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사회문제해결중심의 의사결정 프로그램이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박명아,김정희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21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decision-making program on children aged 5 years old on their social emotional abilities and leadership. The purpose of the program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improving the child's leadership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decision-making program focusing on social problem solving is applicable to the education field. The study involved 20 five-year-old infant experimental groups and 20 control groups participants. In this study, Bae Sung-moon (2017) conducted a decision-making program focusing on solving infant social problems on site twice a week.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e research is teaching infant leadership tools developed by Jang Young-sook and Hwang Yoon-sei(2009). They were analyzed as follows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with t-test, ANCOVA.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ffect of the infant social problem-solving decision-making program on the leadership has been improved on the leadership in the experimental group.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experiment group's infants have significantly improved in terms of challenges and self-confidence, respect for others, self-behavior, and problem-solving skills. This means the infant social problem-solving decision-making program ha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order and leadership of a 5-year-old child.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사회문제해결중심의 의사결정 프로그램이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유아를 대상으로 한 사회문제해결중심의 의사결정프로그램이 교육현장에 적용가능한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5세 유아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 총 40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 사회문제해결 중심의 의사결정 프로그램(배성문, 2017)을 현장에서 주 2회 17회기로 진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교사용 유아 리더십 도구(장영숙, 황윤세, 2009)이다. 수집된 검사자료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으로 공분산분석(ANCOVA: 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사회문제해결중심의 의사결정 프로그램이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는 프로그램 처치를 한 실험집단 유아의 리더십이 통제집단 유아의 리더십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리더십의 하위요소인 도전과 자신감, 타인존중, 자기행동관리와 문제해결능력 모두 실험집단 유아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사회문제해결중심의 의사결정 프로그램이 만 5세 유아의 리더십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모래상자놀이가 유아의 공감능력, 자아존중감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명아,박영숙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2

        본 연구는 모래상자놀이를 실시하여 유아의 심리사회적 기본 역량인 유아의 공감능력, 자아존중감, 자기 조절능력의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모래상자놀이가 어린이집 현장에서 적용가능한지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유아들의 심리정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4세 유아 총 40명이며,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김정아(2019)의 연구에서 사용된 공감능력 검사 도구와 단현국과 이미숙(2006)의 ‘교사용 유아 자기존중감 척도’를 기초로 김수정(2019)이 수정 보완한 도구이며, 이정란(2003)의 자 기조절능력 도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모래상자놀이는 공감능력의 하위 영역 중 슬픔 상황은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기쁨과 공포, 분노에 대한 유아의 공감능력을 증진시켰다. 둘째, 유아의 자아존중감의 전체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인 유능감, 소속감, 가치감, 통제감 등 유아의 자아 존중감을 증진시켰다. 셋째, 모래상자놀이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전체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조 절능력의 하위영역인 자기평가, 자기결정, 행동억제, 정서성 등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증진시켰다. 따라서 유아교 육 현장에서 모래상자놀이의 기회를 제공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sandtray play on young children’s psychosocial ability-empathy ability, self-respect, and self-regulation ability-to examine the basis of applying the program to the curriculum and find a way to affect children’s emo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forty children who were at the age of 4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layed the game for approximately eight hours over the course of eight weeks(about an hour a week), and the control group. The methods were empathy ability test tool that was used in the study by Jeong-a Kim(2019), a tool which was based on the scale of children’s self-respect for education by Hyun-kuk Dan and Mi-sook Lee(2006) and modified by Soo-jeong Kim(2019), and self-control capability tool by Jeong-ran Lee(2003). The results are below: First, relating to empathy ability, sandtray play developed the capacity not for sadness but for pleasure, fear and anger. Second, sandtray play had not only overall effect on children’s self-respect but also effect on sense of competency, belonging, control and self-worth. Third, sandtray play had not only overall effect on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but also effect on self-evaluation, self-determination, behavioral inhibition and emo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hat sandtray play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empathy ability, self-respect, and self-regulation ability.

      • 정보통신 핵심기반 보호를 위한 민·관 협력체계 실증 분석

        박명옥(朴明玉),이재은(李在恩)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2010 국가위기관리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국가핵심기반 분야 중에서 정보통신 핵심기반 보호를 위한 민·관협력체계에 관한 인식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증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은 민·관 협력체계에 대하여 부정적 인식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민·관 협력체계의 사회적 자본 요인, 즉 신뢰, 규범, 네트워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관 협력체계의 신뢰에 대한 요인들인 친밀도, 협력 리더십 발휘, 협력을 위한 조직풍토, 정보 공개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민·관 협력체계의 규범에 대한 요인인 공동목표 설정, 협력·협정 마련, 법적 근거, 교육, 구성원 간 가치공유에 대해서도 역시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재직 근로자의 직무능력 향상 교육 적극 지원 필요"

        박명,Park, Myeong-Hak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2013 기계설비 Vol.276 No.-

        한국폴리텍I대학 서울강서캠퍼스 산업설비자동화과 박명학 교수는 산학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현장교육 전도사다. 지난 5월 31일부터 6월 2일까지 3일간 서울특별시회 회원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재직자 직무향상 교육을 실시한 박명학 교수를 만나보았다.

      • KCI등재

        여성의 사적연금가입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 중장년층 여성의 사회·심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박명아,신혜리,김영선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0 GRI 연구논총 Vol.22 No.2

        This study is to analyze social-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behavior for private pension subscription of the middle-aged women and discuss policy intervention for middle-aged women’s old age income guarantee.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756(50 to 65 years old) were selected from the 6th KRe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1 & AMOS 20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for verifying study hypothesis. Social-psychological factors consisted of successful aging attitude, social support, financial efficacy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ntion of old age preparation had the most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 for private pension subscription. So policy intervention to enhance successful aging attitude, social support, financial efficacy which are prerequisites for the intention of old age preparation is required. Second, the results of effect decomposition revealed that the intention of old age preparation had a partially mediated effect between financial efficacy and the behavior for private pension subscription. Third,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that in the case of the employed, financial efficacy had a higher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old age preparation than the unemployed. And the path of financial efficacy to the behavior for private pension subscrip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nemployed only.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old age income guarantee of middle-aged women’s cohort.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층 여성의 사적연금가입 결정요인을 사회·심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실증분석하고 이들 세대의노후소득보장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국민노후보장패널 6차 연도 자료의 50세 이상 만 65 세 미만의 여성 756명이다. 연구가설은 SPSS 21과 AMO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구축을 통해 검증하였다. 사회·심리적 요인으로는 Ajzen(1991)의 계획된 행동이론에 기반하여 성공노화태도, 사회적지지, 재무적 효능감을고려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후준비의도가 중장년층 여성의 개인연금가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 분석되어, 노후준비의도의 선행요인인 성공노화태도, 사회적지지, 재무적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개입을 시사한다. 둘째, 구조모형에 대한 효과분해결과 재무적 효능감이 노후준비의도를 매개하여 개인연금가입을 설명하는 부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셋째, 경제활동유무에 따른 다중집단분석결과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노후준비의도에미치는 재무적 효능감의 영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무적 효능감이 개인연금가입에 미치는 경로에는 비경제활동자의 경우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중장년기 코호트(cohort) 여성의 사적연금소득보장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