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의 재무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전·후기 베이비붐 세대 비교연구

        박명아,조시울,신혜리,박설우,김영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2

        This study is to analyze financial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the baby boomers based on Baltes & Baltes’ SOC model.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2,140 baby boomers were selected from the 6th KReIS (2015). And then baby boom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year of their birth. Early baby boomer cohort consisted of 1,035 respondents who were born from 1955 to 1959 and late baby boomer cohort was composed of 1,105 respondents who were born from 1960 to 1963. Ordered Logit Model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1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variables that had a commonly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of both cohorts were financial assets and household expenditure. But the life satisfaction of both cohorts differs in terms of variables such as private pension, public transfer income and real estate income. It is expected th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both cohorts will be the basic data for the policy direction and the practical alternatives optimized for the needs of both cohort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by boomer cohort’s financial preparation and their life satisfaction as a SOC coping strategy. 본 연구의 목적은 Baltes와 Baltes의 SOC 모델을 이론적 뒷받침으로 하여 베이비붐 세대의 재무적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6차 자료에서 베이비붐 세대에 해당하는 2,140명을 추출한 뒤, 연령의 이질성에 기초하여 전기세대(1955~1959년생) 1,035명과 후기세대(1960~1963년생) 1,105명으로 구분하였다.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통해, Ordered Logit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무적 노후준비 요인과 관련하여 전・후기 세대의 삶의 만족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친 변수는 금융자산과 가계총지출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개인연금, 공적이전소득, 부동산 소득은 전・후기 세대 간 유의미한 차이점이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전・후기 세대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세대별 욕구에 최적화된 정책방향과 실천적 대안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SOC 대처전략으로서 베이비붐 세대의 재무적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노인의 건강과 의료비 간의 관계 - 운동과 주관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진선,임지은,조시울,신혜리,박설우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7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른 의료비 지출 금액이 운동을 통해 개인이 느끼는 주관 건강을 매개로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2014년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만 65세 이상 10,451명 노인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노인의 만성질환상태에 따른 의료비 지출 금액이 운동과 주관적 건강이 영향이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첫째,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운동을 하지 않는 노인일수록, 주관적 건강이 낮을수록 의료비 지출액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성질환 수가 적을수록, 운동을 하는 노인일수록 주관적 건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성질환이 적을수록 운동에 참여하고, 운동을 할수록 주관적 건강이 증진되어 의료비 지출액이 감소하였다. 즉, 운동이 만성질환과 의료비 간의 관계에 대해 주관적 건강을 거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른 의료비 지출금액, 운동, 주관적 건강과의 관계는 장기적인 노인 건강 증진을 위해 운동을 통한 건강증진행위와 주관적 건강을 높일 수 있는 심리교육이 함께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medical costs influenced by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ly perceiving health status through exercise.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the elderly who are over 65 years old using. ‘The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the Elderly(2014).’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dical costs appeared th be higher when one has more chronic diseases, exercises less or perceives one’s health lower. Secondly, the self-rated health of the elderly is found to be higher when one has less chronic diseases or does exercise. Thirdly, the elderly with less chronic diseases participate more in exercise. Exercise promotes th self-rated health and it reduces medical costs. It is revealed that exercise have an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disease and medical costs through self-rated health status is necessary for long-term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ly.

      •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적 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명아 ( Park Myeong A ),조시울 ( Cho Si Wool ),신혜리 ( Shin Hyeri ),박설우 ( Park Seol Woo ),김영선 ( Kim Young Sun ) 한국연금학회 2017 연금연구 Vol.7 No.1

        최근 우리나라의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인 은퇴를 시작하면서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삶의 질이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노후보장패널 5차 자료(2013년)를 이용하여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적 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하고 독립변수를 공적 경제적 준비 요인과 사적 경제적 준비 요인으로 나누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행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적 경제적 준비요인 중 개인연금에 가입했을수록, 금융소득이 있을수록, 가계 총소득이 많을수록, 근로소득이 있을 수록 삶의 만족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표적 공적 경제적 준비 요인인 공적연금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 향상에 필요한 경제적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복지 패러다임을 위한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함의가 있다. Preparation for old age and the quality of life are receiving major attention as baby boomers of Korea recently start to reti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inancial preparation of baby boomers on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using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s fifth data(2013). For this stud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eparating the independent variable into public economic preparation and personal economic preparation, and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factors are as follows. Regarding to personal factors, satisfaction with life appeared to be higher when one was affiliated with private pension and had an earned income or financial income.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public pension which was a public factor was not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with life. The study suggests concrete basic data for new welfare paradigm by analyzing economic factors necessary to improve satisfaction of baby boomers with their life.

      • KCI등재

        치매 경험, 사회적 지지가 치매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건강정보 이해능력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신혜리,김수경,이현주,조시울,맹성호,김영선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1

        The current study examines whether the dementia experience and social support is associated with dementia attitude and whether health literac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We used data from the 2016 Dementia Literacy Survey collected by K University. We conducted our analysis with 522 community-dwelling older Koreans aged 60 to 79. Findings of th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showed belows. First, dementia experience and dementia attitude were related in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Second, social support was also related negatively with dementia attitude in cognitive part. However, social support was also related positively with dementia attitude in behavior part. Third, health literac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dementia attitude in cognitive part. However, health literacy was negatively related with dementia attitude in behavior part. Lastly, health literacy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with social support and dementia attitude in cognitive part. Our findings suggest that health litera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a positive dementia attitud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