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층성장모형 분석을 활용한 노년층의 인지능력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 요인 분석

        조은하(Eunha Jo),·성지은(Jee Eun Sung),이영미(Youngmee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시간 흐름에 따른 노년층의 인지기능의 변화를 살펴보고, 사회인구학적 요인, 신체적 · 정신적인 건강상태 요인, 청력 요인, 사회적인 접촉 요인과 같은 다차원적인 요인들이 노년층의 인지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006년부터 2018년까지의 7번에 걸쳐 반복 측정된 만 60세 이상 노년층 992명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다층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노년층의 인지기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기능의 초기치는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경제상태가 나쁠수록 인지기능이 낮게 나타났으며, 인지기능의 변화율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셋째, 각 시점에서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청력상태가 나쁠수록 인지기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우울수준과 주관적 청력상태의 영향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청력상태가 나쁠수록 인지기능 감퇴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으며, 우울증상과 청력저하의 발생 초기에 인지기능 감퇴가 크게 나타나므로 인지기능 감퇴를 예방하기 위해 우울증상과 청력저하를 조기에 선별하고 적절한 중재를 실시할 필요가 있겠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i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over time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cognitive decline by dividing them into multidimensional factors such as socio-demographic factors, physical and mental health factors, hearing factors, and social contact factor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A multilevel growth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on 992 elderly people aged 60 or older who had been measured repeatedly seven times from 2006 to 2018. Result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decreased linearly over the years. Second, the initial status of cognitive function decreased as the age increased and as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condition decreased. The change rate of the cognitive function increased as education level increased. Third, at each time point, depression level had a negative effect on cognitive function, and subjective hearing condi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cognitive function. These influences decreased over time. Conclusion: The lower the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depression level; and the worse the subjective hearing condition, the more likely the elderly are to experience cognitive decline. Because the impact on cognitive function is large in the early stages of depression and hearing loss, it is necessary to detect them early and to make appropriate intervention to prevent cognitive decline.

      • KCI등재
      • 티백의 손상에 따른 미세플라스틱의 유출경향

        김시온 ( Kim Sion ),조은하 ( Jo Eunha ),최수훈 ( Choi Soohoon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In the current research, various conditions were evaluated to understand the release of fibrous microplastics and organic leachate from teabags. Six commercial teabags composed of 4 different plastic materials were tested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fiber damages, and water contact times. The main object of the research was to verify the amount of microplastics or organic leachate that may occur in tea consumed in our every day lives. The main focus was to verify the fibrous microplastic release and organic leachate of teabags under different damages. Damages of 1 ~ 10 cm were conducted on the teabags and submerged in glass vials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The teabags were cut with steal scissors of different degrees and the tea leaves were removed. Empty teabags were washed with deionized (DI) water for three trials before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ree empty teabags were submerged in every glass vial and submerged under constant temperatures in a water bath. the water bath contained a shaker where the samples were shaked during each trial. After being submerged in the water bath, the water from the teabags were filtered through a cellulous acetate membrane filter with pore sizes of 1 μm. Each filter was rinsed thoroughly and filtered with DI water before filtrations of the teabag samples. Filtered fibrous microplastics were count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Residual microplastics in the filtered water were analyzed with a TOC anayzer, dynamic light scattering analyzer, and SEM imaging. Results showed a logametric increase for both fibrous microplastic release and organic leachate with the increase of the damage inflicted on the teabags. Samples under higher temperatures also showed a higher release of the fibrous microplastics and leached TOC matter. The time for which the damaged teabags were submerged under water also showed a strong correlation with plastic release and TOC leaching. The hydraulic size of the filtered microplastics were in the size range of 1 nm to 2.4 μm. SEM resulted also showed similar sizes of microplastics with EDX results indicating the fibers as polymeric matters. The type of teabags and its assembly method also indicated a degree of influence in the release and leachate of the teabags. The current research has showed the amount of potential mircroplastic consumption via tea consumption.

      • KCI등재

        The Efficacy of Telepractice Intervention for Children & Adolescents with Speech, Language & Hearing Impairments: a Meta-Analysis

        정상임(Sang-Im Jung),임성희(Sunghee Lim),조은하(Eunha Jo),심현섭(Hyun Sub Sim),성지은(Jee Eun Sung),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4

        배경 및 목적: 원격치료(telepractice)란 텔레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사용하여 원거리에서 전문적인 평가, 중재 및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앞으로 원격치료는 더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하여 아동 대상의 원격치료의 효과를 대면치료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9개의 국내외 데이터베이스(Academic Search Complete, Google Scholar, PsycINFO, Eric, PubMed, CINAHL PLUS, RISS, DBpia)를 통해 선정한 총 10편의 문헌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Hedges’ g를 사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결과: 원격치료와 대면치료의 중재 효과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장애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청각장애와 자폐범주성장애의 경우 대면치료와 원격치료의 중재 효과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조음장애의 경우 원격치료에 비해 대면치료의 중재 효과가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부모나 교사의 교육을 통한 간접치료의 경우에는 두 치료 방식의 중재 효과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직접치료의 경우에는 대면치료의 중재 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논의 및 결론: 전체 분석의 결과에서는 대면치료의 효과가 약간 우세하였으나, 그 효과크기가 미미하였고, 장애 유형 및 치료유형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는 치료대상자 특성과 치료유형에 따라 원격치료와 대면치료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원격치료 또는 대면치료를 선택할 때, 대상자의 장애군과 치료유형에 대한 고려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elepractice is the remote delivery of speech and language services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No meta-analysis has investigated the topic of treati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peech, language and hearing impairments via telepractice using a direct comparison of telepractice with face-to-face-service delivery. 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is to estimate the efficacy of telepractice in the treatment of speech, language & hearing impairment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10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ve criteria were selected from 9 electronic databases (Academic Search Complete, PsycINFO, Eric, PubMed, CINAHL PLUS, Google Scholar, RISS, DBpia, Kyobo Scholar).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was carried out using meta-analysis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2).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using Hedges’ g. Results: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mean effect sizes between telepractice and FTF intervention according to disorder types reveal that the intervention effect of FTF intervention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elepractice in speech sound disorders. Whereas in hearing impairments and AS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ention effect of telepractice and that of FTF intervention. Also,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mean effect sizes according to treatment types reveal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vention effects of telepractice and FTF intervention in indirect treatment. Conclusion: When selecting a treatment method between telepractice and FTF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meta-analysis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such as age, type of speech-language disorders, severity of disorders and cognitive ability including attention should be considered comprehensively.

      • KCI등재

        의미자질(SFA) 중재가 주관적 기억장애 노년층의 유명장소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상은(Sang Eun Lee),성지은(Jee Eun Sung),조은하(Eunha Jo)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2

        배경 및 목적: 기억저하(memory decline) 등 인지 기능의 변화를 호소하는 노년층이 겪는 대표적인 언어적 어려움을 고유명사 이름대기(proper noun naming)로 설정하고 언어 중재를 적용한 후 중재 명사 이름대기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와 비중재 명사 및 표준화검사로의 일반화 효과를 규명하였다. 방법: 주관적으로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지만 객관적인 인지 기능에서 정상 범주의 수행을 보이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 26명을 선정하였다. 11명의 중재집단과 15명의 통제집단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고유명사 이름대기 중재는 대상자와 1:1로 1회기 60분 동안 16회기에 걸쳐 이루어졌다. 의미자질분석 중재를 기반으로 총 9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이름대기 수행을 촉진하기 위하여 시각적 자극, 의미범주, 의미자질 분석, 지리적 위치, 음운 · 철자 단서 등의 요소를 적용하였다. 결과: 유명장소 이름대기 중재 명사의 수행력에 대한 중재 전 · 후 및 집단 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유명장소 이름대기 비중재 명사의 수행력에 대한 중재 전 · 후 및 집단 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중재집단과 통제집단 간 보스턴이름대기검사 점수를 비교한 결과, 표준화 이름대기 검사로의 일반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의미자질 중재(SFA)가 목표 고유명사의 의미자질 산출을 촉진하고 중재 명사뿐만 아니라 중재 명사와 의미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비중재 명사의 의미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mantic Feature Analysis (SFA)-plus treatment on landmark naming difficulties of the elderly with subject memory impairment (SMI). Methods: Twenty-six Korean individuals aged 60 or older with SMI participated in this study, eleven participants were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fifteen individuals who matched their age and years of education made up the control group. The landmark naming intervention consisted of a total of 9 steps based on SFA, presenting photo stimuli of famous places in Korean or abroad. The intervention used in this study was performed 1:1 with the subject for 60 minutes per session with 16 sessions. Visual stimulation, semantic categories, and semantic features such as geographic location, were applied to promote the performance of naming. The researcher provided tasks and clues to facilitate activation of the semantic and phonological information of landmark names. Results: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performance of the trained and untrained place proper names among the intervention group. There was no generalization effect of the object naming.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the naming treatment using place names was effective in activating the semantic network, facilitating phonological information output, and enhancing landmark naming abilities in people with subjective memory decline.

      • KCI등재

        연결 발화에서 나타난 경도인지장애군의 언어적 특징 분석

        최수진,조은하,성지은,정지향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linguistic analysis using connected speech samples and to identify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at can differentiate the MCI group from the normal elderly. Method: A total of 20 (MCI 10 vs. Normal control 10)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administered a picture description task to obtain the connected speech samples in both groups. Results: Speech fluency analysis showed that the MCI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ratio of non-fluency types, such as interjection and revision, than the normal elderl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ios of lexical-syntactic and semantic domains between the MCI and normal elderly groups. Conclusion: The MCI group used more compensatory strategies to make up for their cognitive and linguistic deficits than the normal ag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dentifying a linguistic analysis tool that can differentiate the MCI group from the normal elderly.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집단과 정상 노년층을 대상으로 그림 설명하기 과제를 사용하여 연결 발화를 수집하고, MCI 집단의 언어적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총 20명(MCI 10명, 정상 노년층 10명)의 대상자가 참여하였다. 연결 발화 샘플을 수집하기 위하여 그림 설명하기 과제를 실시하고, 수집된 발화를 모두 전사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발화 유창성 분석 결과, MCI 집단은 간투사, 수정의 비유창성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에 반복의 비율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어휘-통사적 분석 결과,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의미적 분석 결과에서도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MCI 집단을 정상 노년층으로부터 선별해낼 수 있는 언어적 분석 기준을 마련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