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시대적 변화로 살펴본 공공미술과 공동체미술의 향후 방향성 연구

        주미옥(Mi Ok J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1

        20세기 후반 이후는 ‘공공성의 시대’1)라고 할 만큼공공성이 사회적 정의의 흐름을 정하는 기준이 되고 있다. 19세기 후반 산업화의 영향으로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가 생겨나면서, 이에 맞는 공간과 편의 시설들에 대해 ‘공공’의 개념이 강화되기 시작했다. 이 공공의 개념에 생활의 편의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미술’을 매개체로 사용하면서 ‘공공미술(Public Art)’이라는 개념이 생겨나게 되었다. ‘미술’이 매개체로 활용될 수 있었던 것은 삶의 외형적인 모습을 아름답게 변화시켜 주는 것뿐만이 아니라, 공공미술과정과 결과에서 이루어지는 직·간접적인 행위들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집단, 집단과 집단과의 극단적 행위들을 어떤 다른 유형의 행위보다도 ‘유연’하게 해결하는 모습들을 보아왔기 때문이다. 1980년대 이후 ‘공공미술’은 공동체간 소통의 매개체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를 “공동체 미술(Community Art)”이라고 한다. 공동체간의 소통과 공동의 목적, 예를 들어 환경개선(Recycling), 생태(Eco), 방범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 Design)·안전(Safe) 등의 여러 가지 목적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이전에도 비슷한 유형의 행위는 있었으나 이를 명명하며 표면화하는 시점으로 논하는 것이다. 이 공동체미술은 여러 사람이 속한 공동체에서 행해지는 미술로 ‘유연한 소통’이 성공과 발전을 좌우한다. 공동체미술은 실물적작품의 수준보다도 공동체구성원의 참여와 소통행위가 관념적 가치로 높이 평가되어지는 분야이다. 연구범위는 국내·외 공공미술과 공동체미술의 정책과 사례를 조사·분석하여 내용별·시대별 특 장점을 파악하고 향후 우리나라의 공공미술과 공동체 미술의 전개방향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정책과 사례를 논문과 단행본, 기관 및 연구소 보고서, 보도자료,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와 인터넷을 통한 국내외 정보 D/B를 통한 고찰로 진행되어졌다. 본 연구는 앞서 언급한 공공성의 시대와 1930년대에 이후 도시재건과 실업자 구제차원에서 시작 되었던 공공미술이 여러 시대를 거쳐 어떻게 다양하게 변화 되었는지를 살펴보고, 공공미술과 공동체미술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 될 것인지에 대한 방향성을 알아보는 것이 연구의 주요목적이다. 이는 국내 공공미술과 공동체미술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모색하고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쓰여 질 수 있으리라고 본다. 공공미술과 공동체미술은 미술이 주도적으로 추구해 왔던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뿐만이 아니라,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특수한 목적’이 ‘구체적’으로 포함된 사업으로 심화되어 전개될 것이다. 미술전문가 중심이었던 대부분의 사업들이 비전문가와 관계공무원, 주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조’, ‘참여’의 형태로 넓은 범위의 관계도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이렇게 넓어지고 비전문가 집단이 참여하게 됨으로써 미술의 ‘범위’에 대한 논란도 가중되어질 것이나, 이 논란은 대중과 공동체의 공동 목표가 성공적으로 달성되어진 다면 크게 문제화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공공미술의 표현방법에서도 특정장소뿐만이 아니라 온라인, 온라인과 특정장소와의 연계, 공동체와 온라인과의 관계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Publicness became the criteria to prescribe flow of social justice as the latter part of 20th century is called ‘the age of publicness’. As ‘cities’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due to the impacts of industrializa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were created, concept of ‘public’ was strengthened for appropriate spaces and convenience facilities. As ‘art’ is used as media affecting living convenience and quality of life, the concept of ‘public art’ was generated. The reason why the ‘art’ could be used as a media is because it not only changed the appearance of life beautifully but also solved the extreme activities between people, between people and group and between groups in a ‘flexible’ way more than any other types of behaviors. Since 1980s, the ‘public art’ began to be used as a media of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ties. It is called as ‘Community Art’. It is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and common purpose between communities for example recycling, eco,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and safety. Of course, there are various similar behaviors before, but it began to name and express it apparently. This community art is an art performed within the community and ‘flexible communication’ determines success and development. The community art is the area wher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the community member are highly evaluated as conceptual value. The scope of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domestic and overseas public art and community art policy and examples to figure out features by contents and period and to discuss the progress of the public art and community art in Korea. As for the methodology, the study performed literature review of the domestic and overseas policies and examples by means of articles, monography, reports of institutions and research centers, press release, book and publications, and examination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information DB through internet. The study examined how the public art, which began at the level of city reconstruction and unemployment relief at the age of publicness and after 1930s, has been diversly changed, and how the public art and community art are changed in terms of its direc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ould be a reference for the pursuit of the direction of domestic public art and community art. The public art will be deepened and progressed as a project including ‘special purpose’ of the public place and community ‘specifically’ as well as the desire of ‘beauty’ which the art has pursuit actively. Most projects that were mainly centered with the art experts, will expand its scope of relation in the form of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with non expert, related public officers, resident and experts in various areas. While the wide participation with non-expert group will intensify the controversy of the ‘scope’ of art, as long as the common target of the public and community is achieved successfully, it will not be much problematic. As for the expression method of public art, it will be performed in various methods such as online, connection between online and specific place and relatioin between community and online as well as specific places.

      • KCI등재

        열녀 생산 메커니즘에 대한 연암의 인식 -열녀에 관한 다섯 편의 산문을 중심으로-

        주미라 ( Mi Ra Ju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1

        이 논문은 연암이 열녀에 관해 쓴 다섯 편의 산문을 중심으로 열녀 생산 메커니즘에 대한 연암의 인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열녀의 생산 조건에 대한 연암의 인식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연암은 연암 당대 열녀가 확대재생산될 수밖에 없는 조건을 오랜 시간에 걸쳐 이루어졌던 지배층의 교화와 이에 봉사하는 담론, 그리고 여성들의 탈주체화된 욕망 실현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열녀 생산 메커니즘의 부작용과 그에 대한 연암의 진단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연암 당대 열녀가 확대재생산되고 그 결과 종사하는 여성들이 늘어난 현상에 대해 연암은 매우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현상은 연암이 보기에는 본말이전도된 기현상이다. 왜냐하면 여성들의 절행이나 열행이 남편에 대한 의를 지키겠다는 마음의 진성성에서 유발되기보다는 엄격한 사회적 시선과 선험적 규범에 의해 강요된 선택이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Yeonam`s five writings on virtual women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his awareness of the mechanism for producing virtuous women. His perception on in which conditions virtuous women could be produced was analyzed, and it`s found that he believed that the longterm enlightenment by the ruling parties, related discourses and the a-subjectif desires of women themselves made a contribution to producing lots of virtuous women in his contemporary age. And then the side effect of the mechanism for producing virtuous women and Yeonam`s view of it were discusse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temporary virtuous women, and he took a very dismal and critical view of it. In his perspective, that was a weird phenomenon that the cart was put before the horse, as contemporary women were almost forced by strict social standard and transcendental norms to become virtuous instead of authentically trying to keep their own chastity.

      • KCI등재

        문제해결형 탐구학습에 대한 인식과 학습이 실험 설계 능력에 미친 효과 : 과학 영재학생들에 대한 사례 연구

        주미나 ( Mi Na Ju ),김현주 ( Hyun Joo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2

        이 연구는 과학자의 연구과정을 반영한 문제해결형 탐구학습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고등학교 과학 영재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한 후, 문제해결형 탐구활동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활동 내용 및 수업의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부설 영재학급 1학년 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사전 실험설계능력 검사(DCT)를 한 후, ``주기가 일정한 흔들이 만들기``, ``표면성장 실험``, ``메트로놈의 동기화현상``의 세 모듈을 적용하여 수업을 하였고, 그 후 사후 실험설계능력 검사, 설문과 학생 면담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모듈은 과학적 의문의 생성,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한 실험설계, 문제 해결 활동과 같은 일련의 과정들로 이루어져 있어 이를 통해 학생들이 문제해결형 연구형태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조사 결과 학생들은 주어진 과정에 따라 기계적으로 하는 기존의 학교 수업과는 달리 자기주도적으로 실험을 설계하고, 해결 방안을 다양한 각도로 모색하여 직접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문제해결형 탐구활동과 기존 수업과의 차별성을 인식하였다. 수업 과정 중 학생들은 발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사고하고 실험을 설계 해 보고, 직접 실험을 수행하면서 마침내 처음에 발견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자의 연구과정의 한 형태를 경험할 수 있었으며, 문제해결형 연구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과학자의 연구과정에 대한 인식의 변화도 생겼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의 효과 면에서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체계적인 실험설계 능력의 향상, 현상의 원인에 대해 자유롭게 생각해 보고 의견을 발표하는 기회를 갖게 한 점 등에서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실험 설계 능력 사전 · 사후 검사 점수를 비교한 결과, 수업 후 대부분의 학생들은 실험설계 능력에 향상을 보였다. 기존의 따라 하기 식 실험에 익숙해져 있던 학생들은 처음에는 스스로 실험을 설계하는 데 다소 어려움을 느꼈지만 두 번째, 세 번째 수업을 하면서 체계적으로 실험을 설계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데에 조금씩 익숙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We developed problem-solving type inquiry learning programs reflecting scientists` research process and analyzed the activities of science-gifte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understanding and the effects of the programs after implementation in class. For this study, twelve science-gifted students in the 10th grad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ch consisted of three different modules - making a cycloidal pendulum, surface growth, and synchronization using metronomes. Diet Cola Test (DCT) was used to find out th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 design experiments by comparing pre/post scores, with a survey and an interview being conducted after the class. Each module consisted of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questioning the phenomenon scientifically, designing experiments to find solutions, and doing activities to solve the problems. These enable students to experience problem-solving type research process through the program class. According to this analysis, most students were likel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solving type inquiry learning programs reflecting the scientists` research process. According to the students,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is program class and existing school class. The differences are: ``explaining phenomenon scientifically,`` ``designing experiments for themselves,`` and ``repeating the experiments several times.`` During the class students have to think continuously, design several experiments, and carry them out to solve the problems they found at first. Then finally, they were able to solve the problems. While repeating this kind of activities they have been able to experience the scientists` research process. Also, they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scientists` research by understanding problem-solving type research process. These problem-solving type inquiry learning programs seem to hav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in designing experiments and offering the opportunity for critical argumentation on the causes of the phenomena. The results of comparing pre/post scores for DCT revealed that almost every student has improved his/her ability to design experiments. Students who were accustomed to following teacher`s instructions have had difficulty in designing the experiments for themselves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but gradually, they become used to doing it through the class and finally were able to do it systematically.

      • KCI등재

        행위지원형 공공미술을 활용한 자연감시기능강화

        주미옥(Ju Mi Ok) 한국셉테드학회 2015 한국셉테드학회지 Vol.6 No.2

        도시화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유형의 범죄가 늘어나고, 이는 시민의 기본적인 안위를 위협하는 심각한 요인이 되고 있다. 범죄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만드는 것은 경찰뿐만 아니라 개인과 공동체사회 전체가 부담해야 하는 과제이다. 범죄를 줄이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범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는 전문기관의 조직적이고 전문적 기술이 행해져야 함은 물론이고 시민들의 일상적인 삶에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요소를 도입하여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범죄예방에 필요한 물리적, 심리적 환경 개선을 위해 공동체의 노력과 기관의 공적 업무도 필요하지만, 이로 인해 개선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공동체의 ‘관심과 참여’이다. 셉테드 원리 중 ‘행위지원(Activity Support)’은 시민들의 일상적인 삶에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행동들을 지원한다. 공공미술을 활용한 행위지원을 통해 공동체의 공감ㆍ소통 시간을 자연스럽게 늘려 거리의 눈(Eyes on the Street)을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자연적 감시(Natural Surveillance)기능을 확대하는 것이다. As heavily populated mega cities have emerged since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late 19th century, the concept of “public” has become increasingly significant in the fields of space, urban and environmental design. Indeed, public or publicness has become such a significant measure that it has become enough to refer to the present as the “Public Age.” At times, the public has become a means to measure levels of welfare or social justice. In other instances, the public has been associated with public norms and order comprised of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components which form and move society in big cities, and are essential for keeping cities safe. There are theories that argue crime occurs when public norms and order are disturbed, and an increase in new types of crime accompanying urbanization has become a serious threat to the basic safety of citizens. The creation of a responsive and safe environment from crime is a task not only of the police, but also of individuals, institutions, and the entire community. The most effective means for supporting improvements in the physical and mental environment include securing community interests and participation or in CPTED terms, “activity support.”

      • SCIESCOPUSKCI등재

        가임기 여성에서 생리주기에 따른 여성호르몬의 변화와 대장 통과시간과의 관계

        주미순(Mi Soon Ju),정성애(Sung Ae Jung),유권(Kwon Yoo)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1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7 No.2

        N/A Background/Aims: The female sex hormones are thought to affect gastrointestinal function.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sex hormone and gastrointestinal function has not been identifi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ipation and hormonal changes in young women and to find the difference of colon transit time (CTT) across the menstrual cycle. Methods: Two hundred and fiv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CTT as well as serum estradiol and progesterone levels were measured in 15 regularly menstruating volunteers. Results: One hundred and six experienced changes in bowel habit across menstrual cycle. The mean estradiol concentration in the follicular phas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luteal phase (118.0 ±28.8 pg/Ml vs. 76.9 ±10.5 pg/Ml, p>0.05). The mean progesterone concentration in the luteal pha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follicular phase (3.0 ±0.9 ng/Ml vs. 1.2 ±0.4 ng/Ml, p <0.05). The mean CTT was not significantly delayed in the luteal phase than the time in the follicular phase (45 ±20 vs. 35 ±22 hours, p>0.05). However, CTT was delayed at the progesterone peak in 11 of 15 (73.3%) women. Conclusions: Our study suggested a possible role of female sex hormones as a cause of constipation in young women.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2001;7:216-224)

      • KCI등재후보

        학교영역 단계별 범죄예방 환경설계 전략

        주미옥(Ju Mi Ok),이창훈(Lee Chang Hun) 한국셉테드학회 2017 한국셉테드학회지 Vol.8 No.2

        아동 및 청소년은 신체적으로나 상황인지 측면에서나 방어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부모의 보호 하에서 벗어난 시간 동안은 모두 범죄피해에 노출되어 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에 따라, 국내 교육 실정 상,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고 있는 아동 및 청소년들의 학교 내 범죄 피해가능성은 여러 측면에서 논의가 되어 오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또래 집단 간의 학교 내 폭력에 집중해 오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 언론보도 및 통계에 따르면 그 어느 곳 보다 안전해야 할 학교에서 강도, 강간, 상해 및 폭행, 성추행, 흉기난동 등의 범죄가 다수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사건의 가해자 혹은 피해자가 아동 및 청소년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아동 및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범죄에 노출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반증이라고 하겠다. 안타깝게도, 실무적 관점에서 지금까지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연구들은 학교의 접근통제의 주요소인 출입구를 영역적 단계별 및 기능적 특성별로 구분하고 있지 못하며, 이에 따른 각 영역별 범죄예방 환경설계 지침을 제시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라는 물리적 공간에서 발생 할 수 있는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영역의 단계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범죄예방 환경설계의 관점에서, 학교 영역을 1~3단계 접근통제 영역(1단계 접근통제 영역: 교문 및 담장, 2단계 접근통제 영역: 학교건물 출입구, 3단계 접근통제 영역: 교실 및 기능실 출입구)으로 구분하였으며, 잠재적 범죄자가 무단출입을 하지 못하도록 각 영역에 필요한 중점 학교시설 범죄예방 대책과 설계 및 운영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Youths are vulnerable for their physical immaturity and psychological underdevelopment. It is reasonable to argue that they are at risk of crime victimization unless they are closely protected by their parents or teachers. Due to the fact that Korean students spend a significant portion of daily hours in school environments, a great number of studies has focused on school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to prevent school violence in and around schools. However, recent incidents showed that offenders had access into school territory and committed serious crimes with no difficulty. This indicates that school CPTED should more focus on access control and natural surveillance principles of CPTED. In this sense, this study investigated strategies and legal policies of school CPTED in Japan, U.S., and England. Based on results from case studies, this study differentiated three distinct school territories: The first territory means outer boundary including playgrounds and school buildings, The second territory means school buildings including classrooms and administration offices. The third territory means classrooms and administration offices. This study argued that specific and distinctive strategies for access control and natural surveillance should be developed for each territory. Based on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school CPTED manual.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