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인과매개모형을 적용한 학자금 지원 정책의 효과 분석

        차성현(Cha, Sung-Hyun),민병철(Min, Byeongcheol),김정은(Kim, Jeong Eu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3

        연구는 국가장학금을 포함한 장학금 지원 정책이 대학생들의 학비 부담을 완화시킴으로써 학업 성취나 대학 적응 등의 대학교육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자료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7~9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학생배경에 따른 선택편의 및 이전년도의 장학금 수혜 여부를 고려한 인과매개모형(causal mediation effect model)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장학금 도입 직후에는 장학금 수혜 여부에 따른 학점과 대학적응 효과가 크게 나타난 반면, 국가장학금의 지원 대상과 지원액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한계 효과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장학금 수혜액, 장학금의 등록금 충당률이 학점과 대학적응에 미치는 효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연구는 국가장학금 등 학자금 지원 정책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장학금 지급 기준 소득 분위를 낮추고, 1인당 지급 기준액을 늘리는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financial aid policy including Korean national grants on college education outcomes such as GPA and adjustment to college. In doing so, the study utilized data of the 7th~9th year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nd applied a causal mediation effect model for statistical analyses. Findings showed that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financial aid policy on GPA and college adjustment were considerable in 2012, shortly after the national grant policy was introduced. However, the effect size gradually decreased as both scope of students eligible for national grants and the total amount of nation grants were expanded. Similar results showed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mount of national grants that students received, the proportion of the financial aid money to the total tuition, and college education outcomes: The marginal effect of the financial aid was diminished as time went b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scope of eligible students should be narrow and the amount of grants per student should be increas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student’s financial aid policy.

      • KCI등재

        교육 및 기술 불일치가 임금, 직무 만족,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차성현(Cha, Sung-Hyun),주휘정(Chu, Hui-jung) 韓國敎育財政經濟學會 2010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9 No.3

        본 연구는 2년제 이상의 대학 졸업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에 대한 교육 및 기술 불일치가 임금, 직무 만족, 그리고 이직 의도 등의 노동시장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고용정보원의 2007 대졸자 직업이동경로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교육 불일치 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기 술 불일치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 불일치의 노동시장 결과에 대한 영향력에 대해 기술 불일치가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 째, 4년제 대학졸업자는 2년제 대학졸업자에 비해 약 19% 정도의 임금프리 미엄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임금, 직무 만족에 대해 과잉교육과 과잉기술은 모두 부적인 영향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 의도에 대해서는 임금, 직무 만족, 노동시장 변수에 관계없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 불일치 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과잉교육 이 임금, 직무 만족, 이직 의도에 대해 미치는 영향력은 모두 감소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임금, 직무 만족, 이직 의도에 대한 과잉교육의 영향력이 일정 부분 과잉기술에 의해 설명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신규 대졸자 의 교육과 직무의 일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대학교육과 신규 대졸자를 위 한 노동시장의 유연화 방안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new college graduates' job match on labor market outcomes. Analyzing 2007 Graduate Occupation Mobility Survey I (GOMS1) data, we kept focus on skill match, which scholars interested in education and job match have paid little attention and we investigated how much skill mismatch would explain the impact of education on labor market outcomes.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ed as followings; first, four year college graduates earned 19% more than two year ones did. The years of education in college engendered a sizable wage gap which give explanation for current zeal for transfer from two to four year university in Korea; second, both overeducation and overskill had negative effect on wage,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but the less educated and skilled graduates did not reveal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and; third, controlling for skill match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education and overskill, it was found that overskill explained the effect of overeducation on wage,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up to 31.76%, 26%, 44.8% respectively.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discussed job education in college, matching college education with social and economic needs, flexibility in labor market for new college graduates.

      • KCI등재
      • 저비용 실시간 VGA 비디오 영상 무선 전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홍동표(Dong-Pyo Hong),차성현(Sung-Hyun Cha),이강(Kang Yi) 한국정보과학회 201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7 No.1B

        본 논문에서는 VGA 해상도의 컴퓨터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하여 빔프로젝터로 전달하는 저비용 실시간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시스템의 기능은, 컴퓨터영상 정보의 획득, 영상정보의 압축, 압축된 정보의 실시간 송수신, 압축해제 및 영상 정보복원, 영상데이터의 외부출력으로 구성된다. 영상 전송의 속도를 최대로 높이기 위하여 무선 전송은 IEEE 802.11g를 사용하고, 전송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표준 정지영상 압축 정보의 생성과 정보 표시 형식을 변형하여 사용한다. 변형된 정지영상 압축방식을 사용한 결과 압축을 하지 않고 전송한 경우에 비해서 약 4배가 빨라졌으며, 한 프레임의 영상을 전송하는데 평균 600㎳가량 소요되었다. 이는 일반적 강의에서 사용하는 화면전환 속도로 합리적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교육운영 특색사업에 따른 일반고 잠재계층 분류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분석

        오영교(Young-Kyo Oh),차성현(Sung-Hyun Cha)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일반고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운영 특색사업(교과교실제, 수준별 이동수업, 자율학교, 영어교육프로그램)의 시행 여부에 따라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계층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나아가, 잠재계층별로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EDSS(EduData Service System)에서 제공하는 2015년 일반고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과 잠재계층회귀분석(Latent Class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운영 특색사업에 따른 일반고의 잠재계층은 3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계층의 특성에 따라 실시형(engaged), 미실시형(disengaged), 수준별 수업 중점 혼합형(mixed)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잠재계층 분류에는 학교소재지역, 학교규모, 주당 평균 수업시수, 자율동아리 참여율, 방과후학교 참여율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잠재집단별로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미시실형 집단의 국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가 실시형 집단과 혼합형 집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잠재계층별 학업성취도에는 학비감면율, 교사 1인당 학생 수, 학생 · 학부모 상담실적 등의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반고 교육력 제고를 위해 학교 특색에 맞는 맞춤형 교육사업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classes in general high schools which implemented four different specialized school programs to enhance their academic performance. Futhermore, the study explored what school factors affected the classification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fied latent classes and distal outcome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In order to do this, we used the 2015 high school data provided by EduData Service System (EDSS) and applied a new 3-step latent class analysis (LCA) and latent class regression analysis (LCRA).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and named as ‘engaged group’, ‘disengaged group’, and ability tracking centered ‘mixed group’. In addition, these classifications were influenced by school characteristics; school location, school size, average class hours per week, club activity and after-school program participation rate. As for distal outcomes, high schools classified into the disengaged group were lower in academic achievements scores than their counterparts. In particular, a tuition discount rate’s nega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does not exist in the engaged group and it implies the effect of school program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at specialized and customized school programs for general high school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better school performance.

      • KCI등재

        Senge의 학습조직이론에 기반한 특수학교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조직 및 운영 경험 분석

        최미현 ( Choi Mi Hyun ),차성현 ( Cha Sung-hy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Senge의 학습조직이론을 분석 틀로 활용하여 특수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 조직 및 운영 과정에 참여하는 교사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시의 A특수학교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A특수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 조직 및 운영과정은 학교 워크숍을 통한 비전 공유(shared vision), 교육과정과 연계한 개인적 숙련(personal mastery), 동료 교사와 생각을 공유하고 수용하는 정신 모델(mental model), 팀 학습(team learning)을 통해 학교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학교장의 시스템 사고(system thinking)를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공적인 전문적 학습공동체 조직 및 운영을 위해 전문적 학습공동체 이해를 위한 연수 실시, 개방적·협력적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민주적 의사결정 체계 확립,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동을 위한 안정적 시간 확보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eply understand teacher’s experiecnes in organizing and opera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a special school in G city. In doing so, the study applied Senge’s views of five principles in learning organizations a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used in-depth interviews for 6 special teachers in a special school.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ve principles were closely inter-related and principal’s system thinking played a leading role; teachers have shared school vision through school workshops (shared vision), made individual mastery of school curricula (personal mastery), shared ideas with peer teachers and accepted them (mental model), and solved shool problems through team learning (team learning) were inter-connected under principal’s system thinking. Based on the findings, we made three suggestions in order to successfully organize and operat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ithin school; on-the-job training for better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democratic decision-making system for encouraging open and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and securing extra time for participating well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KCI등재후보

        반값등록금 정책에 따른 사립대학 재정 구조 변화 추이: 대학 규모별·지역별 계정과목의 구성비 변화

        문태열(Tae Youl Moon),차성현(Sung Hyun Cha)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2 지방교육경영 Vol.25 No.3

        이 연구는 2012년 정부의 반값등록금 정책 시행 이후 사립대학의 재정 수입 및 지출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사학진흥재단의 대학재정알리미에 공시된 최근 10년(2011~2020) 동안의 자금계산서 결산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규모 및 소재 지역에 따른 수입 및 지출항목의 구성비 변화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대학의 평균 수입·지출 총액은 2011년 이후 소폭 증가하다가 2014년을 정점으로 소폭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가장학금이 교육부 국고보조금 수입→국가 장학금 지출→등록금 수입의 절차를 거치면서 이중으로 계상되는 것을 감안하면 수입·지출 총액은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수입 항목에서 등록금 수입과 미사용 전기이월금 수입은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나 교육부 국고보조금 수입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등록금 수입은 대학 규모와 소재 지역에 관계없이 모든 대학에서 감소하였으며, 교육부 국고보조금 수입은 모든 대학에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셋째, 지출항목에서 최근 10년간 교직원 인건비는 5%p, 교외장학금은 9.9%p 증가하였으나, 유형고정자산매입 지출은 5.6%p가 감소하였다. 교직원 인건비 지출의 경우, 해당 기간 동안의 물가상승률, 사립대학의 전임교원 확충 등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동결 내지 인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교외장학금의 지출 증가는 정부 국가장학금 증가에 기인한 바가 크며, 유형고정자산매입 지출 감소는 사립대학의 재정위기 극복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사립대학의 안정적 재정 확보 및 교육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합리적 범위 내에서 등록금 인상 허용, 고등교육재정 교부금법 제정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inancial change of revenue and expenditure in private universities in Korea since the half-tuition policy for universities. For this, the study utilized the settlement of accounts over the last 10 years (2011-2020) on a public website of university finance provided by the Korea Advancing Schools Foundation.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amount of incomings and outgoings has slightly increased from 2011 to 2014, and then has decreased by a small margin to 2020. An average of 4.5 billion per university increased from 2011 to 2020. Looking at school size and location, large universities with more than ten thousand students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saw the biggest increase of the total sum of incomes. In contrast, middle-size universities did the biggest decrease in the same region during the same period. Second, total revenues from tuition, the unused sum brought over from the last account has decreased. Especially, middle-size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cities showed the largest decrease by 12.7%p. Income from government subsidy from Ministry of Education, however, has drastically increased at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cities regardless the school size. Third, over the last 10 years, a 5%p increase occurred in faculty expenses and 9.9%p increase did in scholarship from out-of-school. Especially, the largest increase of faculty expenses occurred at small size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region. In addition, out-of-school scholarship expenditure has increased by a big margin in all of universities, especially, at middle-size ones regardless of regions. In contrast, tangible fixed asset purchase has decreased by 5.6%p, as showed in all of univers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an reasonable increase of tuition with a social consensus and law of financial grants for university should be made to secure stable finance of private universities and further improv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services.

      • KCI등재

        교사 의사결정 권한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및 학교특성 변인 탐색

        김진욱(Kim, Jin-Uk),차성현(Cha, Sung-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In this study, the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any factors influencing on teacher decision-making authority in two levels, one of which is teacher level and the other is school level. The subjects were teachers working at general high school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individual level variables, teacher position and teacher passion were found significant in positive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model 2 analysis which was analyzed by principal-related variables after controlling teacher level variables, principal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incipal leadership were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 decision-making authority. As the final stage, school level variables were examined to analyze the model 3. In the result, the decision-making authority of the teachers working at national or public high schoo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eachers at private high schools. In addition, the teacher decision-making authority was significantly higher as the average teacher career in school level was lower, the number of classrooms increased,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was lower,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school was more activ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more explorative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eacher decision-making authority including more research on its status quo in Korea setting as well as the necessity to explore empirical study. Nex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eachers with more individually adaptive training programs by excavating socio-psychological and ethnographical factors. Last, it is desirable to help those enthusiastic teachers eager to improve autonomy and expertise through directive support like financial aid to their voluntary learning community.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일반고를 대상으로 교사 의사결정 권한에 영향력을 미치는 교사와 학교 변인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부산교육종단연구(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의 38개 일반고, 350명의 교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위계적 자료 구조를 반영하여 2수준 다층모형분석(two-level multi-level analysis)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인지하는 의사결정 권한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교사 개인변수로는 교사 직위와 교사 열의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특성 변인으로는 교장의 학력과 학교장 리더십이 교사의 의사결정권한에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사립에 비해 국공립학교, 학교평균 교원의 교육경력이 낮을수록, 전체 학급 수가 많을수록,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적을수록, 교내 교사모임 활성화가 잘 되는 학교일수록 교사의 의사결정권한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 전문성과 자율성 신장에 대한, 아울러 이들과 교사 의사결정권한 간의 관련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핵심역량 함양과 수업 질 제고를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편 방안 탐색 : C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효성(Lee, Hyo-Sung),차성현(Cha Sung-Hyu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6

        이 연구는 최근 C대학교에서 추진한 교양 교육과정 개편 사례를 통해 미래 핵심역량 함양 및 교양수업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대학교의 교양교육과정 운영 현황, 핵심역량 중심의 교양 교육과정 개편 배경, 주요 내용 및 운영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대학의 인재상에 부합하는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편내용을 검토하고, 교양 교육과정 개편을 통한 수업 질 제고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C대학교에서는개편된 교양 교과목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 역량교양의 분반 개설 기준 인원을 하향 조정하였고, 학생참여형 수업 활성화와 과정평가를 유도하기 위해 절대평가를 도입하였다. 또한, 교수-학생 간 활발한상호작용을 위해 수업지원 조교를 배치하고 역량교양 교과목 및 담당교수 대상으로 역량교양 평가를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사례 분석 결과는 대학의 인재상과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수업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대학들에게 구체적이고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ffective ways to improve core competencies for college students in future societies, and to enhance the quality of teaching in liberal arts subjects for competence. In doing so, the study examined the case of C university, which has made recent reforms to its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The study reviewed the previous curriculum of liberal arts (2011-2018), the key reforms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nd the support given for liberal arts classes to improve their quality leve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C university has lowered the maximum number of students from 80 to 60 in liberal arts classes for core competence. The university has also allowed absolute evaluation for its classes, so that students can participate actively and instructors can evaluate their student’s learning during the course. In addition, the university has assigned teaching assistants to eligible classes, and has provided them with additional evalu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universities that have tried to buil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system, and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i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