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uman Neuroblastoma Cell Line BE2에 대한 건비보신항암탕(健脾補腎抗癌湯)의 세포고사 기전 연구

        조영기,문미현,이성균,정현애,이정섭,남상규,문구,신선호,김동웅,Cho, Young-Kee,Moon, Mi-Hyun,Lee, Seong-Kyun,Jeong, Hyun-Ae,Lee, Jung-Sub,Nam, Sang-Kyu,Moon, Goo,Shin, Sun-Ho,Kim, Dong-Woung 대한한방내과학회 2006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7 No.3

        Objective: In order to investigate cell death mechanisms by Gunbibosinhangam-Tang(G.B.H) in cancer cells, the activities of apoptosis signaling pathway were tested in human neuroblastoma cell line BE2. Methods: Viability of BE2 cells was markedly decreased by treatment of the water extract of G.B.H in a dose-dependent manner. G.B.H-induced cell death was confirmed as apoptosis characterized by chromatin condensation, We tested whether the water extract of G.B.H affects the anti-apoptotic proteins such as Bcl-$X_L$ Results: Bcl-$X_L$ was uneffected by the addition of the water extract of G.B.H in a time-dependent manner. Cleavage of PARP(poly-ADP-ribose polymerase) by activation of caspase-8 protease was also observed in BE2 cells by the treatment of the water extract of G.B.H.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ater extract of G.B.H exerts anti-cancer effects on human neuroblastoma BE2 cells by inducing the apoptotic death via activation of intrinsic caspase cascades.

      • KCI등재

        자금정(紫金錠)이 간암세포주 HepG2의 세포고사 및 세포주기에 미치는 영향

        조영기,전지영,신용진,설재균,이재화,원진희,문구,Cho, Young-Kee,Jeon, Ji-Young,Shin, Yong-Jeen,Seol, Jae-Kyun,Rhee, Jae-Hwa,Won, Jin-Hee,Moon, Goo 대한한방내과학회 2007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8 No.4

        Objectives : Jageum-Jung is used as an anti-cancer agent in oriental medicine, but the mechanism by which it induces cell death in cancer cells is still unc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ageum-Jung on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in HepG2 hepatoma cells. Methods : Various cancer cell lines including HepG2, C6 glioma, SH-SY5Y, PANC-1, and MCF-7 cells, were used. Apoptosis was determined by DAPI nuclei staining and flow cytometry in HepG2 cells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from 25 to 200 ${\mu}g/ml$) of $H_2O$ extract of Jageum-Jung (JGJ) for 48 hrs. Expression of cell cycle arrest mediators including Rb, p53, p21, cyclin B1, cdk4, and cyclin E proteins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To estimate intracellular hydrogen peroxide levels and intracellular nitric oxide levels, HepG2 cells were stained with DCFH-DA dye and DAF dye, subjected on flow cytometric analysis. Results : 1. Jageum-Jung decreased the viability of HepG2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2. Jageum-Jung induced the catalytic activation of caspase-3 in HepG2 cells. 3. Jageum-Jung increased the intracellular hydrogen peroxide and NO in HepG2 cells. 4. Jageum-Jung increased the expression of Rb, p53 and p21 in HepG2 cells. 5. Jageum-Jung induced the expression of cyclin B1, cdk4, and cyclin E in HepG2 cells. Conclusions : Taken together, we suggest that Jageum-Jung exhibits cytotoxic effects on HepG2 cells, causing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The results showed that Jageum-Jung may do so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specific target molecules that promote efficient apoptotic cell death following $G_2$/M phase arrest in a dose-dependent manner.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재론과 수학적 허구주의 : 리어(J. Lear)의 해석을 중심으로

        조영기(Cho, Young Kee) 韓國西洋古典學會 2011 西洋古典學硏究 Vol.45 No.-

        이 논문의 목적은 리어(J. Lear)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수학철학에 대한 허구주의적 해석을 살펴봄으로써, 허구주의적 해석 일반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드러내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수학철학에서 서로 양립할 수 없어 보이는 다음의 두 주장을 펼친다. 즉, (i) 수학적 대상들은 감각적 대상들로부터 추상된 것이며 감각적 대상들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ii) 수학적 대상들은 감각적 대상들 안에 있지 않으며 질료로서만 존재한다. 리어에 따르면, 우리가 감각적 대상들로부터 추상하는 것은 점, 직선, 원 등과 같은 기하학적 대상을 구성하는 기본적 요소들뿐이며, 이 요소들을 결합하여 기하학적 대상들을 구성한다. 리어의 해석은 정확성의 문제를 피하면서 (i)과 (ii)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기하학적 대상을 아리스토텔레스의 존재론 안에서 허구적 존재자로 만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리어는 기하학적 도형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감각적 대상으로부터 추상되었기 때문에, 기하학적 대상은 실재 세계와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수학적 허구주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적 실재론과 양립할 수 없으며, 만일 수학적 대상이 허구적이라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진리론 안에서 어떻게 수학이 참인지 설명할 방법이 없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eal problems that fictionalist interpretations of Aristotle’s view of mathematics raise by examining Lear’s interpretation of Aristotle. Aristotle makes seemingly incompatible claims in his philosophy of philosophy of mathematics: (i) that mathematical objects are abstracted and not separable from sensible objects and (ii) that they are not in sensible objects but exist only as matter. According to Lear, what we abstract from sensible objects are only basic elements of geometrical figures, such as points, lines, and circles; a geometrical figure is constructed out of these elements. While Lear’s interpretation can accommodate both (i) and (ii) with sidestepping the precision problem, it runs into, among others, the problem that it turns mathematical objects into fictional entities in Aristotle’s ontology. Although Lear insists that a geometrical figure constructed out of elements abstracted from sensible objects has a link with reality, mathematical fictionalism is not compatible with Aristotle’s scientific realism, and that there is no way to explain mathematical truth in terms of Aristotle’s own theory of truth if mathematical objects are fictional.

      • KCI등재후보

        아리스토텔레스의 수론에 대한 허구주의적 해석

        조영기(Cho Young Kee)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서강인문논총 Vol.0 No.27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해석들은 아리스토텔레스가 기하학과 달리 산술에 대해서는 자신의 과학적 실재론을 유지할 수 있다고 여겼다. 하지만 이와 같은 실재론적 해석은 몇 가지 난점들을 갖고 있다. 첫째, 아리스토텔레스는 기하학이 산술에 우선하며, 산술의 기초가 된다고 생각했다. 둘째, 그는 수학적 대상은 현실태가 아닌 질료로서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그는 산술의 수를 감각적 수와 구별한다. 후자는 사람, 소와 같은 구체적인 단위들의 속성이지만, 전자를 구성하는 단위는 추상적인 기하학적 선분들이다. 기하학적 선분들은 같은 길이를 가졌다는 속성만을 지니므로 산술의 수의 단위는 가장 정확하며, 다른 수들의 단위는 산술의 수의 그것을 모방하는 데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기하학적 대상이 허구적인 한, 기하학적 대상들인 선분들로 구성된 산술의 수 역시 허구적이다. Most commentators have thought that it is easier for Aristotle to hold a realistic theory of number than it is for him to espouse realism in geometry. In my view, however, this is highly misleading: First, it presumes an incorrect relationship of priority between the branches of mathematics for Aristotle, given that Aristotle founded arithmetic on the basis of geometry. Secondly, Aristotle consistently holds that mathematical objects, whether geometrical figures or arithmetical numbers, do not exist as actual beings. More importantly, he distinguishes arithmetical number from sensible number; while the latter is composed of sensible unities such as cows or men, the former’s unities take the form of abstract geometrical line lengths. Further, since line lengths only have the property of being the same certain length, “arithmetical number is most exact, and other numbers just imitate the arithmetical number.” It then follows that because arithmetical numbers are consequent on geometrical lines composed of line lengths, numbers are fictional to the same extent as geometrical entities are also so.

      • KCI등재

        지성적 질료와 수학적 대상의 존재론적 지위

        조영기 ( Cho¸ Young-kee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1 가톨릭철학 Vol.0 No.17

        수학적 대상은 감각적 대상으로부터 추상에 의해 분리된 것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은 수학적 소박 실재론을 함축한다. 그의 추상 이론에 따르면, 감각적 대상으로부터 추상에 의해 분리되는 것은 감각적 대상의 속성들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수학적 소박 실재론의 문제점은 모든 수학적 대상을 감각적 대상으로부터 추상을 통해 획득할 수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기하학적 대상들은 감각적 세계 안에 물리적으로 예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이 수학적 소박 실재론이 안고 있는 소위 “정확성의 문제”이다. 정확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이후에 자신의 소박 실재론적 입장과 대치되는 다른 주장을 하게 된다. 즉, 그는 수학적 대상은 감각적 대상 안에 존재하지 않으며, 오직 질료로서만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보편적으로 이 주장은 오직 수학적 질료만이 감각적 대상 안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 이 해석에 따르면, 수학적 질료인 순수연장은 추상을 통해 감각적 대상으로부터 획득되며, 이 순수 연장 위에 우리의 지성이 기하학적 형상을 부여해 기하학적 대상이 구성된다. 이 해석의 장점은 정확성의 문제를 피하면서도 수학적 대상이 추상을 통해 감각적 대상으로부터 획득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해석의 문제점은 수학적 대상을 허구적인 것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수학적 허구주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적 실재론과 어긋나며, 그의 실재론적 진리론의 틀 안에서 어떻게 수학이 참일 수 있는지 설명할 수 없다. Aristotle’s claim that mathematical objects are obtained from sensible objects by means of abstraction implies a mathematical naïve realism, because things separated from sensible objects by abstraction are properties of sensible objects. But the difficulty with this mathematical naïve realism is that, since most geometrical objects do not have physical instantiations in the sensible world, things abstracted from sensible objects cannot supply all the necessary objects of mathematics. This is the so called ‘precision problem.’ Faced with the precision problem, Aristotle later makes the different claim that mathematical objects are not in sensible objects and exist only as matter. The most influential interpretation of this claim is that only the matter of mathematical objects exists in sensible things. This view identifies pure extension with the matter of mathematical objects. In this view, we abstract only pure extension from sensible objects, constructing geometrical objects through our intellect’s imposing forms on this extension. This view has the merit of avoiding the precision problem, while accommodating Aristotle’s thesis that mathematical objects are obtained from sensible objects by abstraction. The problem of this view, however, is that it turns mathematical objects into fictional entities. And it is hard to see how mathematical fictionalism can be squared with Aristotle’s scientific realism; given the realism of his theory of truth, mathematics cannot be true if mathematical objects do not exist.

      • KCI등재

        수학적 대상과 존재의 양태로서 가능태

        조영기(Cho, Young Kee)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5 철학탐구 Vol.38 No.-

        이 논문의 목적은 수학적 대상을 일종의 가능태적 대상으로 여김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의 수학철학에 대한 소박실재론적 해석과 허구주의적 해석이 안고 있는 난점들을 피해 그의 실재론적 형이상학과 양립할 수 있는 해석을 제공할 수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서 존재자는 현실태뿐만 아니라 가능태로도 존재한다. 따라서 수학적 대상이 가능태로서 존재한다는 것을 보이면, 실재론적 해석이 안고 있는 정확성의 문제를 피하면서, 동시에 허구주의의 해석과 달리 수학적 대상의 실재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가능태’를 다의적으로 사용하며, 그의 형이상학에서 ‘가능태’가 항상 존재의 다른 양태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수학적 대상들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존재론에서 존재하는 어떤 것임을 주장할 수 있으려면, 수학적 대상이 존재의 다른 양태인 가능태여야 한다. 그러나 수학적 대상의 가능태로 여겨지는 수학적 질료는 존재의 다른 양태로 여겨지는 다른 가능태적 대상들과는 몇 가지 차이가 있다. 첫째, 수학적 질료인 순수 연장(pure extension)은 자신 혹은 다른 대상을 현실태화(actualization)할 인과적 힘이 없다. 그러나, 예를 들어, 사람(어른)의 가능태인 소년과 같이 완결되지 않은 실체(incomplete substance)는 그 자신이나 다른 대상을 현실태로 실현시킬 수 있는 내적 인과력을 갖는다. 둘째, 아리스토텔레스의 현실태주의(actualism)에 따르면, 가능태의 존재는 현실태의 존재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현실태는 가능태에 존재적으로 항상 선행한다. 그러나 순수 연장은 그것의 현실태인 기하학적 대상에 존재적으로 선행한다. 수학적 대상이 없더라도 순수 연장은 존재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수학적 대상이 감각적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수학적 대상이 어떤 형태의 현실태로도 존재할 수 없다는 의심을 갖게 한다. 이 점은 수학적 대상들이 가능태로서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비존재로 여겨질 수 있음을 가리킨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가능태로만 존재하고 현실태로는 존재하지 않는 대상은 비존재로 여기기 때문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ise the view that it is possible to suggest an interpretation of Aristotle’s philosophy of mathematics compatible with his realistic metaphysics while avoiding problems of both fictionalist and realist interpretations, by regarding mathematical objects as a kind of potential beings. In Aristotle’s ontology, not only actual beings but also potential beings are seen as something existent. Thus, if mathematical objects exist as potential beings, the precision problem does not occur. A difficulty with this interpretation is, though, that Aristotle uses the term ‘potentiality’ homonymously, and not every kind of potentiality means a mode of existence. Therefore, only when the matter of mathematical objects, which is regarded as the potentiality of mathematical objects, can be called potentiality in the sense of another mode of existence, there will be a ground to say that mathematical objects are items in Aristotle’s ontological inventory. However, the matter of mathematical objects differs from those potential beings considered as of another mode of existence. First, unlike an incomplete substance such as a boy, the pure extension which is identified as the mathematical matter does not have the internal causal power to actualize itself or something else into its actualities, i.e., geometrical objects. Secondly, according to Aristotle’s actualism, actuality is always prior to its potentiality in existence in the sense that potentiality’s existence depends on actuality’s. Nevertheless, the existence of pure extension is prior to that of any of its possible actualizations. Moreover, the fact that mathematical objects are not actualized in the sensible world makes it doubtful whether mathematical objects exist in any form of actuality at all. This seems to indicate that mathematical objects themselves do not exist at all as well, since, for Aristotle, what is only in potentiality and never actualized, e.g., infinity, is considered not as something existent but rather as a kind of non-being.

      • KCI등재

        심적 현실태로서 수학적 대상-힌티카의 아리스토텔레스수학철학 해석에 대한 비판적 고찰

        조영기 ( Young Kee Cho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연구 Vol.0 No.50

        이 논문의 목적은 힌티카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수학철학에대한 해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힌티카의 해석에 따르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수학철학에서 수학적 대상은 지성 안에서 현실태화되며(actualized), 이러한 심적 현실태는 물리적 현실태와 마찬가지로 실재하는 것이다. 그의 해석은 허구주의적 해석과 마찬가지로 소박실재론적해석이 야기하는 정확성의 문제(precision problem)를 피하면서, 동시에허구주의적 해석의 문제점을 해결한다는 장점이 있다. 심적 현실태에대한 힌티카의 이와 같은 주장은 사유(no/hsij)와 사유의 대상은 동일하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에 근거한다. 힌티카는 이러한 동일성의 주장이 형상이 물리적으로 현실태화되는 것과 지성 안에서 심적으로 현실태화되는 것 사이에 존재론적 차이가 없음을 함축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인식론에서 ‘사유한다는 것(no/hsij)’은단순히 ‘생각하는 것(conceiving)’과 구별되는, 외부 대상으로부터 (지성적) 형상을 받아들이는 과정이며, 따라서 이미 지성과 독립하여 외부에존재하는 것들만이 지성 안에서 현실태화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만일수학적 대상이 지성과 독립하여 현실태로서 미리 존재하지 않으면, 수학적 대상은 지성 안에서도 현실태화 되지 못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view Hintikka’s interpretation of Aristotle’s philosophy of mathematics. Hintikka argues that, for Aristotle, mathematical objects are actualized in the intellect, and that such mental actualities are as real as physical actualities. His interpretation has merits over other interpretations in that, while avoiding the precision problem caused by the naive realist interpretation, it resolves problems of fictionalist interpretations by making mathematical objects something existent in Aristotle’s ontology. His argument for the mental actuality rests on Aristotle’s claim of the identity between thought and objects of thought. According to Hintikka, this claim implie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forms’ physical realization in the external world and mental realization in our mind. Nevertheless, in Aristotle’s epistemology, thinking is distinguished from mere conceiving. TThinking (no/hsij) is the process of receiving intellectual forms from external objects, so that only things existing independently from our thinking can be actualized in the intellect. Thus, if mathematical objects do not already exist as actualities independently from the intellect, they cannot be actualized in the intellect, either.

      • KCI등재

        개념적 분석으로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추상

        조영기 ( Young Kee Cho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1 철학연구 Vol.0 No.44

        전통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추상은 (i) 개별자들로부터 보편 개념을 획득하는 인식론적 과정, 혹은 (ii) 대상의 어떤 측면에 주의를 기울이거나 혹은 불필요한 측면을 무시하는 것과 같은 일종의 주관적인 심적 활동으로 해석되었다. 예컨대, (ii)에 따르면, 어떤 대상, a로부터 어떤 속성 F를 추상한다는 것은 a의 속성 F에만 주의를 기울이고 a의 다른 속성들은 무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추상은 그와 같은 인식론적 과정이나 심적 활동이 아닌, 어떤 술어의 원초적 주어를 찾는 언어적 분석 과정의 일부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 C가, B의 술어인 A의 원초적 주어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A가 C로서의 (qua C) B에 속하는 것이다. 우리는 A가 C로서의 B에 속하는지의 여부를 추상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즉, 우리는 C가 B의 술어들의 항목에서 추상 혹은 제거되면, A가 더 이상 B에 속하지 않는지를 살펴봄으로써 A가 C로서의 B에 속하는지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추상은 다름 아닌 개념(들)의 제거를 의미하므로, 그의 추상은 일종의 언어적·개념적 분석이라고 결론내릴 수 있다. Traditionally, Aristotle`s abstraction has been interpreted either (i) as an epistemic process by which a universal concept is obtained from particulars, or (ii) as a kind of subjective mental activity such as paying attention or ignoring, i.e., to abstract a property, F, from an object, a, means conceiving of a only as F or paying attention only to a`s F-ness and ignoring a`s other properties. However, Aristotle`s abstraction can be described as a part of a linguistic process identifying the primitive subject of a predicate. For Aristotle, A is a property of B and C is the primitive subject of A iff A belongs to B qua C; and A belongs to B qua C if A does not necessarily belong to B after abstracting or removing C from the list of B`s predicates. Since Aristotle`s abstraction is nothing but such a conceptual elimina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a kind of linguistic or conceptual analysis.

      • KCI등재

        당뇨합병증으로 인한 만성 신부전 환자 1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문미현,조영기,임은경,황상일,백동기,송철민,장통영,정현애,윤종민,우인,신선호,이윤재,Moon, Mi-Hyun,Cho, Young-Kee,Rhim, Eun-Kyung,Hwang, Sang-Il,Baek, Dong-Gi,Song, Chul-Min,Jang, Tong-Young,Jeong, Hyun-Ae,Yun, Jong-Min,Woo, In,Shin, Sun- 대한한방내과학회 2004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5 No.4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oriental medicine and acupuncture therapy on a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 suffering complications from diabetes mellitus. Methods: The clinical data was analyzed on a patient with chronic renal failure complicated by diabetes mellitus whose main symptoms were edema and numbness of lower limbs, anorexia, indigestion, nausea, vomiting, and general weakness. The patient was admitted to the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Wonkwang University Oriental Jeonju Medicine Hospital on July 31, 2004, and remained until August 17, 2004. He wa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Palmijiwhangtanggamibang) and acupuncture therapy. Results: After treatment, improvement was seen in symptoms and laboratory examinations(creatinine clearanc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oriental medicine therapy is significantly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a chronic renal failure complicated by diabetes mellitu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