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인도의 염소방목지역 식물상과 식생변화-전라남도 진도군 명도를 중심으로-

        김하송 ( Kim Ha-song ),조영준 ( Cho Yeong-jun ),송형철 ( Song Hyung-cheol ),송도진 ( Song Do-jin ),이지희 ( Lee Ji-hee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3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위치한 명도의 식물상과 식생조사를 2017년 5월부터 9월까지 총 3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41과 76속 75종 1아종 13변종 총 89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식물 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Ⅲ등급 5분류군, Ⅱ등급 1분류군, Ⅰ등급 15분류군으로 총 2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율은 3.41%이었으며, 도시화지수는 0.93%로 산출되었다. 명도에서 조사된 주요식물로서는 홍도서털취(Saussurea polylepis Nakai)와 국내미기록종인 Veronica sieboldiana Miq(牧野, 1979)이다. Veronica sieboldiana(신칭:갯꼬리풀)은 2017년 4월 전라남도 진도군 명도(무인도) 주변에서 확인하였다. 본 종은 근연 분류군과 비교하여 국명은 해안 암벽 뜸새에서 자라고 있기 때문에 “갯꼬리풀”로 명명하였으며, 주요 분류군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명도의 주요 식물군락은 목본으로는 곰솔군락, 까마귀쪽나무-동백나무군락, 누리장나무군락, 돌가시나무군락이 자생하였고, 초본으로는 사철쑥군락, 이대군락, 억새군락, 밀사초군락 등이 나타났다. 명도의 식생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식생군락은 밀사초군락으로 총 37.86%, 15,632.1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다음으로 억새군락이 2.59%, 까마귀쪽나무-동백나무군락이 2.02%로 조사되었다. 향후 염소퇴치 사업에 따른 생태계 복원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식생변화에 대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함으로서 무인도서 생태계복원에 대한 과학적 기초자료를 축척할 필요가 있다. 첫째, 명도에서 방목염소 퇴치후, 과거 염소들의 주요 휴식처인 남사면의 누리장나무군락지역으로 이곳은 바람이 적고, 햇볕과 그늘이 차단되어 염소들의 간섭이 심하게 일어난 지역이지만, 빠르게 자연식생이 회복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둘째, 도서지역 염소방목지역의 주요 식생교란 현상으로 일정기간 초본식생의 단순화가 나타나고 있는데 염소가 접근 가능한 지역에서는 암벽식생의 단순화가 나타나고, 부분적으로 식생 훼손에 따른 토양유실과 암반노출이 확산되고 있는데, 토양유실을 방지하고, 자연식생회복을 유도하기 위하여 유실토양주변을 중심으로 황마를 덮고, 호우시 토양유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적극적인 복원대책이 필요하다. 셋째, 명도에서는 식물지리학적 특성을 갖는 난온대성 식생인 까마귀쪽나무-동백나무군락이 작은 면적이지만, 안정적으로 자생하고 있어서 중요한 생태적인 정보를 갖고 있다. 과거 방목된 염소로 인하여 하층식생인 관목층과 초본층에서 식생교란이 일어난 지역이지만, 군락내의 종구성의 자연적인 식생변화가 예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vestigate the flora and main vegetation change of the goats grazing land in the uninhabited island, Myeongdo.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June to September 2017.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89 taxa including 41 families, 76 genera, 75 species, 1 subspecies, 13 varieties. 21 taxa were listed as specific plants based on phytogeographical distribution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exotic plant species were recorded as 3 taxa. The Naturalization Ratio and Urbanization Index were recorede as 3.41%, and 0.93%. Carex boottiana community accounted for the biggest among all the communities in Myeongdo with 37.86% or 15,632.14㎡. It was followed by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with 2.59%, Litsea japonica-Camellia japonica community with 2.02%. The importance plants are Saussurea polylepis and Veronica sieboldiana based on distribution in the investigated area. This is a report of an unrecorded species of Veronica from Korea, Veronica sieboldiana (Miq), found in Myeongdo, Jindo-gun, Jeollanam-do. the species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Veronica species by trichomes that leaves slightly dilated and clasping at base; inflorescence and young branches with long-spreading multicellular hairs. The species was named after its findspot and is hence called “Gaet-ggoripul.” An illustration and key to the taxa related to Veronica are provided.

      • KCI등재후보

        무인도 방목염소 제거에 따른 생태복원 모니터링 : 전라남도 신안군 매물도를 중심으로

        김하송(Ha-Song Kim),조영준(Yeong-Jun Cho),안동순(Dong-Sun Ahn),송도진(Do-Jin Song),노형수(Hyung-Soo Noh)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2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영산리에 위치한 무인도인 매물도에서 방목염소 제거에 따른 생태복원 위하여 1차(2016년), 2차(2018년), 3차(2021년)에 걸쳐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40과 75속 80종 1아종 11변종으로 총 9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조사된 식물 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Ⅴ등급 2분류군, Ⅲ등급 5분류군, Ⅰ등급 15분류군으로 총 22개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율은 11.9%이었으며, 도시화지수는 3.4%로 산출되었다. 매물도의 주요 식물군락은 목본으로는 후박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까마귀쪽나무군락, 팽나무-까마귀쪽나무군락이 자생하였고, 초본으로는 고사리군락, 억새-사철쑥군락, 강아지풀군락, 강아지풀-갯장구채군락, 사철쑥군락, 암벽식생, 망초군락, 강아지풀-사철쑥군락 등이 나타났다. 매물도의 산림식생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식생군락은 까마귀쪽나무군락으로 총 20.51%, 27,463.79㎡를 차지하고, 암벽식생이 11.93%, 강아지풀-갯장구채군락이 10.20% 로 조사되었다. 무인도 방목염소 퇴치 후, 식물상 변화를 모니터링 한 결과 2016년 조사에서는 미국자리공군락으로 나타났지만, 미국자리공을 인위적으로 제거하면서, 주요군락이 강아지풀군락과 갯장구채군락으로 군락변화가 나타났다. 각 고정방형구별 출현종수는 2016년 13종, 2018년 19종 (6월), 21종(9월), 2021년에는 25종으로 점점 증가하였다. 이러한 식물상 변화는 방목염소 퇴치사업에 따른 훼손지 식생복원과 지속적인 복원관리가 이루어지면서 식생대 변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방목염소 퇴치 후 주요 식생변화는 첫째, 훼손지역의 후박나무군락에서 빠르게 자연식생이 회복되고 있었다. 후박나무군락의 맹아줄기 변화, 맹아줄기 성장 변화, 맹아줄기 개체수 등의 식생변화는 방목염소들의 먹이 활동으로 인한 후박나무 생육 피해가 중단되면서 정상적인 식생회복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방목염소 퇴치 전, 초본식생의 단순화가 나타나면서 생태계 교란이 나타났다. 방목염소 퇴치 후, 교란지역을 중심으로 외래식물 제거와 인위적인 자생식물 식재, 이식한 묘목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주요 초본식생 분포비율(%)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과거 방목된 염소로 인하여 산림식생의 하층부인 관목층과 초본층에서 염소들의 휴식공간, 서식공간으로 이용되면서 많은 식생교란이 나타난 상록활엽수림의 하층에서는 후박나무, 산뽕나무, 갯기름나물, 송악, 댕댕이덩굴, 왕모시풀, 큰천남성, 닭의장풀, 노랑하늘타리, 밀사초 등이 나타나면서, 군락내에 종구성은 계속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1st (2016), 2nd (2018), and 3rd rounds (2021) were monitored for ecological restoration following the removal of grazing goats on Maemuldo, an uninhabited island located in Yeongsan-ri, Heuksan-myeon, Sinan-gun, Jeollanam-do. As a result, vascular plants were identified with 40 families, 75 genera, 80 species, 1 subspecies, 11 varieties, and a total of 92 taxa. Among the investigated plants, a total of 22 taxa were identified as specific plant species in the phytogenetology: Class V 2 taxa, Class III 5 taxa, and Class I 15 taxa. For naturalized plants, 11 taxa were identified. The naturalization rate was 11.9%, and the urbanization index was calculated as 3.4%. The main plant communities of Maemuldo were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Camellia japonica community, Litsea japonica community, and Celtis sinensis-Litsea japonica community.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community,Miscanthus sinensis - Artemisia capillaris community, Setaria viridis community, Setaria viridis-Silene aprica var. oldhamiana community, Artemisia capillaris community, rocky vegetation, Conyza canadensis community, Setaria viridis -Artemisia capillaris community appeared. Among the forest vegetation of Maemuldo, the vegetation community that occupies the widest area is the Litsea japonica community, which occupies a total of 20.51%, 27,463.79㎡, 11.93% of the rocky vegetation, and 10.20% of the Setaria viridis-Silene aprica var. oldhamiana community.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change of flora after extermination of goats grazing on uninhabited islands, in the 2016 survey, it was found to be an Phytolacca americana community, but as the Phytolacca americana community was artificially removed, the major colonies were changed to Setaria viridis community and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community. The number of species that appeared in each fixed rectangle gradually increased to 13 species in 2016, 19 species (June), 21 species (September) in 2018, and 25 species in 2021. The change of vegetation was progressing as the vegetation restoration of damaged areas and continuous restoration management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grazing goat extermination project. The major vegetation change after the extermination of grazing goats was first, that the natural vegetation was rapidly recovering in the locust community in the damaged area. Vegetation changes such as sprouting stem changes, sprouting stem growth changes, and sprouting stem populations of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goat colony are considered to be in progress as normal vegetation recovery is in progress as damage to the growth of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Second, before the extermination of grazing goats, the simplification of herbaceous vegetation appeared, causing ecosystem disturbance. After extermination of grazing goats, as the removal of alien plants, artificial planting of native plants, and management of transplanted seedlings were continuously carried out centered on disturbed areas, changes in the distribution ratio (%) of major herbaceous vegetation were observed. Third, in the lower layer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where many vegetation disturbances occurred as it was used as a resting space and habitat for goats in the shrub layer and herbaceous layer, which are the lower layers of forest vegetation due to past-grazing goats, As Machilus thunbergii, Morus bombycis, Peucedanum japonicum, Hedera rhombea, Cocculus trilobus, Boehmeria pannosa, Arisaema ringens, Commelina communis, Trichosanthes kirilowii var. japonica, Carex wahuensis var. robusta, etc. appeared, the species composition within the community is expected to change continuously.

      • KCI등재

        무인도 방목염소 제거에 따른 식물상과 식생변화 모니터링 -전라남도 신안군 매물도를 중심으로-

        김하송 ( Kim Ha-song ),조영준 ( Cho Yeong-jun ),송형철 ( Song Hyung-cheol ),송도진 ( Song Do-jin ),이지희 ( Lee Ji-hee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3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영산리에 위치한 매물도의 식물상과 식생조사를 2016년 6월부터 9월까지, 2018년 6월부터 9월까지 총 6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39과 71속 73종 11변종 1품종으로 총 85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식물 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Ⅴ등급 1분류군, Ⅲ등급 4분류군, Ⅰ등급 14분류군으로 총 19개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율은 12.9%이었으며, 도시화지수는 3.4%로 산출되었다. 매물도의 주요 식물군락은 목본으로는 후박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까마귀쪽나무군락, 팽나무-까마귀쪽나무군락이 자생하였고, 초본으로는 고사리군락, 억새-사철쑥군락, 명아주군락, 유채-갯장구채군락, 갯장구채군락, 암벽식생, 망초군락, 강아지풀군락 등이 나타났다. 매물도의 산림식생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식생군락은 까마귀쪽나무군락으로 총 20.21%, 27,040.6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다음으로 암벽식생이 13.53%, 유채-갯장구채군락이 12.50%로 조사되었다. 후박나무 맹아지 생장에서 2018년 후박나무 맹아 직경은 6월에는 평균 17.6mm였고, 9월에는 평균 28.7mm로 3개월동안 평균 11.1mm가 직경이 증가하였다. 후박나무 맹아 지상부길이변화는 6월달에는 평균 167.0cm였고, 9월달에는 평균 209.0mm로 3개월동안 평균 42.0cm가 증가하였다. 후박나무 맹아지 개체수는 평균 29.0개였고, 9월달에는 36.0개로 평균 7.0개가 증가하였다. 과거 방목염소들에 의하여 훼손된 지역을 중심으로 염소퇴치 후, 식물상 변화를 모니터링 한 결과 2016년 조사에서는 미국자리공군락으로 나타났지만, 미국자리공을 인위적으로 제거하면서, 주요군락이 강아지풀군락과 갯장구채군락으로 변화하였다. 매물도에서는 이 지역을 중심으로 2016년 조사에서는 명아주군락, 유채-갯장구채군락, 망초군락 등이 군락을 이루고, 2018년 조사에서는 강아지풀군락, 망초군락, 갯장구채군락, 억새-사철쑥군락, 명아주군락 등이 나타나면서 군락 분포변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과거 방목된 염소로 인하여 하층식생인 관목층과 초본층에서 식생교란이 일어난 지역이지만, 현재는 관목층에 후박나무, 왕후박나무, 산뽕나무, 초본층에 송악, 미국자리공, 왕모시풀, 노랑하늘타리, 왕후박 등이 구성종으로 나타난 상태이며, 과거 방목염소의 활동지역인 그늘진 상록활엽수림의 하층에서는 이고들빼기, 쇠무릅, 배풍등, 갯기름나물, 송악, 갯장구채, 해국, 포아풀, 소리쟁이, 방가지똥, 망초, 사철쑥, 주름조개풀, 염주괴불주머니 등이 확산되면서, 향후, 이들 군락내에 종구성의 변화가 예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vestigate the flora and main vegetation change of the goats’ grazing land on the uninhabited island, Maemuldo.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June to September 2016, and from June to September 2018.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87 taxa including 39 families, 71 genera, 75 species, 11 varieties and 1 forms. 19 taxa were listed as specific plants based on phytogeographical distribution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exotic plant species were recorded as 11 taxa. The Naturalization Ratio and Urbanization Index were recoreded as 12.6%, and 3.4%. The Litsea japonica community accounted for the biggest among all the forest communities in Maemuldo with 20.21% or 27,040.65㎡. It was followed by the Rock vegetation community with 13.55%, and then the Brassica napus-Melandryum oldhamianum community with 12.50%. In 2018, the average diameter of Machilus thunbergii S. et Z. was 17.6mm in June and 28.7mm in September, and the average diameter increased 11.1mm for 3 months. The height above ground of Machilus thunbergii was 167.0cm in June and 209.0mm in September, which showed an average increase of 42.0cm over 3 months. The change of Machilus thunbergii population was 29.0 in September and 36.0 in September.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vegetation change after chlorine eradication in the area damaged by pasture chlorine, the result of 2016 survey showed Phytolacca americana community, but the main community changed into a Setaria viridis community and a Melandryum oldhamianum community while artificially removing the Phytolacca americana community. In 2016, there were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communities, a Brassica napus-Melandryum oldhamianum community, and a Erigeron canadensis community, etc. in the surveyed area; and a Setaria viridis community, a Erigeron canadensis community, a Melandryum oldhamianum community, a Miscanthus sinensis-Artemisia capillaris community, a Chenopodium album community, etc. appeared in the survey in 2018. The vegetation disturbance occurred in the shrub and herbaceous layer as the lower layer vegetation due to the past grazing chlorine. However, the present vegetation appears as Machilus thunbergii, Machilus thunbergii var. obovata, Morus bombycis in the shrub layer; Hedera rhombea, Phytolacca americana, Boehmeria pannosa, Trichosanthes kirilowii, Machilus thunbergii var. obovata in the herb layer; and Youngia denticulata, Achyranthes japonica, Solanum lyratum, Peucedanum japonicum, Hedera rhombea, Melandryum oldhamianum, Aster spathulifolius, Poa sphondylodes, Rumex crispus, Sonchus oleraceus, Erigeron canadensis, Artemisia capillaris, Oplismenus undulatifolius, Corydalis heterocarpa were spread in the lower layer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Changes in composition of species within the community are ex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