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슬관절 후방십자인대에 발생한 건막 거대세포종 - 2예 보고 -

        정환용,김용찬,조성권,Chung Whan-Yong,Kim Yong-Chan,Jo Sung-Kwun 대한관절경학회 200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7 No.1

        건막 거대세포종은 관절내에 드물게 발생하는 병변으로 이를 보고하는 문헌도 제한되어 있으며 특히 후방십자인 대에 발생한 거대세포종의 국내 보고는 없었다. 저자들은 슬관절 후방십자인대에 발생한 거대세포종 2례를 관절경하에서 절제 후 병리학적으로 확진 하였으며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기에 문헌고찰과 항께 보고하고자 한다. Localized form of tenosynovial giant cell tumor rarely affects the knee joint, only a few cases can be found in the literatures and there is no case report of the giant cell tumor arising from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 Korea. We experienced two cases of giant cell tumor arising from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they were excised arthroscopically and pathologically confirmed. So we report these cases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슬개대퇴 통증 증후군을 초래한 양측성 건활막 거대세포종

        정환용(Whan-Yong Chung),신성철(Sung-Chul Shin),이상엽(Sang-Yeop Yi),성승용(Seung-Yong S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6

        건활막 거대세포종은 관절 내에 드물게 발생하는 병변으로 양측 슬관절 내에 발생하는 경우는 국소형보다는 미만형에서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양측 슬관절 내에 발생한 국소형 건막 거대세포종을 보고하는 문헌은 제한되어 있으며 특히 슬개대퇴간 동통을 초래한 양측에 발생한 국소형 건활막 거대세포종의 국내 보고는 없었다. 저자들은 양측 슬관절 전방부의 동통을 초래한 건활막 거대세포종 증례를 관절경하에서 절제 후 병리학적으로 확진 하였으며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A localized tenosynovial giant cell tumor rarely affects the bilateral knee joint compared to the diffuse form. Only a few cases can be found in the literature, and there is no case report of the bilateral localized form of giant cell tumor causing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in Korea. This study experienced a case of bilateral localized giant cell tumor, causing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The tumor was excised arthroscopically and confirmed pathologically. This paper reports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 KCI등재

        슬관절 후방십자인대에 발생한 동통성 석회침착

        정환용(Whan-Yong Chung),박상준(Sang Jun Park),성승용(Seung-Yong S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2

        석회화 건염을 포함한 석회침착성 질환은 슬관절 내에는 드물게 발생하는 병변으로 이를 보고하는 문헌도 제한되어 있으며 특히 후방십자인대에 발생한 동통성 석회침착의 국내 보고는 없었다. 저자들은 슬관절 후방십자인대에 발생한 동통성 석회침착을 관절경하에서 절제 후 병리학적으로 확진하였으며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Calcium deposition disease, including calcific tendinitis, rarely affects the knee joint. Only a few cases can be found in the literatures and there is no case report of symptomatic calcific deposition arising from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 Korea. The authors encountered a case of symptomatic calcific deposition arising from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which was excised arthroscopically and confirmed pathologically. This paper reports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 KCI등재

        반월연골판의 퇴행성 변화 정도에 대한 자기 공명 영상과 조직학적 및 생화학적 소견의 비교

        정환용(Whan Yong Chung),성승용(Seung Yong Sung),채동식(Dong-Sik Cha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1

        목적: 자기 공명 영상에서 반월연골판의 퇴행성 변화 정도가 조직학적 및 생화학적 변화와 상관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전치환 수술 환자와 사체의 반월연골판을 대상으로,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반월연골판의 퇴행성 정도를 평가하고 조직학적 및 생화학적 변화 정도를 확인하고 두 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대조군의 반월연골판은 자기 공명 영상 및 조직학적 소견상 0단계로 확인되었으며 생화학적 검사상 대상들 간의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의 반원연골판은 자기 공명 영상에서 퇴행성 변화가 증가할수록 수분과 단백 다당이 증가하였고, 반면에 교원질은 감소하였다. 모든 군에서 자기 공명 영상에서 0단계를 보이는 반원연골판의 조직학적 소견은 유사하게 관찰되었으나 생화학적 특성은 차이가 있었다. 자기 공명 영상상 I, II단계의 퇴행성 변화는 조직학적 소견과 일치하지 않았다. 결론: 자기 공명 영상에서 관찰되는 반월연골판의 퇴행성 변화의 정도는 조직학적 소견과 일치하지 않았다. 이는 수분의 양 때문으로 생각되며 자기 공명 영상상 퇴행성 외측 반월연골판의 고강도 신호의 원인으로는 교원질의 감소와 단백당의 증가로 예상된다. 그래서 자기 공명 영상에서 관찰되는 퇴행성 반월연골판으로 조직학적 퇴행 정도를 판단할 때에는 주의를 요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degeneration severities of meniscus assessed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ould well estimate those assessed using histological and biochemical examinations. Materials and Methods: Seven lateral menisci from knees with osteoarthritis undergoing total knee arthroplasty (study group) and five from normal controls (control group) were examined for this study. Degeneration severities of the menisci were graded using MRI, histologic and biochemical examinations of the menisci were then performed. Comparative analyses of MRI grading and results of histological/biochemical examinations of the menisci were performed in each group. In addition, comparative analyses of histological/biochemical conditions were performed between specimens of the study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ing grade 0 on MRI. Results: All specimens from the control group showed grade 0 on MRI and their histology was also grade 0. In addi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iochemical results were observed among the specimens of the control group. In the lateral meniscus from the study group showing degeneration on MRI it was found that the water and proteoglycan conte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grade of degeneration whereas the collagen content decreased. The meniscus specimens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study group showing grade 0 on MRI had similar histologic findings but had different biochemical properties. The grade I, II degenerations on MRI were not well matched with the histologic findings in the study group. Conclusion: Severities of meniscus degeneration on MRI did not well reflect the histologic findings of the meniscus. This finding may be due to the water content of the meniscus. The factors of the high signal intensity of the degenerated lateral meniscus on MRI may be due to the decreased component of collagen and increased proteoglycan. Our findings suggested that caution should be taken when the severities of meniscus degeneration on MRI are attributed to histologic severities of degenerated meniscus.

      • KCI등재

        파열된 전방십자인대의 자연치유

        정환용(Whan-Yong Chung),천경아(Kyung-Ah Chun),정수일(Su-Il Jung),성승용(Seung-Yong S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3

        조직학적 및 임상적 연구에 의하면, 파열된 전방십자인대는 자체의 일차적 치유 능력이 매우 불량하여 자연 치유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8년 Kurosaka 등이 최초로 보존적 치료 후 자연 치유된 전방십자인대의 증례를 발표한 바 있으며 이후 몇 예의 증례 보고 문헌만이 있다. 파열된 전방십자인대를 비침습적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여 자연 치유 혹은 양호한 임상 결과를 보고한 문헌은 발표된 바 있으나 이는 추시 자기공명영상 혹은 임상 점수를 통해 확인한 문헌이 대부분이었다. 저자들은 자기공명영상 및 관절경으로 확인된 자연 치유된 전방 십자 파열의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The primary healing potential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has been reported to be extremely poor in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Most authors believe that the ACL does not heal spontaneously after rupture. In 1998, Kurosaka et al. reported two cases of a spontaneously healed torn ACL after non-surgical treatment; only a few cases have been reported. There are some reports of the spontaneously healed ACL or good clinical results after an ACL rupture in a conservative treatment group, but most studies were done by follow-up MRI or the clinical scores. This study experienced a case of spontaneous healing of a ruptured ACL confirm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arthroscopy. This paper reports a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후보
      • 소아 경골 극 골절의 불유합 - 2예 보고 -

        허윤무,정환용,김상범,김성훈,류승렬,Hur, Yoon-Moo,Chung, Whan-Yong,Kim, Sang-Bum,Kim, Sung-Hun,Rhu, Seung-Reol 대한관절경학회 2006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0 No.2

        The general consensus is that tibial eminence fractures have an excellent prognosis. But symptomatic nonunions requiring reduction and grafting have been reported. This report presents two cases of nonunion after tibial eminence fracture in eight years old boys which were treated with arthroscopy-guided reattachment and internal fixation and obtained good outcome. 소아에 있어서 경골 극 골절은 좋은 예후를 보인다. 하지만 드물게 증상이 있는 불유합이 발생하며, 골절의 정복과 골이식으로 치료한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8세 소아의 경골 극 골절 Mckeever 제 2형을 장하지 석고 고정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를 하였으나, 불유합된 2 례를 관절경하 정복술 및 내고정술로 치료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제5 중족골 기저부 견열 골절의 수술적 치료

        김용찬,정환용,조성진,김용상,조성권,Kim, Yong-Chan,Chung, Whan-Yong,Cho, Seong-Jin,Kim, Yong-Sang,Jo, Sung-Kwu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4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8 No.1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the operative treatment in the avulsion fracture on the base of the fifth metatarsal.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retrospectively, 11 patients of avulsion fracture on the base of the fifth metatarsal operated and followed over 1 year, from February 2000 to May 2002. There were eight men and three women and the average age was 39 years old.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14 months. Ten cases were slip-down and one case was fall from a height injuries. We used the modified Foot Score by Wiener for the clinical evaluation, and analyzed the time of union and state of reduction radiologically. Results: In clinical results, we had ten excellent and one good cases by the modified Foot Score at last follow-up. In radiologic results, the complete bony union was achieved in all cases and the duration of the bony union was 37 days in average. Conclusion: We had good result for the avulsion fractures on the base of the fifth metatarsal treated by the operation. This study shows the operation was recommended for the moderate and severe displacement of the avulsion fractures on the base of the fifth metatarsal.

      • KCI등재

        청소년 체조 선수에서 발생한 종골 골단의 견열 골절

        허윤무 ( Youn Moo Heo ),정환용 ( Whan Young Chung ),김상범 ( Sang Bum Kim ),박철용 ( Cheol Yong Park ),이진웅 ( Jin Woong Yi ) 대한골절학회 2009 대한골절학회지 Vol.22 No.4

        The avulsion fracture of calcaneal apophysis by Achilles tendon in children is quite rare. It may occur with the injury of the apophysis on the calcaneal tuberosity in the children below the age of 12 to 15 before the union of the apophysis. The authors surgically treated a 14-year-old gymnast with the avulsion fracture of the calcaneal tuberosity who injured at the landing of the floor exercise. Radiographs at the fourteen months of follow-up showed slight irregularity of the calcaneal tuberosity but there were no pain or limitation of activity. We report a case with the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소아의 아급성 골단 골수염

        김우식(Woo-Sik Kim),정환용(Whan-Yong Chung),이우석(Woo-Suk Lee),김규태(Kyu-Tae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4

        아급성 골수염은 전신증상이나 심한 국소통증 및 종창 등의 급성 염증소견 없이 서서히 발병하여 수주일 이상 지속되는 골감염증으로, 신체검사 및 임상검사상 염증의 특성이 뚜렷하지 않고 방사선학적 소견이 다양하여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아급성 골수염은 일차성 골수염의 약 35%를 차지하고 대부분은 골간단부에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골단에 발생한 아급성 골수염은 매우 드물며 국내 보고는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대퇴골 원위부 골단에 발생한 아급성 골수염을 보존적으로 치료하여 우수한 결과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Primary subacute osteomyelitis is an infection of the bone that continues for several weeks without any acute infectious manifestations such as fever, local pain and swelling. A diagnosis is often delayed because of the slow onset, the subtle radiological changes and the absence of infectious clinical and laboratory manifestations. Primary subacute osteomyelitis in 35% of primary osteomyelitis cases, almost developed in the metaphysis, but there is no report of subacute epiphyseal osteomyelitis in Korea. We report a case of primary subacute epiphyseal osteomyelitis in the distal femur which was treated conservatively with a satisfactory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