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식품과학--어떤 학문인가? 그 역사와 전망

        권태완 仁濟大學校食品科學硏究所 1994 仁濟食品科學FORUM論叢 Vol.- No.2

        식품과학은 비교적 새로운 학문이다. 먹거리에 대한 과학적 關心과 探索의 試圖는 200여년 전으로 소급되지만, 獨立된 학문으로서 體系를 갖추게 된것은 겨우 40년 정도가 될 것이다. 식품과학은 嗜好性과 收容性, 그리고 安全性이 유달리 강조된다는 점에서 다른 학문과 구별된다. 그런데 앞으로 사회가 발전하여감에 따라 식생활 또한 변하게 될 것이므로, 이와같은 새로운 사회적 需要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식품과학은 보다 多元的으로 발달할 것이며, 따라서 식품과학자의 역할과 할일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식품과학과 식품공업의 수준은 지금 學習課程을 떠날 단계에 와있으며, 앞으로 독창적인 업적과 발전을 기대하여 마지 않는다. 그 동안 우리나라 식품공업은 수입원료와 도입기술을 바탕으로 외래식품의 加工量産으로 포화수준의 1/3 까지 발전하여 왔으며, 따라서 앞으로 2배 내지 3배의 伸張潛在力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원래 한 나라의 식품공업이 그 나라의 농업의 延長線上에서 성장되어야 한다는 當爲를 감안할때, 앞으로 신장은 우리 농산물을 바탕으로한 우리식품의 가공과 국제상품화에 拍車를 가하야하며, 이 일이 순조롭게 추질될수 있도록 식품과학이 식품공업과 産學協同을 펴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식품중의 機能成 成分의 역할이 중요시 되고 있는 이때, 전통식품의 산업화에 기능성의 確認과 導入도 적극적으로 추진 해야 한다. 뿐만아니라, 환경오염이 날로 심해져 가고 國際交易이 증가될 전망이므로 앞으로 식품안정성의 문제는 그 어느때 보다도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 Food science is a new discipline of science. Although human interests and searches on his foods by scientific methods may be traced back to over 200 years, it has been only for 40 years or so since food science became an independent discipline of study. Food science does emphasize indeed the organoleptic quality, socio-psychological acceptability and safety aspects of foods, by which it is distinguished itself from other disciplines of study. Nevertheless, as our dietary life will be changed in the years ahead along with the expected social developments, to meet such new demands food science has to go through some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developments, and thus food scientists are expected to have additional roles and more opportunities to work with. At the moment, both Korean food science and industry have finished the stage of learning, and thus they are ready to leap up for the creative and independent developments for the future. So far, the industry has grown to about 1/3 toward saturation, by producing mainly foreign-originated products based on the imported raw materials and technologies, indicating its potential growth by 2 to 3 folds in the near future. If we recall the fact that food industry has been grown as a part of agricultural developments, certainly Korean food industry has to push its effort to process Korean foods for both internal and export markets utilizing more domestic agricultural produce, and for this goal the food science should render its full support to the process industry by way of the close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Today, as the designer food components are becoming a new dimension of foods, it is important to ensure its incorporation in a balanced manner to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traditional foods. Furthermore, as it is expected that environmental pollution become worse and international trades be increased in the years to come, the problem of food safety will remain as the everlasting important issue in our food supply.

      • [제1주제]식품과학 - 어떤 학문인가? 그 역사와 전망

        권태완 인제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1994 仁濟食品科學FORUM論叢 Vol.2 No.-

        식품과학은 비교척 새로운 학문이다. 먹거리에 대한 과학적 關心과 探索의 試圖는 200여년 전으로 소급되지만, 獨立된 학문으로서의 體系를 갖추게 된것은 겨우 40년 정도가 될 것이다. 식품과학은 嗜好性과 收容性, 그리고 安全性이 유달리 강조된다는 점에서 다른 학문과 구별된다. 그런데 앞으로 사회가 발전하여감에 따라 식생활 또한 변하게 될 것이므로, 이와같은 새로운 사회적 需要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식품과학은 보다 多元的으로 발달할 것이며, 따라서 식품과학자의 역할과 할일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식품과학과 식품공업의 수준은 지금 學習醫程을 떠날 단계에 와 있으며, 앞으로 독창적인 업적과 발전을 기대하여 마지 않는다. 그 동안 우리나라 식품공업은 수입원료와 도입기술을 바탕으로 외래식품의 加工星産으로 포화수준의 1/3까지 발전하여 왔으며, 따라서 앞으로 2배 내지 3배의 伸張潛在力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원래 한 나라의 식품공업이 그 나라 농업의 延長緣上에서 성장되어야 한다는 當爲를 감안할 때, 앞으로의 신장은 우리 농산물을 바탕으로한 우리식품의 가공과 국제상품화에 拍車를 가하야하며, 이 일이 순조롭게 추진될수 있도록 식품과학이 식품공업과 본격적인 慶學協同을 펴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식품중의 機能性 成分의 역황이 중요시 되고 있는 이때, 전통식품의 산업 화에 기능성의 確認과 導入도 적극적으로 추진 해야 한다. 뿐만아니라, 환경오염이 날로 심해져 가고 園際交易이 증가될 전망이므로 앞으로 식품안전성의 문제는 그 어느때 보다도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 Food science is a new discipline of science. Although human interests and searches on his foods by scientific methods may be traced back to over 200 years, it has been only for 40 years or so since food science became an independent discipline of study. Food science does emphasize indeed the organoleptic quality, socio-psychological acceptability and safty aspects of foods, by which it is distinguished itself from other disciplines of study. Nevertheless, as our dietary life will be changed in the years ahead along with the expected social developments, to meet such new demands food science has to go through some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developments, and thus food scientists are expected to have additional roles and more opportunities to work with. At the moment, both Korean food science and industry have finished the stage of learning, and thus they are ready to leap up for the creative and independent developments for the future. So far, the industry has grown to about 113 toward saturation, by producing mainly foreign-originated products based on the imported raw materials and technologies, indicating its potential growth by 2 to 3 folds in the near future. If we recall the fact that food industry has been grown as a part of agricultural developments, certainly Korean food industry has to push its effort to process Korean foods for both internal and export markets utilizing more domestic agricultural produce, and for this goal the food science should render its full support to the process industry by way of the close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Today, as the designer food components are becoming a new dimension of foods, it is important to ensure its incorporation in a balanced manner to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traditional foods. Furthermore, as it is expected that environmental pollution become worse and international trades be increased in the years to come, the problem of food safety will remain as the everlasting important issue in our food supply.

      • 전통식품의 공업화 현황과 과제

        최춘언 仁濟大學校食品科學硏究所 1995 仁濟食品科學FORUM論叢 Vol.- No.3

        전통식품의 정의에 관해서 신중히 검토하여 분명하게 정립시켜야 하지만 우리가 일상 섭취하고 있는 한국식품과, 문헌에 나와있는 한국식품을 전통식품으로 간주하여 윤(1991)이 분류한 한국식품 29종류 2,580품목을 그 사용목적에 따라 주식품, 부식품, 조미식품, 기호식품으로 나누어 공업화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주식품에서는 현재 죽류, 국수류, 만두류가 건조식품, 인스탄트식품, 레토르트식품, 통조림식품, 냉동식품 등으로 공업화되어 있다. 1993년의 시장규모는 죽류가 630억원, 국수류가 3,000억원, 만두류가 760억원 정도다. 부식품에 있어서는 국류와 찌개류가 동결건조제품으로, 기타의 조리식품이 일부 레토르트식품과 냉동식품으로 공업화되어 있고 김치류와 젓갈류의 제조가 공업화되어 있다. 이들의 시장규모(1993)는 국류와 찌개류가 400억원, 냉동조리식품이 300억원 정도고 김치류는 약 14만톤, 1,200억원, 젓갈류는 12천여톤, 약 700억원 정도이며 이와 별도로 멸치액젓이 500억원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조미식품중 장류와 양조식초는 1993년에 각각 2,000억원과 200억원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지만, 제조방식이 대부분 전통적방법이 아닌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참기름은 대규모 전문업체 제품이 수요의 30%를 차지하여 900억원 정도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기호식품에 있어서는 1993년에 한과류가 250억원, 전통음청류가 1,500억원, 주류에서는 약·탁주가 생산이 감소되어 550천 kl에 1,600억원, 소주는 생산이 증가되어 740천 kl, 5,000여억원의 시장규모가 되었는데 전통민속주의 시장은 아직 미미하다. 이렇게 공업화된 전통식품은 그 종류와 품목수가 아직도 적지만 총출하액(1993)은 대략 1조7천억-1조8천억원으로 추정되고 있어 우리나라 식품산업의 총 출하액 15조원의 12%수준에 이른다. 그러므로 전통식품의 공업화생산이 그동안 지속적인 신장추세에 있는 것만은 확실하다. 이 전통식품의 공업화를 더한층 촉진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각 전통식품의 특성에 따른 과제의 해결 외에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문제점들이 연구되고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1. 전통식품에 대한 적정한 제품명의 설정과 전승 2. 전통식품의 품질기준 선정 3. 전통식품의 품질재현성을 높이기 위한 생산기술의 검토와 확립 4. 저장성 향상을 위한 가공처리기술 및 포장기술의 개발 5. 원료의 선택과 안정적 공급 6. 생력화·자동화를 위한 공정개선과 가공처리기계 및 장치의 개발 7. 영세업체의 난립방지와 사업경영능력의 제고 8. 전통식품의 기능성에 대한 홍보 강화와 연구개발투자의 확대 Even though the defini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should be clearly consolidate, present traditional foods in the country were categorized by Yoon's suggestion(1991) based on related references and reviwed industrialized status on 2,580 items of 29 varieties of staple foods, side dishes, seasonings, and table luxuries. Staple foods, like porridges, noodles, and oriental buns are already commercialized in these days as dried items, instant foods, retort pouch food, canned food, and frozen foods. Their market size in value are 63 billion won, 300billion won, and 76 billion won respectively. Side dishes such as freeze-dried soups and "cheegye"(boiled soup with various vegetables, meat and fishes), retort pouch food of frozen ready-made foods, kimchi, and jeotkal(fermented salted fish) are industrialized. Their market size in value are about 40 billion for soups and "cheegye", 30 billion won for frozen ready-made foods, 120 billion won for kimchi which accounts for 140,000 M/T in production, 70 billion won of jeotkal which accounts for 12,000 M/T of production, and 5 billion won valued market for clear anchovy sauce. Among seasonings, fermented soybean products and vinegar which do not follow traditional method occupied 200 billion won and 20 billion won valued restectively in market. The market share of large and special line of busisness in sesame oil occupied 30% which accounts for 90 billion won. Table luxries market on 1993 makes 25 billion won if traditional Korean cake, 150 billion won of tradional drinks, 160 billion won of "takjoo"(Korean turbid rice wine) and "yakjoo" (Korean clear rice wine) which is accounted 550 thousand kl by less production, and 500 billion won of "sojoo"(diluted alcoholic liquor) which is accounted 740 kl by more production, the total traditional alcoholic liquor maket size are still insignificant, only 4 billion won in value. Even though many items of Korean traditional foods are commercialized, overall trend of traditional foods are stimulated in their market steadily. To promote and accelarate the commercialization of traditional foods in this country, the following problems should be reviewed and solved besides common problems in Korean food industries. 1. Settlement of proper name of each traditional food and its transmission. 2. Set up quality standard of tradition foods. 3. Review and establishment of production techniques for reproducibility. 4. Development of processing and packaging technique for preservation stability. 5. Proper selection of raw materials and its stable supply 6. Improvement of process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machines and equipments for saving worker and energy and automation. 7. Control of flooded small scale manufacturers and strengthening of business management. 8. Enhancement of publicity on biomedical function of traditional foods and enlargement of R&D investment.

      • 소스형 조미료의 개발과 산업화 전망

        신재익 仁濟大學校食品科學硏究所 1998 仁濟食品科學FORUM論叢 Vol.- No.6

        식품이란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요리하거나 또는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모든 재료를 총칭하는 것으로 영양소를 한가지 이상 함유하고 유해한 물질이 없는 천연물 또는 가공식품을 포함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식품산업의 발전상을 보면 1945년~1960년까지는 원료의 공급시대로서 식량이 절대 부족하여 주로 UN의 원조물자인 잉여 농산물을 도입하고 이들 기초원료에 의존하여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하던 시대이다. 1970년대는 경제발전계획에 힘입어 소득 증가와 식생활 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식품산업의 근대 산업적 생산체제가 구축되기 시작했다. 80년대 때와 90년대 전반은 경제성장의 고도화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와 함께 외식산업이 자리잡기 시작하면서 소스, 햄버거, 피자, 치킨 등의 편의식품 소비가 크게 확대되고 맛의 세계화와 편의성 추구로 인해 패스트후드와 패밀리레스토랑이 등장하였다. 1995년 중반에 들어 WTO의 출범으로 세계의 무역장벽이 무너지고 여행자유화가 급속히 추진됨에 따라 시장의 단일화가 촉진되기 시작하면서 외국산 식품들의 소비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국내의 식품시장을 위협하게 되었다. 다가오는 21세기는 고도의 산업화와 정보화, 핵가족화 및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해 식품시장의 세분화와 서구 식품의 급격한 시장 정착으로 인해 식생활 양식과 소비 경향은 과거에 비해 현저히 변화되고, 건강과 천연지향 그리고 간편성의 특징을 지니는 식품군이 주류를 이룰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따라서 변화하는 소비자의 욕구와 국내 식품시장의 보호를 위해 이들 식품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진행이 필요하며 또한 우리 음식의 표준화와 함께 조리방법의 체계화, 전통식품의 과학화로 해외진출도 검토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고에서는 변화하는 국내 식품 산업에서 소스류의 위치를 살펴보고, 개발동향 및 문제점과 이들의 산업화 전망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 문화와 과학의 만남에서 본 한국전통음식

        정혜경 仁濟大學校食品科學硏究所 1999 仁濟食品科學FORUM論叢 Vol.- No.7

        전통문화는 각 민족, 사회가 그 환경에 적응하면서 적절히 살아가는 지혜이자 과학적사고라는 인식이 팽배해졌는데 전통음식문화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앞서 살펴 본 4개의 영역에서 한국전통음식이 갖는 과학적인 사고체계를 인식하고 앞으로 이를 적절히 조화, 발전시킬 수 있는 지혜가 무엇보다 요구된다는 것이다. 첫째, 전통한국사회에서 음식에 대한 시각에서는 음식에 대한 선조들의 시각이 상당히 합리적인 사고체계 내에서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식의」라는 제도를 두었으며, 건국신화에 파와 마늘이 등장하고 음식이 갖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있었다. 식생활분dirk 주로 여성의 일로 간주되는 하위문화로 간주되는 현대보다도 어떤 면에서 진보적이며 또한 조선시대 실학자나 유학자들이 식품관련저서나 고조리서를 남기고 있다. 둘째, 최근의 과잉의 동물성식품 섭취로 인한 성인병증가현상은 채식위주의 전통식생활에 대한 관심을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특히 조선시대에 극심했던 기근을 극복하기 위한 채소위주의 죽 등을 이용한 구황식품의 개발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채소를 과학적으로 최대한 이용하려 했던 선조들의 지혜를 다시 한번 되새겨 보아야 할 대목으로 생각되었다. 우리의 전통식생활의 우수성을 되살리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셋째, 의례 음식이 전통사회에서 갖는 의미로서 평상시 부족했던 동물성단백질섭취의 측면이 강했던 잔치음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철따라 나는 계절 음식을 초대한 이용해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하려한 절기음식의 예에서 선조들의 과학적 사고체계를 볼 수 있다. 넷째, 현대의 영양학적 지식으로 보아도 배울 점이 많은 고조리서에 대한 접근을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고조리서를 통한 연구는 물론 그 동안 충분히 이루어져 왔지만 고조리서에 나타난 음식종류를 열거하거나 분류하는 것 이상의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우리의 걸맞는 전통음식문화를 가꾸어 나가는 바탕으로 삼아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제5주제]식품 기능성 성분에 대한 이해와 이용

        박관화 인제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1994 仁濟食品科學FORUM論叢 Vol.2 No.-

        Functional food is defined as food that has positive effects on human health and physiological control in addition to its nutritional values. It has been designated as tertiary function of food. Functional food becomes a growing area in the food industry and usually considered only as regular food with natural ingredients without any modification. Therefore, functionality of the ingredients should be proved scientifically. This paper overviews the usage of peptides, proteins, phospholipids, fatty acids, and vitamins as functional food briefly. Current scientific data have clearly proved that carbohydrate-based bioactive materials such as branched oligosaccharides, cyclodextrin, and dietary fiber are promising as functional foods. They increase the population of beneficial bacteria such as Bifidobacteria in the intestinal microflora. The procedure of branched oligosaccharides production which was newly developed in our laboratory by using recombinant DNA technology is discussed. Finally, brief description of the possible contribution of biotechnology in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s is also given in this paper. 식품의 품질은 영양문제를 다루는 일차특성, 기호성을 다루는 이차특성이 중요시 되었으나 현대에는 식품의 기능성을 중요시하여 이를 3차 기능이라 한다. 식품의 3차 기능은 인체의 생체방어(면역), 생체리듬조절 등에 관여하는 생체조절기능을 말한다. 즉 식품을 적절히 섭취함으로써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식품과 건강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고조되고 있다. 기능성 식품의 연구는 일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비과학적이고 부정확한 정보의 혼란을 막고 과학적인 근거에 기초를 두고 기능성인자의 체내에서의 작용기작이 확인된 것만을 다루고 있다. 식품성분의 기능성 중 기능성 peptide는 혈압강하, casein phosphopeptide, opioid, 면역활성 peptide, angiotensin 전환효소저해 peptide 등이 알려져 있으며 우유, 콩, 쌀 축육단백질 등에 포함되어 있다. 기능성 인지질은 생체막 구성성분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한편 phosphatidyl산, 혈소판 활성화인자, lysophosphatidyl산, 인지질대사산물 등은 세포간 화학전달의 기능과 관련이 깊으며 알레르기와 염증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과채류에는 암을 유발하는 변이물질과 발암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항변이원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류, 함유황아미노산, phenol화합물과 고분자 항변 이원성 물질이 밝혀지고 있다. 유지는 고도불포화지방산이 인체의 건강과 관계가 깊으며 n-3 계열인 eicosapentaenoic acid (EPA) 및 docosahexaenoic acid (DHA)는 prostaglandin의 전구물질로 생리작용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medical food는 병원에 입원한 환자나 특수 질병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해 제조된 음식으로 특수한 생리적 기능을 지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기능성 탄수화물 신소재는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이 있으며 특히 인체의 유용장내 세균인 Bifidus균을 특이적으로 증식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기능성탄수화물 소재로는 말토올리고당, 분지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chitosan, cyclodextrin, 식이섬유등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능성 식품소재는 식품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해 주는 것으로 이 방면의 체계적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기대되며 산업적으로 중요한 분야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식품 기능성 성분에 대한 이해와 이용

        박관화 仁濟大學校食品科學硏究所 1994 仁濟食品科學FORUM論叢 Vol.- No.2

        식품의 품질은 영양문제를 다루는 일차특성, 기호성을 다루는 이차특성이 중요시 되었으나 현대에는 식품의 기능성을 중요시하여 이를 3차 기능이라 한다. 식품의 3차 기능은 인체의 생체방어 (면역), 생체리듬조절 등에 관여하는 생체조절기능을 말한다. 즉 식품을 적절히 섭취함으로써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식품과 건강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고조되고 있다. 기능성 식품의 연구는 일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비과학적이고 부정확한 정보의 혼란을 막고 과학적인 근거에 기초를 두고 기능성인자의 체내에서의 작용기작이 확인된 것만을 다루고 있다. 식품성분의 기능성 중 기능성 peptide는 혈압강하, casein phosphopeptide, opioid, 면역활성 peptide, angiotensin 전환효소저해 peptide등이 알려져 있으며 우유, 콩, 쌀 축육단백질 등에 포함되어 있다. 기능성 인지질은 생체막 구성성분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한편 phosphatidyl산, 혈소판 활성화인자, lysophosphatidyl산, 인지질대사산물 등은 세포간 화학전달의 기능과 관련이 깊으며 알레르기와 염증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과채류에는 암을 유발하는 변이물질과 발암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항변이원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류, 함유황아미노산, phenol화합물과 고분자 항변이성 물질이 밝혀지고 있다. 유지는 고도불포화지방산이 인체의 건강과 관계가 깊으며 n-3 계열인eicosapentaenoic acid (EPA) 및 docosahexaenoic acid (DHA)는 prostaglandin의 전구물질로 생리작용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medical food는 병원에 입원한 환자나 특수 질병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해 제조된 음식으로 특수한 생리적 기능을 지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기능성 탄수화물 신소재는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이 있으며 특히 인체의 유용장내 세균인 Bifidus균을 특이적으로 증식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기능성탄수화물 소재로는 말토올리고당, 분지올리고당, 칼락토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chitosan, cyclodextrin, 식이섬유등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능성 식품소재는 식품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해 주는 것으로 이 방면의 체계적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기대되며 산업적으로 중요한 분야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Functional food is defined as food that has positive effects on human health and physiological control in addition to its nutritional values. It has been designated as tertiary function of food. Functional food becomes a growing area in the food industry and usually considered only as regular food with natural ingredients without any modification. Therefore, functionality of the ingredients should be proved scientifically. This paper overviews the usage of peptides, proteins, phospholipids, fatty acids, and vitamins as functional food briefly. Current scientific data have clearly proved that carbohydrate-based bioactive materials such as branched oligosaccharides, cyclodextrin, and dietary fiber are promising as functional foods. They increase the population of beneficial bacteria such as Bifidobacteria in the intestinal microflora. The procedure of branched oligosaccharides production which was newly developed in our laboratory by using recombinant DNA technology is discussed. Finally, brief description of the possible contribution of biotechnology in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s is also given in this paper.

      • NADPH의 항산화효과

        박진우 仁濟大學校食品科學硏究所 2002 仁濟食品科學FORUM論叢 Vol.- No.9

        NADPH is an important cofactor in many biosynthesis pathways and the regeneration of reduced glutathione, critically important in cellular defense against oxidative damage. It is mainly produced by glucose 6-phosphate dehydrogenase (G6PD), malic enzyme, and the cytosolic form of NADP^+-dependent isocitrate dehydrogenase (IDPc).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about the role of IDPc in antioxidant defen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IDPc against cytotoxicity induced by oxidative stress by comparing the relative degree of cellular responses in three different NIH3T3 cells with stable transfection with the cDNA for mouse IDPc in sense and antisense orientations, where IDPc activities were 3-4 fold higher and 35% lower, respectively, than that in the parental cells carrying the vector alone. Although the activities of other antioxidant enzyme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reduct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G6PD, were comparable in all transformed cells, the ratio of GSSG to total glutathi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ells expressing the lower level of IDPc. This finding indicates that IDPc is essential for the efficient glutathione recycling. Upon transient exposure to increasing doses of H_2O_2, menadione, an intracellular source of free radical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or UVB (312 ㎚), the cells with low levels of IDPc became more sensitive to oxidative damage by H_2O_2, menadione, or UVB. Lipid peroxidation, oxidative DNA damage, and intracellular peroxide generation were higher in the cell-line expressing the lower level of IDPc. However, the cells with the highly over-expressed IDPc exhibited enhanced resistance against oxidative stress, compared to the control cells. We also demonstrated that mitochondrial NADP^+-dependent isocitrate dehydrogenase (IDPm) also plays a protective role against oxidative damage. This study provides direct evidence correlating the activities of IDPc and IDPm and the maintenance of the cellular redox state, suggesting that IDPc and IDPm play an important role in cellular defense against oxidative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