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First-Year Composition Courses at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 USA

        Cho, Sookyung(조수경),Park, Chanho(박찬호) 한국비교교육학회 2019 比較敎育硏究 Vol.29 No.2

        [연구목적] 미국에서 일학년 작문 수업(First-Year Composition, FYC)은 1885년 하버드 대학에서 처음으로 실시된 이후로 가장 중요한 필수 교양 과목으로 자리 잡아 1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국 역사와 비교하여 한국의 FYC 과목은 2000년대 들어 꽤 최근에 등장하였다. 이러한 미국과 한국의 FYC 과목의 현 상황 비교는 한국의 FYC가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지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FYC를 강좌 개설 이유와 교과과정, 수업 내용에 있어서 비교·대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요강과 수업 목표 및 강의계획서, 프로그랩 웹사이트와 같은 문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과 미국 대학 사이에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미국의 FYC가 작문에 있어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강조하였다면 한국의 FYC는 저자 개인의 인지적 발달에 집중하였다. 둘째, 미국 대학에서는 한국에 비해 더 많은 수의 작문 과목을 필수로 요구하였으며, 다양한 전공 영역에서 작문 중심 수업(Writing-Intensive Courses)을 제공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FYC가 대체로 작문 기술 위주의 수업을 진행하는 데 반하여, 미국의 FYC는 주로 주제별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결론] 이러한 차이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FYC가 좀 더 다양성과 유연성을 가짐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작문 과목을 스스로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도록 하 고, 좀 더 다양한 전공을 통해 작문을 가르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Purpose: First-year composition (FYC) has been establish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s in many US universities since its advent at Harvard University in 1885, and has a more than 100 year history. On the other hand, Korean universities started their FYC programs only recently, entering the 2000’s. The comparison of the status quo of Korean FYCs with that of American ones might be helpful in guiding the direction where Korean FYCs should head from now on. Methods: This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FYCs of Korea and the USA in their causes, curricula, and course contents. A wide variety of written documents, such as university catalogs, course descriptions, course syllabi, and department and program websites a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reveal the following differences: American FYCs emphasize more interactions with others in writing while Korean FYCs place more focus on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individual writers; American universities require more writing courses than Korean universities and offer a number of writing intensive courses across different disciplines; and Korean FYCs tend to adopt a technique-based approach in teaching writing, but American ones follow a more theme-based approach.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that Korean FYCs should allow for more room for diversity and flexibility so that students can take various kinds of writing courses, and so that writing can be taught across various disciplines.

      • KCI우수등재

        Application of a Cognitive Diagnosis Model to a Multiple-Choice English Writing Test

        조수경(Sookyung Cho)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7

        인지진단모형(CDM)은 제 2언어 학습자들의 언어 능력을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 2언어 교수와 학습에 이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문법이나 어휘, 읽기 등에 치우쳐 있고, 쓰기는 채점의 어려움 때문에 그만큼 연구되고 있지는 않다. 지금까지 쓰기는 주로 학생들이 쓴 에세이를 평가하는 것과 같은 직접적인 방식으로 채점되어 왔는데 이는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서, 객관성이 부족하다거나 대규모 학생들에게 실시하기는 힘들다는 점 등이다. 이와 같은 직접적 평가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는 동시에 인지진단모형을 효과적으로 작문 평가에 적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를 위한 선다형 작문 시험을 개발하여 이 결과를 실제 작문 수업에 활용해 보고자 한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선다형 시험은 대체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이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학생들의 작문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을 시 학생들의 시험 성적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다형 작문 시험이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한국 학생들의 작문 능력을 진단하고 또한 그들에게 작문을 지도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ecause a cognitive diagnostic model (CDM) can provide a detailed profile of a second language learner for the purpose of diagnosing their abilities, it has been they are being used in various areas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learning. However, writing has not been as extensively studied as grammar, vocabulary, o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due to difficulties in scoring. To date, writing has mostly been evaluated using a direct method, that is, evaluating learners’ essays; however, this type of direct assessment has several limitations, including a degree of subjectivity and difficulties when it comes to large scale implementa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direct method as well as to facilitate application of a CDM to the assessment of writing skills,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 multiple-choice writing test for Korean learners’ of English and use it in a real classroom setting to observe its effects on writing instruc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est is valid and reliable. Additionally, when the profiles obtained from the CDM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were incorporated into writing instruction, they seemed to help improve the students’ writing skil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multiple-choice writing test can be used to diagnose the writing skills of learners of English and incorporated into their writing instruction.

      • KCI등재

        Comparison of Views on Korean and English Writing: Focusing on Bicultural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Cho, Sookyung(조수경)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2

        The numbers of Korean immigrants and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are steadily increasing, but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of their second language literacy development (Cole, Maddox, Lim, & Notari-Syverson, 2002; Scarcellar & Chin, 1993; Shin, 1994; Skilton-Sylvester, 2001; Yu, 1994). Nor do the very few studies explore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iteracy and English literacy within a cultural context.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ir views on Korean writing with those on English writing to see trace the multiliteracy development of Korean learners of English in the United States. I conducted in-depth oral interviews with Korean immigrants and students of various ages. They were asked to state everything they could remember about what they have learned to write and read in their native language and in their second language across their lifetimes, focusing particularly on the institutions they attended, materials they used, people involved in their learning, and their motivations for writing. The results reveal that the participants developed a view of writing specific to the Korean context and after they moved to the United States, they struggled to readjust the values and meanings they had had for Korean literacy to the second language contex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future multiliteracy studies are needed to explore multiliteracy development in terms of the meanings and values language learners associate with their multiliteracy and help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communities to approach second language learners’ multiliteracy development as a life-long experience. 미국에서 한국 이민자들의 수가 계속적으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문해력 발달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Cole, Maddox, Lim, & Notari-Syverson, 2002; Scarcellar & Chin, 1993; Shin, 1994; Skilton-Sylvester, 2001; Yu, 1994). 또한 이러한 연구들조차 한국어 문해력과 영어 문해력 사이의 뗄 수 없는 관계에 주목 하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인의 한국어 작문과 영어 작문에 대한 인식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이들의 다언어간 문해력 발달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연령대의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모국어와 영어 작문을 어떻게 배웠는가에 대해 면담을 진행하였다. 특히 어떤 기관과 사람들, 그리고 어떤 동기로 작문을 배웠는가에 집중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피실험자들은 각각 한국적 상황에서 터득한 작문에 대한 개념을 미국적 상황에 맞추어 재정립하는 과정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다언어간 작문에 대한 연구는 학습자들이 작문에 대해 부여하는 가치와 개념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교육자들은 문해력 발달이라고 하는 것이 인생 전반에 걸쳐져 연장선상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궤적과 관련 요인

        조수경(Cho, Sookyung),이소연(Lee, Soye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궤적, 수면관련 생활시간(학업시간, 전자매체 사용시간), 심리정서적응(우울증상, 신체증상, 공격성) 간의 구조관계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2010)의 2012~2016년도 자료조사에 참여한 청소년 2,21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잠재성장모형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궤적은 중학교 1학년∼3학년까지 일정하게 감소하는 선형모형으로 나타났고, 수면시간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학업시간과 전자매체 사용시간이 수면시간에 미치는 동시효과를 확인한 결과 학업시간과 전자매체 사용시간은 중학교 1학년, 2학년 시기의 수면시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학교 3학년 시기에는 수면시간에 미치는 학업시간의 영향력은 이전 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한 반면 전자매체 사용시간은 수면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면시간 초기치는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우울증상, 신체증상,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수면시간의 종단적 변화를 확인하고 청소년의 충분한 수면시간 확보를 저해하는 요인을 규명하였으며 부족한 수면시간이 장기적으로 심리정서적응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을 규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기의 심리정서적응을 위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면시간 관리가 필요하며, 가정과 학교에서 청소년의 충분한 수면시간을 확보를 위한 개입이 필요함이 시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changes and other relevant factors of adolescents’ sleep duration. The subjects comprised 2,215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0(KCYPS 2010) from 2012 to 2016. The data were analyzed by latent growth modeling using SPSS21.0 and AMOS24.0. Ou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sleep duration changed in linear manners over the three years of the study and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intercepts and linear slope. Second, students’ study time had contemporaneous effects on sleep duration in these three years, and electronic media usage time had only contemporaneous effects in 2014 and 2015. The intercepts of adolescents’ sleep duration in 2013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pression, somatization, and aggression symptoms reported in 2016.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long-term sleep duration management for the psychological-emotional adaptation of adolescents.

      • KCI등재

        한국 초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발달 과정: 해독에서 독해까지.

        김다희 ( Dahee Kim ),조수경 ( Sookyung Cho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7 외국어교육연구 Vol.31 No.2

        많은 연구들이 제 2 언어(L2) 독해와 모국어(L1) 독해가 그 발달과정에 있어서 일치한다고 주장한 반면, 몇몇 학자들은 L2 독해가 다양한 요소로 인해 더 복잡하다고 주장하였으며 그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것이 바로 L1과 L2 사이의 철자 차이이다 (Akamatsu, 1999; Geva, Wade-Whooley, & Shany, 1997). 한국어와 영어는 이러한 철자 차이가 극명하기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영어로 읽기를 배워가는 과정을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그들의 해독 능력이 학년별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해독 능력은 그들의 독해 능력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4학년, 5학년, 6학년 학생들 각각 16명씩, 총 48명을 모집하여 이들에게 해독 능력 면에서 서로 다른 난이도를 지닌 세 가지 텍스트를 읽게 하고 이에 대한 독해 질문에 대답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학년에 상관없이 해독 능력이 그들의 독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로 독특한 패턴을 보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각 학년별로 단어 인식에 있어서 서로 다른 단계에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한국 초등학교 학생들이 영어의 해독 능력을 키워서 L1에서 터득한 내용파악과 관련된 능력을 L2로 전이할 수 있도록 교육 받아야 함을 시사한다. While much research posits that reading development in a second language (L2) is similar to that of a first language (L1), some scholars have argued that L2 reading development is more complicated by a variety of factors, one being L1-L2 orthographic distance (Akamatsu, 1999; Geva, Wade-Whooley, & Shany, 1997). Because of the orthographic dista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Korean elementary students acquire reading skills in English, in particular, how their decoding skills vary depending on their grade level and how their decoding skills affect reading comprehension. For this purpose, 48 students in fourth, fifth, and sixth grade―16 students of each―first read aloud three different texts that each exhibited varying degrees of decoding difficulty. Then, they answered comprehension questions about each text. The results revealed that decoding difficulty seems to affect reading comprehension irrespective of grade level. However, each grade level exhibited a unique pattern of decoding difficulty, which indicates that each grade represents a different stage of word reading development.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Korean elementary students should be instructed to practice English decoding skills.

      • KCI등재

        영작문 센터에 대한 대학생과 대학원생의 인식 차이: 한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윤보라 ( Bora Yun ),조수경 ( Sookyung Cho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3 외국어교육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이 영작문 센터에 대해 가지는 인식을 비교·대조하고자 한다. 그간 영어권 국가에서의 영작문 센터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던 반면, 영어를 외국어로 사용하는(EFL) 환경에서의 영작문 센터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현황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과 대학원생의 인식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자, 최근에 개설한 한국의 한 영작문 센터를 대상으로 이곳에서 상담을 받았던 대학생과 대학원생 각각 4명에게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두 그룹 모두 이전에 영작문 센터에 대한 경험이 없었다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아냈다. 먼저 대학원 학생들이 대학생에 비해 더 명확한 목표 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내용보다는 문법에 대한 피드백을 원하고 있었다. 더불어 대학원생들은 튜터 피드백의 전달 시 완곡 어법 사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과 대학원생 사이의 이러한 차이점은 앞으로 영작문 센터가 이 두 그룹의 서로 다른 요구사항을 염두에 두고 상담을 진행해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contrast how Korean graduate and undergraduate students differ in their perceptions on English writing centers. Although writing centers are widely and extensively used in the United States, its history is quite short in a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context. In a Korean university that recently launched an English writing center, this study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four participants of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to se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ir expectations from the writing center as well as their general perceptions on it. A thematic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reveals that there exist several key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although both of them had never experienced the writing center before: graduate students have more specific goals than the undergraduates; they prefer grammar feedback with mitigation while the undergraduates prefer content feedback; and finally undergraduates are more likely to consider it as their privilege to use the writing center. These differences suggest that a writing center should target these two groups with different goals by satisfying what they need in particular.

      • KCI우수등재

        ‘Tutee Resistance’ during Writing Tutorial as a Part of Negotiation: Case Studies on Two Korean EFL Students : 영작문 튜터링에서 나타는 학생 저항에 관하여: 한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현지(Lee, Hyeon-Ji),조수경(Cho, Sookyung)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3

        본 논문은 두 한국 학생을 대상으로 영작문 튜터링에서 나타나는 이들의 저항을 학생과 튜터 간의 협상의 과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튜터링에서 나타나는 학생 저항은 대화 분석에서 비선호 행위로 바라보는 경향이 팽배했다(Waring, 2005).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학생과 튜터 간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타협과 협상이 중요하며 타협은 둘 사이에 갈등이 존재할 때 시작된다는 사회문화학적 관점을 채택하였다(Cho & Kim, 2014; Morley & Stephenson, 2015; Wood, Bruner, & Ross, 1976). 튜터링에서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그들의 작문까지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는 글을 완성하는 전체 틀에서 두 학생의 저항을 살펴보려 한다. 두 학생의 비교 분석 결과 튜터링 동안 저항적으로 인식되었던 학생은 튜터 피드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던 학생과 다르지 않게, 튜터의 피드백을 많이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튜터의 피드백에 대한 학생의 저항을 반드시 부정적으로 볼 필요 없이 오히려 협상의 과정으로 바라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튜터들에게 이러한 가능성을 인식시켜서 학생의 다양한 타협 방식을 다룰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utee resistance’ works as a part of negotiation between writing tutors and tutees by comparing two Korea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students. So far, the resistance that tutees have shown during writing tutorials has been considered as a dispreferred practice in the framework of conversational analysis (Waring, 2005). However, this study adopts a sociocultural view that negotiation is key to tutor-tutee interactions and that it starts when there occurs a conflict between them (Cho & Kim, 2014; Morley & Stephenson, 2015; Wood, Bruner, & Ross, 1976). By taking into account the students’ written products as well as their interactions with their tutors during writing tutorials, this study aims to explore ‘student resistance’ of two Korean EFL students in the whole process of their completing a writing project. The comparison of the two students suggested that the tutee who was seemingly more resistant was as likely as their less resistant counterpart to actually incorporate the tutor feedback. Such a result implies that a tutee’s resistance towards tutor feedback may not be necessarily negative; rather, it can be considered as a process of negotiation between the tutor and tutee. And thus by being aware of this possibility, tutors should be trained on how to cope with tutees’ various ways of negotiation in the tutorials.

      • KCI우수등재

        Application of a Standard Setting Method based on the Rasch Model for the Clinical Comprehensive Examination : 임상종합평가를 위한 라쉬모형 기반 준거설정 방법의 적용

        강태훈(Kang, Taehoon),박찬호(Park, Chanho),조수경(Cho, Sookyung)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3

        준거설정은 자격 시험과 같은 준거 참조 검사에서 핵심적인 절차이다. 다양한 준거 설정 방법이 제안 및 사용되었으며, 그중 일부는 문항반응이론을 기반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한 유형의 문항반응이론 모형인 라쉬모형을 기반으로 비교적 새로운 준거설정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 방법은 의과대학생들이 한국의 의사자격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치르는 임상종합평가에 적용되었다. 이 연구는 합격선 점수를 얻고 과목별 합격자 비율을 산출하기 위한 조사 연구, 그리고 합격선 점수와 합격률의 타당도를 점검하기 위한 전문가 소규모 심층면담 등 2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각 과목의 합격선 점수와 합격자 비율은 받아들일 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전문가는 한국의 의사국시에 비해 합격선과 합격률이 낮은 편이라고 생각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의견에 대한 해석과 그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Standard setting is a procedure critical for criterion-referenced tests such as licensure examinations. Various standard setting methods have been suggested and used, some of which are based on item response theory. In this study, we suggest a relatively new standard setting method based on the Rasch model, which is a special type of item response theory model. The suggested method was applied to the Clinical Comprehensive Examination, which is used to prepare medical students for the medical licensure examination in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rounds: a survey to obtain a cut-off score and the passing rate for each subject area as well as an in-depth questionnaire on a small group of experts to check the validity of these cut-off scores and passing rat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obtained cut-off scores and passing rates were acceptable, although some experts thought both cut-off scores and passing rates were low in comparison with the Korean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Possible explanations for these opinions are provided and implications discussed.

      • KCI등재

        WISE를 활용한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인지실재감, 과학탐구능력, 과학성취도 간의 인과구조 분석

        강명희,김지윤,유은진,박영,조수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WISE(Web-based Inquiry Science Environment)를 활용한 초등 과학탐구수업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변인으로 선행연구에서 규명된 자기주도학습능력, 인지실재감, 과학탐구능력을 상정하고 이들 간의 적합한 구조모형과 유의미한 직·간접효과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D초등학교 6학년 118명이었으며, 8주 동안의 WISE 활용수업에서 수집된 자료를 구조 방정식으로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 인지실재감, 과학탐구능력, 과학성취도의 순서로 유의미한 인과모형이 규명되었다. 이는 학습자가 복합적인 탐구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하도록 구성된 과학탐구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인지실재감을, 인지실재감은 과학 탐구능력을, 과학탐구능력은 과학지식의 습득정도를 측정하는 과학성취도를 예측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인지실재감을 매개로 하여 학습성과에 간접 효과가 있고 인지실재감은 과학탐구능력을 매개로 하여 과학성취도에 간접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WISE를 활용한 과학탐구학습의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최초의 변인은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라 할 수 있으므로, WISE 활용학습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학습전략이 탐구학습 초기에 실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탐구학습과정 중에 인지실재감의 담보를 위해 학습자의 몰입과 집중을 높일 수 있는 학습촉진 전략을 개발하여 활용한다면, 과학탐구능력은 향상되고 나아가 과학성취도에까지 영향을 미쳐서 WISE 활용수업의 효과가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major variables: Self-Regulated Learning (SRL) skills, cognitive presenc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 learning achievement; and second, their causal relationships when Web-based, Inquiry Science Environment (WISE) is used. The study took place over eight weeks through an elementary school’s science classes. In total, 108 student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ing SRL skills affecting cognitive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ffecting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ce process skills affecting science learning achievement seems to be the most appropriate. Specifically, in WISE, where learners are expected to solve a complicated problem by themselves, SRL skills may predict their cognitive presence; and the learners’ cognitive presence may predict their science process skills that in turn may predict the results of their science learning achievement test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irst variable influencing science learning achievement should be SRL skills, and that certain strategies and approaches to maximize learners’ SRL skill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design and develop the most effective web-based inquiry science lessons. (189 w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