and their histology was also grade 0. In addi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iochemical results were observed among the specimens of the control group. In the lateral meniscus from the study group showing degeneration on MRI it was found that the water and proteoglycan conte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grade of degeneration whereas the collagen content decreased. The meniscus specimens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study group showing grade 0 on MRI had similar histologic findings but had different biochemical properties. The grade I, II degenerations on MRI were not well matched with the histologic findings in the study group. Conclusion: Severities of meniscus degeneration on MRI did not well reflect the histologic findings of the meniscus. This finding may be due to the water content of the meniscus. The factors of the high signal intensity of the degenerated lateral meniscus on MRI may be due to the decreased component of collagen and increased proteoglycan. Our findings suggested that caution should be taken when the severities of meniscus degeneration on MRI are attributed to histologic severities of degenerated meniscus.

      • KCI등재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서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과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이용한 압박 고 나사의 비교

        노재영 ( Jae Young Rho ),김상범 ( Sang Bum Kim ),허윤무 ( Youn Moo Heo ),조성진 ( Seong Jin Cho ),채동식 ( Dong Sik Chae ),이우석 ( Woo Suk Lee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2

        목적: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과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병용한 압박 고 나사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로 수술 후 1년 이상 추시되었던 환자 중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으로 치료한 28예 (1군)와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병용한 압박 고 나사로 치료한 38예 (2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양 군에서 수술시간, 출혈량, 골유합 기간, 대퇴 경간각의 변화, 골절부 활강, 합병증, 수술 후 통증 및 사회 기능 지수 등을 평가하였다. 결과: 1군에서 수술시간과 출혈량은 2군에 비해 적었으나 (p<0.05), 골유합 기간, 대퇴 경간각의 변화, 골절부 활강, 수술 후 통증점수와 기능 지수는 양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p>0.05). 수술 후 합병증은 1군에서 불유합과 동반된 나선형 날의 골두 천공이 2예 있었으며, 2군에서는 불유합과 동반된 압박 고 나사의 골두 천공 1예,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의 파손 1예, 금속판 나사못의 이완 1예가 있었다. 결론: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은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병용한 압박 고 나사에 비해 임상적 결과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덜 침습적인 방법으로 노인환자에서 더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To analyze and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treatments i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with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PFNA) and compression hip screw with trochanter stabilizing plate (CHS with TSP).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sults of 66 cases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treated with PFNA (Group I) and CHS with TSP (Group II) which could be followed up for minimum a year. We evaluated several comparative factors such as operation time, blood loss, time to bone union, changes in neck-shaft angle, sliding of screw (or blade), complications, postoperative pain, social-function score of Jensen, and mobility score of Parker and Palmer. Results: Group I showed shorter operation time and less blood loss with significance than group II (p<0.05),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mean time to bone union, changes in neck-shaft angle, sliding of screw (or blade), complications, postoperative pain, and social-function score of Jensen (p>0.05). Two cases of cutting out of the blade through the femoral head were found in group I. One case of cutting out of the screw, one case of the breakage of the plate, and loosening of the plate were found in group II as complications. Conclusion: We think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FNA and CHS with TSP in view point of radiologic and clinical outcomes i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but PFNA is less invasive device than CHS with TSP, therefore it may be useful device in elderly patients.

      • KCI등재

        기계적 축에 수직으로 재구성된 삼차원 단층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측정한 대퇴 경부 전염각의 측정

        김광균 ( Kwang Kyoun Kim ),노재영 ( Jae Young Roh ),김상범 ( Sang Bum Kim ),이우석 ( Woo Suk Lee ),원예연 ( Ye Yeon Won ),채동식 ( Dong Sik Chae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1

        Purpose: We wanted to measure the femoral neck anteversion (FNA) angles using a 3D CT scan that perpendicularly cut the mechanical axis of the femur and to assess the accuracy and reproducibility of different measuring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We obtained 95 cases of 3D CT images of the cross-section perpendicular to the mechanical axis of the femur. The methods used to measure the FNA angles included a method using the CT image of the area where the femoral neck is confluent to the greater trochanter (method 1), a method using the CT image taken from the neck base immediately prior to the beginning of the area of the lesser trochanter (method 2) and a method by which measurements are made after putting 3D bone models on a horizontal plane in virtual space (method 3). The reference axes of the distal femur we used were the anatomical transepicondylar axis, the surgical transepicondylar axis and the real posterior condylar axis. Results: The FNA angles measured by method 1 were 4.79±6.41˚ to the anatomical transepicondylar axis (ATEA), 6.09±6.58˚to the surgical transepicondylar axis (STEA) and 7.96±6.81˚to the real posterior condylar axis (rPCA). The FNA angles measured by method 2 were 16.01±8.31˚to the ATEA, 19.52±8.38˚to the STEA and 21.79± 8.52˚to the rPCA. The FNA angles measured by method 3 were 20.15±12.89˚to the rPCA. Conclusion: The measurement of the FNA angle using a 3D CT scan perpendicular to the mechanical axis is reproducible. The measurement method on the neck base level is more reliable than the one on the proximal neck confluence, and more similar to the measurement method by classic definition.

      • KCI등재

        대퇴골의 기계적 축을 이용한 원위 대퇴부의 회전 정렬

        김광균(Kwang Kyoun Kim),이우석(Woo Suk Lee),허윤무(Youn Moo Heo),이진웅(Jin Woong Yi),이정범(Jung Bum Lee),채동식(Dong Sik Cha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6

        목적: 기계적 축에 수직으로 촬영한 단층 촬영 영상에서 원위 대퇴부의 회전 축들의 관계를 조사,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기계적 축에 수직으로 촬영된 삼차원 단층 촬영 영상 50예를 대상으로 원위 대퇴부의 해부학적 상과간 축, 수술적 상과간축, 전후방 축, 실제 후과간 축간의 관계와삼차원 재조합 대퇴골 영상에서 해부학적 상과간 축, 전후방 축, 실제 후과간 축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단층 촬영 영상에서 실제 후과간 축에 대해 해부학적 상과간 축, 수술적 상과간 축, 전후방 축이 이루는 각은 6.34±1.23°, 2.43±1.56°, 96.52±1.77°였다. 해부학적 상과간 축에 대한 전후방 축 및 수술적 상과간 축이 이루는 각은 90.19±1.61°, 3.91±0.90°였다. 삼차원 재조합 모델에서 실제 후관간 축에 대해 해부학적 상과간 축 및 전후방 축이 이루는 각은 6.29±1.86°, 93.33±3.76°였다. 해부학적 상과간 축에 대한 전후방 축이 이루는 각은 87.04±4.11°였다. 결론: 기계적 축에 수직으로 촬영한 단층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원위 대퇴부의 회전 축을 측정하는 방법은 제한성이 있는 방법이며, 특히 해부학적 상과간 축을 이용한 측정방법이 전후방 축에 비해 정확한 측정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measure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rotational axes of the distal femoral region by means of 3-dimensional (3D) computed tomographic (CT) images taken perpendicularly to the mechanical axis and a 3D rendering program. Materials and Methods: Fifty cases involving the lower extremit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hich used 3D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ms. CT images of the perpendicular cross-sections to the mechanical axis of the femur were obtained by processing 3D recombinant images using Aquaris NET<SUP>®</SUP>. The following anatomical angles were obtained from axial imaging using the 3D reconstructed bone model: transepicondylar axis, surgical transepicondylar axis, anteroposterior axis, and real posterior condylar axis. Results: In the tomographic images, the angles to the real posterior condylar axis formed by the anatomical femoral transepicondylar axis, the anatomical femoral transepicondylar axis, and the anteroposterior axis were 6.34± 1.23°, 2.43± 1.56°, and 96.52±1.77°, respectively. The angles to the anatomical femoral transepicondylar axis formed by the anteroposterior axis and the surgical femoral transepicondylar axis were 90.19±1.61° and 391±0.90°, respectively. In the recombinant 3D femur model. the angles to the real posterior condylar axis formed by the anatomical femoral transepicondylar axis and the anteroposterior axis were 6.29±1.86°, and 93.33±3.76°, respectively. And, the angle for anteroposterior axis from anatomical transepicondylar axis was 87.04±4.11°. Conclusion: The method of measuring the rotational axes of the distal femur using the CT image taken perpendicularly to the mechanical axis is considered reproducible. In particular, th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anatomical transepicondylar axis is more accurate than that using the anteroposterior axis.

      • KCI등재

        수근관 감압술 후 수부력의 변화 및 이에 관련된 인자

        허윤무(Youn Moo Heo),노재영(Jae Young Roh),김상범(Sang Bum Kim),이진웅(Jin Woong Yi),김광균(Kwang Kyoun Kim),이정범(Jung Bum Lee),채동식(Dong Sik Cha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2

        목적 : 수근관 감압술을 시행한 수근관 증후군 환자의 수부력의 회복 경과와 이와 관련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8년 1월에서 2009년 1월까지 수근관 증후군으로 수근관 감압술을 시행한 31명, 5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후에 악력 및 파지력을 측정하였고, 임상 소견과 수부력 회복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결과 : 전례에서 수술 후 수부력이 증가했다. 악력은 수숱 전 14.8 ㎏ 에서 수술 6주에 13 ㎏, 3개월에 16.2 ㎏, 6개월에 18.7 ㎏, 12개월에 20.6 ㎏, 지첨 집기력은 수술 전 3.4 ㎏에서 3.9 ㎏, 4.8 ㎏, 4.4 ㎏, 4.7 ㎏, 열쇠 집기력은 수술 전 5 ㎏에서 5.3 ㎏, 5.9 ㎏, 6.5 ㎏, 6.7 ㎏로 회복되었다. 악력은 질병의 이환 기간이 길수록, 당뇨가 있는 경우, 야간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회복이 덜 되었다. 지첨 집기력은 12개월 추시에서 유의한 인자는 없었으며, 열쇠 집기력은 질병 이환 기간이 길수록 회복이 덜 되었다. 결론 : 수근과 감압술 후 악력은 3개월에, 파지력은 6주에 수술 전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으며, 12개월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그리고, 질병의 이환 기간, 당뇨, 야간 통증의 유무가 수술 후 수부력 회복의 판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Our goal was to investigate an improvement in hand strength and its associated factors after carpal tunnel decompression in patients with carpal tunnel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January 2008 and January 2009, a total of 31 patients (50 hands) treated with carpal tunnel decompression for carpal tunnel syndrome were enrolled into the study. Hand-strength was assessed pre- and post -surgery. In the pre-operation evaluation, we assessed multiple factors and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recovery of hand strength. Results : All patients regained hand strength after surgery. On average, the grip strength was 14.8 ㎏ preoperatively, 13.0 ㎏ at 6 weeks, 16.2 ㎏ at 3 months, 18.7 ㎏ at 6 months, and 20.6 ㎏ at 1 year postoperatively. The tip-pinch strength was 3.4 ㎏ preoperatively and improved to 3.9 ㎏ at 6 weeks, 4.0 ㎏ at 3 months, 4.4 ㎏ at 6 months and 4.7 ㎏ at 1 year postoperatively. The key-pinch strength showed same pattern of improvement. The recovery of grip strength was significantly slower in patients with longer duration of carpal tunnel syndrome, with diabetes, or with nocturnal pain. There was no factor affecting the recovery of tip-pinch strength. Recovery of key-pinch strength was slower in patients that had experienced a longer duration of symptoms. Conclusion : Grip strength and pinch strength were recovered within 3 months and 6 weeks, respectively, after carpal tunnel decompression; both improved gradually until 12 months after surgery. Disease duration, diabetes, and nocturnal pain were significant factors that impacted on post-surgery recov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