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의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

        주영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1 東洋學 Vol.0 No.82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the research in the Jangseogak Archives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KS Jangseogak Archives) and its upcoming tasks. The AKS Jangseogak Archives is an institute that survey, collect, process to conserve, oversee, and study the old books and documents from the court of Chosŏn (1392~1910) and private literati families (munjung). Ever since the Office of Jangseogak at the Bureau of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transferred the old books and documents of the Chosŏn court to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n 1981, the AKS Jangseogak Archives has conducted research on the documents of the royal archive on the one hand, and surveyed and collected books and written materials from private munjung on the other. Prior to 2011, the AKS Jangseogak Archives relied its research entirely on the support of the Committee for Promotion of National Learning (Gukhak jinheung yeon’gu sa’eop chjin wiweonhoe) and the Korean Studies Promotion Service (Han’gukhak jinheung sa’eoptan). Since the 2012, with a drastic budgetary increase for its material and staffing conditions, the AKS Jangseogak Archives has been reshaped into a full-scale research institution of old books and documents. The research staff at the AKS Jangseogak Archives has been carrying out on web-site platforms their projects on bibliographical records, introductions, digital images, states of conservation, archive locations, and availability of the collected old documents through the Jangseogak Archive Resource Management System, JARMS). Whereas the JARMS is an internal research tool, the web sites, Digital Jangseogak (Dijiteol Jangseogak, jsg.aks.ac.kr) and Archive of Old Documents of Korea (Han’guk Gomunseo Jaryogwan, archive.aks.sc.kr), are the platforms through which scholars can access the materials collected in the AKS Jangseogak Archives from the outside. In the coming years, the AKS Jangseogak Archives plans to focus its research on the project entitled “The Cultural History of Books at Jangseogak Archives,” which comprises three areas: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the book, the knowledge contained in the book, and the paper that is the material basis of the book. The AKS Jangseogak Archives will produce the core research achievements on the history of books and knowledge that the people of Chosŏn had accumulated. 본고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이하 ‘한중연장서각’)의 연구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에 관해 살피는 글이다. 한중연장서각은 조선시대 국가왕실과 민간 사대부 문중의 고전적(古典籍)을 조사·수집·보존처리·관리·연구하는 기관이다. 1981년 문화재관리국 장서각사무소로부터 조선왕실 고전적이 이관된 이후, 한중연장서각은국가왕실 고전적의 연구와 함께 민간 사대부 문중의 고전적을 조사·수집해 왔다. 한중연장서각이 2011년 이전에 수행해온 연구 과제 대부분은 국학진흥연구사업과 한국학진흥사업단의 지원에 전적으로 의지했다. 그러나 2012년 이후 본예산이 대폭 증액되면서 한중연장서각의 인적·물적 여건은 그 전과 달리 본격적인 고전적종합 연구기관의 면모를 갖추었다. 2019년부터 한중연장서각의 연구자들은 ‘장서각 고전적 관리 시스템(Jangseogak Archive Resource Management System, 이후 JARMS)을 통해서 고전적의 서지·해제·이미지구축·보존처리상태·수장위치·반출상태 등의 작업을 웹사이트 기반에서 수행하고 있다. JARMS가 내부연구용 도구라면 웹사이트 ‘디지털장서각’과 ‘한국고문서자료관’은 외부에서 한중연장서각의 자료에 접근할 수있는 플랫폼이다. 향후 한중연장서각은 ‘장서각 책의 문화사’ 프로젝트에 모든 연구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장서각 책의 문화사’는 ① 책의 생산과 유통, ② 책에 담긴 지식, ③ 책의 물질적 기반인 종이 등의 3분야로구성된다. 조선시대 사람들이 축적해온 책과 지식에 얽힌 역사는 향후 한중연장서각의 핵심 연구 성과가 될것이다.

      • KCI등재

        한부모가족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주영하,정익중,김영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9 청소년복지연구 Vol.21 No.1

        This study is a modified version of a paper presented at the Policy Forum for the Verification of the Longitudinal Effects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In this study,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data from the 2nd (2015) thru the 4th (2017) wave surveys of community child center children panel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ubject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early adolescents, who are between the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1st grade in middle school, living either with a mother or a father, and attending community child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dolescents’ self-esteem in single-parent families consistently decrease with higher school grade and that their self-esteem developmental trajectory shows significant individual differences. Second, as for the predictors influencing the initial level of the self-esteem development trajectory in single- parent-family adolescents, depression and stress were identified as factors that have negative effects, while attention concentration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were identified as factors that have positive effects. Also, it was verified that depression and peer communication are factors gradually lowering the adolescents’ self-esteem as their school grade increas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practice implications of providing basic data for better programs and intervention services for community child center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한부모가족 초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을 추정하고, 그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 중 2기 패널데이터의 2차(2015) ~ 4차(2017)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지역아동센터를 다니고 있는 한부모가족 청소년으로 초등학교 5학년 ~ 중학교 1학년 초기 청소년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가족 초기 청소년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아존중감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 궤적은 유의미한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부모가족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다음과 같다. 한부모가족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초기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스트레스로 확인되었고, 자아존중감 초기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의집중, 교사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아존중감을 완만하게 감소시키는 요인은 우울, 또래 의사소통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과 개입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의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조직문화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주영하,선민정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whether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whether there was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with SEM using data of the HCCP in 2015.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nnovative, relationship, rational cultur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Second, the effect of innovative, relationship, hierarchical, rational culture on job satisfaction was mediated through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creating an innovative and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a working environment that could facilitate smooth communication in the enterprises.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원들의 공유가치인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조직문화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 있어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5년 인적자본기업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근로자 10,069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조직문화 유형인 혁신문화, 관계문화, 합리문화의 순서로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문화, 관계문화, 위계문화 및 합리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의사소통을 통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에서 혁신적이고 관계지향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근무환경을 조성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민속문화의 국제화 요구와비교민속학의 대응

        주영하 한국민속학회 2004 韓國民俗學 Vol.40 No.-

        1980년대 이후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화두가 유행하면서 우리 사회에서 민속문화의 국제화 요구가 끊임없이 이어졌다. 특히 1993년 문민정부에서 내세운 세계화 전략은 전통문화, 특히 민속문화의 문화상품적 가치에 대해 범정부 차원에서 정책적 관심을 보인 것이기도 하다. 그 결과 전래 설화에 근거한 애니메이션 오세암이 2004년 안시페스티벌에서 대상을 받고, <사물놀이>와 <난타>가 국제적 문화상품으로 자리를 잡았다. 아울러 김치불고기냉면비빔밥과 같은 민속음식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소비되는 민족음식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민속학과 비교민속학 차원에서 이 문제에 대해 전면적으로 논의한 바는 적었다. 본고는 19세기와 20세기 초반의 비교민속학이 식민지 본국 중심의 제국주의적 경향과 중심부 위주의 원형론진화론전파론, 그리고 자민족 중심주의의 입장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을 전제로 제시했다. 본론에서는 한국의 민속문화 중 몇 가지의 사례를 선정하여 국제화 요구에 비교민속학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해서 살폈다. 우선 미국 <월트디즈니>의 흥행성공과 <오세암>의 흥행실패에 담긴 의미를 통해 옛날이야기의 국제화에 대해 살폈다. 다음으로 민속놀이의 국제화와 국제적 축제 과정에서 <사물놀이><난타>, 그리고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사례로 하여 비교민속학의 대응에 대해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이미 국제화에 성공했다고 여겨지는 김치를 중심으로 민속음식의 국제화가 시사하는 점을 살폈다.

      • KCI등재후보

        음식과 권력 : 취향, 통제, 계몽, 마케팅

        주영하 청계사학회 2023 청계사학 Vol.26 No.-

        본고는 인문학과 사회과학에서 ‘음식의 역사’를 다룰 때 직면하는 ‘권력’의 문제를 역사인류학・역사민속학・사회사적 연구의 시각을 소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나는 음식과 권력의 상관성을 설명하기 위해 맛의 취향, 정치와 식량, 몸과 영양, 식품체제 등의 주제들을 다룬다. 첫 번째의 주제는 맛의 취향이다.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맛 취향을 ‘생각하기에 좋은(good to think)’ 음식이라고 여기지만, 이러한 인식 역시 공동체의 지배적인 권력에서 나온 것이다. 후기 산업사회를 살아가는 오늘날 도시인들은 식품공장, 유통업체, 외식업체 등을 통해서 식재료와 음식을 구매해서 먹는다. 따라서 오늘날 사람들의 맛의 취향은 기업의 손에 넘어갔다. 두 번째 주제는 정치와 식량의 상관관계이다. 식량의 안정적인 확보와 공급은 동아시아의 전근대 왕조가 견지한 중요한 통치 이념의 하나였다. 조선시대의 금주령은 주곡인 멥쌀을 식량이 아닌 다른 데 사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였다. 1960~70년대 제3공화국 정부가 전개한 분식장려운동도 주곡 확보를 위한 정책이었다. 국가가 펼친 특정 식량에 대한 통제는 국민의 입맛을 바꾼 결정적인 권력이다. 세 번째 주제는 국가 권력이 통제한 국민의 몸과 영양에 관한 것이다. 1960~70년대 제3공화국이 펼친 각종 영양 정책은 미국식 영양학에 근거한 권력의 규율이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한국인의 식단은 육식화(meatification)의 과정을 밟았고, 이 때문에 곡류 소비가 감소했다. 국가의 몸과 건강에 대한 통제와 규율이 식단의 구성을 바꾸었다. 네 번째 주제는 다국적 식품기업에 의한 식품체제에 관한 것이다. 식품기업과 식재료의 대형 유통기업은 정교한 마케팅 기법을 통해서 세계적 먹거리사슬 구조에 소비자를 끌어들인다. 식품산업이 펼치는 식품정치(food politics)는 정부의 감독 기능을 약화할 정도로 강력하다. 오늘날 식품의 생산, 유통, 소비는 식습관의 영역을 넘어 이미 정치와 경제의 권력 영역이 되었다. 나는 본고를 통해서 한국의 인문학과 사회과학 학계에서 음식의 역사에 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perspectives of historical anthropology, historical folklife studies, and social history to the problem of power that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ace when dealing with the history of food. To illustrate the connections between food and power, I cover the following topics: taste, politics and food, the body and nutrition, and food regimes. The first topic is taste preferences. People consider their favorite flavor preferences to be ‘good to think’ food, but these perceptions also come from the dominant power in the community. Urban people today, living in a post-industrial society, purchase and eat food ingredients and food through food factories, distributors, and restaurants. Therefore, people’s taste today fell into the hands of corporations. The second topic is the correlation between politics and food. Securing and providing a stable supply of food was an important ruling ideology of the pre-modern dynasties of East Asia. The Joseon Dynasty’s prohibition of alcohol was meant to ensure that the staple grain, glutinous rice, was not used for anything other than food. The nutritional policies of the Third Republic of Korea in the 1960s and 1970s were an exercise in power based on the theories of American dietetics. The state’s control over certain foods is a decisive power that changed people’s tastes. The third topic is about the state’s control over people’s bodies and nutrition. The nutritional policies of the Third Republic in the 1960s and 1970s were based on American-style nutrition. Since the mid-1980s, the Korean diet has undergone a process of meatification, which has led to a decrease in grain consumption. The state’s control and discipline over the body and health of the nation changed the composition of the diet. The fourth topic is the food regimes dominated by multinational food corporations. Food companies and large food retailers use sophisticated marketing techniques to draw consumers into the global food chain. The food politics of the food industry is powerful enough to undermine government oversight. Today,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food has gone beyond the realm of dietary habits and has become an area of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I hope that this paper will encourage further research on the history of foo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Korean academ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