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덕<SUP>盈德</SUP>지역 무안박씨<SUP>務安朴氏</SUP> 가학<SUP>家學</SUP>의 전승과 양상

        우인수(禹仁秀) 한국국학진흥원 2018 국학연구 Vol.0 No.36

        이 논문은 영덕군 지역을 중심으로 번성한 무안박씨 가문의 가학의 전승 양상을 살피고, 그 특징을 밝히고자 한 글이다. 무안박씨가 영덕지역과 인연을 맺은 것은 15세기 말 박지몽이 영해에 정착하면서부터였다. 이후 번성한 자손들이 족세族勢를 확장시켜 나갔다. 가문의 위상이 정립된 것은 입향조 이후 8대 약 200여 년간으로서 시기적으로는 16세기 중엽에서 18세기 중엽에 해당된다. 이 글에서는 박지몽의 다섯 아들 중 영해지역에 기반을 두고 번성한 장자 계열과 삼남 계열을 중심으로 하여 가학의 전승 과정에서 드러나는 양상을 살폈다. 그 과정에서 도출된 무안박씨 가학의 특징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무안박씨의 가학은 소안동이라고 불린 영해지역을 중심으로 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뛰어난 학문적 소양을 갖춘 사족 가문들이 안동지역에 비견될 만큼 많이 모여 사는 영해의 핵심적인 일원이었던 것이다. 둘째, 문무를 겸전하였다는 점이다. 무예에서 출발하여 문한으로 번성한 가문은 그리 흔한 경우가 아니며, 그 점에서 이 가문의 성격을 가장 잘 드러내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국가가 위기에 처하였을 때 충절을 실천하는 가풍을 지녔다는 점이다. 임진왜란 때는 무반 관료로서 맡은 바 책무를 충실히 실천하였으며, 일제의 강점기에는 의병을 일으키거나 독립운동에 투신함으로써 가풍을 이어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nsmiss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family study in the Park family of Muan, who prospered around the Yeongdeok-gun area. It was in the late 15th century when Park Ji-mong settled in Yeonghae that the Park family of Muan started to make connections with the Yeongdeok area. Since then, his descendents expanded the power of their family through prosperity. The status of the family has been established for approximately 200 years over eight generations since Park Ji-mong between the mid-16<SUP>th</SUP> century and the mid-18<SUP>th</SUP> century. This study examined the transmission patterns of their family study with a focus on the lines of Park Ji-mong’s first and third son that prospered around the Yeonghae area in its transmission process, which led to the thre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ir family study: First, the family study of the Muan Park family focused on the Yeonghae area called Little Andong. The family was one of the core members of Yeonghae, whose gentry families, armed with remarkable academic refinement, were as many as those in Andong. Secondly, the family was perfect in both literary and martial arts. It is not a common case that a family would prosper in literary arts after making a start in martial arts, which clearly reveals the nature of the family. Finally, the tradition of the family was to serve the nation with loyalty in a national crisis. This tradition of the family was preserved as they fully performed their duties as military officials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raised an army for justice and were devo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rule.

      • KCI등재

        17세기초 경당 장흥효 가문의 제사 관행

        우인수(禹仁秀)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1

        본 논문은 장흥효가 남긴 일기를 통해 17세기 초 안동지역 유학자 가문의 제사 모습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7세기 초는 주자가례에 입각한 제례가 완전히 정착하기 직전 시기이기 때문에 과도기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의미가 큰 시기이다. 먼저 기제사의 경우 4대 봉사를 하고 있었다. 장흥효는 고조부모와 증조부모의 기제사를 재종제와 분할하여 봉사하고 있었다. 그는 고조모와 증조부의 기제사를 거의 전담하였고, 재종제는 고조부와 증조모의 기제사를 거의 전담하였다. 조부모와 부모의 제사는 장흥효가 대부분 전담하고 있는 가운데 윤회봉사의 흔적이 약간 남아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자봉사가 아직까지 완전하게 정착되지 않았던 과도기의 모습이다. 장흥효는 부계 친족 외에도 외가와 처가의 제사를 주관하여 지내거나 또는 그 제사에 참석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관심의 크기는 부계 친족에 비교될 정도가 아닐 정도로 약하였다. 부계 중심으로 점차 굳어져가고 있던 상황을 잘 보여주는 구체적인 사례라고 하겠다. 다음으로 사시제四時祭는 춘하추동의 중간달인 2?5?8?11월에 사당에서 지내는 제사이다. 사시제의 설행 여부는 주자가례의 정착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주요한 하나의 잣대이다. 경당일기에는 사시제를 지낸 흔적이 곳곳에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처음부터 일년에 네 번 사시제를 지낸 것은 아니고, 처음에는 11월에 한차례 지낸 듯하다. 일년에 네 번 사시제를 지낸 것으로 분명하게 확인되는 것은 1622년부터였다. 일년에 한번 지내던 사시제를 네 번으로 늘려서 완전하게 지내게 되는 과도기의 모습을 경당일기에서 고스란히 확인할 수 있었다. 명절 제사도 절사節祀 또는 속절례俗節禮라고 표현하면서 당연히 지냈다. 특기할 점은 매번 4대 명절에 즈음하여 조상 묘소를 찾는 성묘를 행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명절날 묘소에서 제사를 지내는 묘제는 우리 민족의 오랜 습속이었다. 장흥효 집안에서도 4대 명절의 성묘를 거의 행하면서 주자가례에 입각한 가묘에서의 제사도 행하는 절충적인 형태를 띠고 있었다. 이 점에서도 과도기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전기의 분할봉사와 윤회봉사의 관행이 점차 주자가례의 정착에 따라 조선후기의 장자 봉사로 변화해가는 큰 흐름 속에서 볼 때, 장흥효 집안의 제사 방식은 바로 그 과도기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는 구체적이고도 명확한 사례인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to grasp the aspects of ancestral rites of Confucian clan in Andong area in the early 17th century through the diary that Jang Heung-hyo had left. Since the early 17th century was the time just before ancestral rites based on Zhu Xi"s Family Rituals had been completely established, it was a very significant period to understand the transitional aspects. First, in case of Gijesa(忌祭祀), it had been performed for four generations of ancestors. Jang Heung-hyo had shared the Gijesa of great great grandparents and great grandparents with his younger male second cousin. He had been amost exclusively charged of Gijesa of great great grandmother and great grandfather.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re remained some traces of Yunhoe-Bongsa(輪回奉祀) while Jang Heung-hyo had been almost exclusively charged of Gijesa of grandparents and parents. Those were the transitional aspects of period that Jangja-Bongsa(the rite by the eldest son) had not been completely established. Jang Heung-hyo had hosted or attended the rites of his mother"s family and wife"s family other than of his relatives on the father"s side. However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rites of his mother"s family and wife"s family had become weakened not much to compare with that in the rites of his relatives on the father"s side. It should be a specific example showing the circumstance of gradual establishment around the paternal line. Next, Sije(四時祭) are the rites held at shrine in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Whether to hold the rites or not is one of the major standards measuring the settlement degree of Zhu Xi"s Family Rituals. Traces of having held Sije are evident everywhere in the Gyeong-Dang Diary. However, from the beginning, Sije had not been held four times a year, but at first they seem to have been held once in November. It was not clearly identified until 1622 that the seasonal rites had been held four times a year. The transitional aspects that Sije having been held once a year was extended to four times a year could be confirmed in the Gyeong-Dang Diary. Myungjeol-Jesa(rites for the traditional holidays) had also been expressed as seasonal rites(節祀) or common seasonal ceremonies(俗節禮), and naturally performed. A noteworthy feature was that on the every occasion of four traditional seasons, the visit to the ancestral graves had been conducted. On the traditional holidays, Myojae, which is an ancestral rite held before the grave, was our nation’s old custom. Also in the Jang Heung-hyo’s family, Sungmyo of four traditional seasons had been almost held and ancestral rites at ancestral hall based on Zhu Xi"s Family Rituals had appeared in the eclectic form. The transitional aspects can be confirmed from these points. In view of big trend of transition from Bunhal-Bongsa(分割奉祀) and Yunhoe-Bongs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o Jangja-Bongsa(長子奉祀) by gradual establishment of Zhu Xi"s Family Rituals, Jesa style of Jang Heung-hyo’s family was a specific and clear example illustrating those transitional aspects.

      • 기획논문 : 인조반정(仁祖反正)과 남명학파(南冥學派) ; 인조반정 전후의 산림과 산림정치

        우인수 ( In Soo Woo ) 南冥學硏究院 2011 南冥學 Vol.16 No.-

        이 논문은 선조대 서인집권기의 성혼, 광해군대 대북집권기의 정인홍의 사례를 통해 산림정치가 구현되기 시작되고 확립된 과정을 살핀 것이다. 그리고 인조반정 뒤에도 산림정치가 계속 계승 지속되면서 붕당정치기의 특징적 요소 중의 하나로 모습을 갖추어 가는 과정을 살폈다. 아래와 같은 크게 네가지 점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먼저 산림정치를 붕당정치기의 특징적 요소로 지적하고, 그 용어의 자리매김을 위한 기초적인 작업을 하였다. 산림정치란 조선시대 붕당정치 하에서 붕당의 이념적 지도자인 산림이 각 붕당의 정책이나 논의 결정에 깊숙이 관여하여 영향력을 행사한 정치로 정의하였다. 산림정치가 나타난 시대적 배경으로는 학연이라는 핵심적인 요소에 기반한 붕당정치의 성립과 사림의 성장으로 인해 새롭게 요구된 왕권과 신권의 역학관계를 들어 설명하였다. 붕당의 우두머리로 추대된 산림은 조정과 향촌에 포진한 자신의 사우문생과 우호적인 일군의 관료를 바탕으로 때로는 막후에서 조정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였고, 때로는 전면에서 정국의 주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산림정치가 선조대 성혼에게서 그 단초가 열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는 선조대 산림으로서 특히 율곡 이이의 사후 서인의 정신적인 지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선조대 후반 상대당으로부터 집요한 공격을 받은 것도 그의 영향력이 상대당에게 그만큼 크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이는 산림정치의 조짐을 보였던 서인정권하의 성혼의 위상을 알려준다. 그리고 또한 산림정치는 광해군대 정인홍 단계에서 그 전형이 확립되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그 의미를 살폈다. 정인홍은 막후에서 북인 또는 대북에게 지지기반과 명분을 제공하면서 조정의 권한을 장악하였을 뿐 아니라, 필요할 때는 전면에 나서서 정국을 주도하는 등의 산림정치를 폈다. 광해군대만 하더라도 임해군건, 영창대군건, 폐모건 등의 굵직굵직한 사건에 적극 자신의 견해를 개진하면서 정책결정 과정에 깊숙이 관여하였다. 정인홍이 가지는 역사적 위상과 의미는 산림정치의 형성과 관련하여서도 부여할 수 있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인조반정 후에도 산림에 대한 우대 정책은 제도적 장치의 마련을 통해 체계화하면서 계승되어 이후 산림정치 구현의 토대가 되었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하였다. 인조대는 반정에 의해 수립된 정권이기는 하지만 단절보다는 계승하는 측면도 많았다. 후일 인조반정을 일으킨 서인 공신들도 정인홍을 비록 역적으로 처형하기는 하였지만, 그가 보여준 산림정치의 기능과 위력만큼은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산림을 숭용하는 정책은 그대로 계승하였던 것이다. 여기에 광해군대 북인정권이 전체 조선후기사에서 가지는 위치가 있으며, 정인홍의 산림정치가 가지는 역사적 위상과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This research coped with realization and setup process of the Sallim scholar politics, based on the analysis of central figures like Seong-Hohn in the reign of king Seonjo and Jeong In-hong in the reign of king Kwanghae-Kun. Furthermore this paper, also, addresses issues on the succession of the Sallim scholar`s power and its establishment as main political aspects, after undergoing enthronement of the king In-Jo. As below, the process could be specificated as four aspects. First, considering the Sallim scholar`s political power as a important factor of party politics, this study tried to define the power with precision. The Sallim scholar politics can be defined as political conditions leaded by Sallim`s preponderating influence in politics including policy arguments and disputes as a ideological leader. Also this research dealt with historical backdrops of The Sallim scholar`s political power and its key factor could be summarized as their school ties. It must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factor by studying the dynamics of political change between regal power and subjects as rising political force of Sallim. Next, this study focused on the central figure, Seong Hohn, who opened the Sallim scholar politics as a new political prospect.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Seong Hohn was spiritual guide for Western faction, especially, after the death of Lee-Yi. Considering Western faction being confronted with tenacious attack from opposition parties, the great influence of Seong Hohn in the faction is evident in the factional strife in the late reign of king Seonjo and proves his strong position in the political arena. Also, the paper tried to deal with Jeong In-hong as the key figure who brought about stability of the Sallim scholar`s political power. Jeong In-hong seized political power by coming to the political forefront in case of need as well as by forming the bedrock of the Northern faction behind the scenes. He had a powerful influence on policy decision and actively offered his own suggestions on the weighty issues in the reign of king Kwanghae-Kun including the execution of prince Im-hae, the executions of Prince Young-chang, the deposition of empress dowager In-mok. His high political and historical status was deep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allim scholar`s political power. Lastly, the systematical preferential treatment to Sallim scholars provided institutional strategy and basis of establishment of their political power even after the enthronement of the king In-Jo. After dethronement of a king Kwanghae-Kun, though the Western faction executed Jeong In-hong as a traitors, they admitted the his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allim scholar`s political power and succeeded the preferential treatment. This transformation must be noticeable to find out the political leverage of Northern faction including Jeong In-hong`s contribution to the Sallim scholar`s political power throughout the late Joseon Dynasty.

      • SCOPUSKCI등재

        운반체를 함침시킨 액막에 의한 아미노산의 이동

        우인,강안수 한국화학공학회 1988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26 No.4

        운반체로 Aliquat 336을 다공성 고체지지막에 합침시킨 액막을 이용하여 아미노산과 첨가전해질의 역방향이동계에서 아미노산의 이동속도에 대한 모델을 세워 분석하였다. 정상상태의 아미노산의 이동속도 및 농도분포를 Nernst-Planck식을 이용하여 유도하였고 이동속도에 영향을 주는 확산전위계수(os-mo-electric coefficient)를 정의하였다. 실험결과 막전위가 커질수록 아미노산의 이동속도는 감소하였고 이론식에시 정의된 확산전위계수는 아미노산의 flux와 선형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첨가전해질의 종류에 따른 아미노산의 이동속도는 수화에너지의 크기와 반대경항을 나타내었고 아미노산도 같은 경향으로 Try>Tyr〉Hip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The transport of amino acids through the immobilized liquid membrane containing Aliquat 336 as a carrier was analyzed by a theoretical model. The flux and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amino acids at steady-state were derived with Nernst-Planck equation in counter-transport system of amino acids and added electrolytes, and the osmo-electric coefficient which affect the flux to a large extent was defined. It was concluded that the flux of amino acids decreased with increasing membrane potentials and was linear with the osmo-electric coefficient. The transport rate of amino acids had the inverse relation with the magnitude of hydration energy. Also the transport rate according to the amino acids increased in the order: tryptophan > tyrosine > hippuric acid.

      • KCI등재
      • KCI등재

        선비들의 임란 倡義精神과 의병 활동

        우인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5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6 No.-

        This study identified the spirit behind raising militias by analyzing the appeals and circular letters seonbi, or virtuous 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wrote to raise militia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regarded in them the spirits of seonbi.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d seonbi’s militia activities based on the spirits of seonbi and tried to attach meaning to the activities. The materials used for the analysis here included a total of 41 written appeals and circular letters carried in Nanjung Jabrok. Out of the 41 works, 34, or about 83 percent of the entire works, were created in the year 1592 alone. This confirms that in the early day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militias were actively raised, performing positive func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key words in the written appeals and circular letters, the motive for raising militias could be guessed, and, based on the motive, the spirits of seonbi, which affected the raising of militias could be identified. The identified spirits of seonbi consisted of great cause, loyalty, serving one’s country, responsibility and revenge. These five spirits were not different but correlated. Seonbi’s raising militias was a manifestation of their spirits. That is, their militia activities were the realization and application of their spirits in reality. The militia activities, which showed a right direction for the community to follow, were what leaders were required to perform. Although the cause of raising militias was reasonable, one was required to have a good reputation to raise and lead militias composed of ordinary people. Seonbi had such reputation as they always tried to lead a studious and virtuous life. Seonbi’s militia activities in the early day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gave a glimmer of hope to the nation going into decline. Being aware of the importance of militias, the Joseon government encouraged the raising of militias to wage all out war against Japanese forces and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That is, seonbi’s militia activities became a hope that could save the falling nation. Their militia activities served as momentum uniting all the people who were estranged from the government. In addition, they reversed the flow of the war, which was developing favorably for Japan. Thanks to militia activities, the Joseon government was able to have time to improve its military system and collect and rearrange government troops on land. Although militia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ly for a short period and did not achieve much in terms of military aspects, it is certain that they played a crucial role for the survival of the nation. 본고는 선비들의 임란 창의 격문이나 통문의 분석을 통해 창의 정신을 추출하고, 그를 선비정신으로 간주하였다. 그리고 선비정신에 입각한 그들의 의병 활동상을 살피면서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난중잡록』에 실린 총 41편에 달하는 격문과 통문이었다. 그 중 임진년인 1592년 한 해 동안에 작성된 것이 34편으로 전체의 약 83%에 달할 정도로 집중되어 있었다. 이는 의병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한 때가 역시 임란 초기였음을 확인케 해준다. 격문과 통문에 나타난 핵심어의 분석을 통해 창의의 동기를 짐작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창의에 영향을 미친 선비들의 정신을 추출할 수 있었다. 추출된 선비 정신은 大義, 忠誠, 爲國, 責任, 復讎 등 다섯 가지였다. 선비들의 창의는 평소 자신들이 가지고 있던 바로 그 선비정신의 발로였다. 선비들의 의병 활동은 선비정신의 현실 세계에서의 구현이자 적용이었던 것이다. 이는 위기를 맞은 공동체가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성을 부여한 행위로서 지도자의 마땅한 역할이었다. 창의의 명분이 합당하다고 하더라도 많은 백성들을 의병 휘하에 모우고 거느리기 위해서는 높은 명망이 요구되었는데, 이는 평소 학문을 닦으면서 인격 도야에도 힘쓴 선비이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임란 초기 선비들의 의병 활동은 꺼져가던 국운에 희망의 불씨를 살리는 행위였다. 의병의 중요성을 인식한 조선 정부도 의병 창의를 독려하여 총력전을 펼침으로써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무너져가는 나라를 지탱시킬 수 있는 힘인 희망을 선비들이 행동으로 이끌어 낸 것이다. 이들의 활동은 백성들의 인심이 더 이상 이반되지 않고 하나로 결집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일본군에게 일방적으로 우세하게 전개되던 전쟁의 흐름을 바꾸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의병의 활약으로 체제 정비를 위한 시간을 번 조선은 차츰 육지의 관군을 수습하여 재정비할 수 있었던 것이다. 비록 의병의 긍정적 활동이 단기간에 그쳤고 전투적인 측면에서는 크게 성취한 바가 없었다고 하더라도 국가의 명맥이 의병 덕분에 유지될 수 있었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