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대성 후기 희곡에 나타난 젠더 문제

        조보라미(Zoh Borami)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4 No.-

        본고는 중년의 위기를 다룬 희곡에서 노년희곡에 이르는 윤대성의 후기 희곡을 대상으로, 여기에 나타난 젠더의 변화 양상을 고찰한다. 윤대성 희곡은 1990년대를 전후하여 한국 사회에 나타난 일련의 젠더 변동을 배경으로 한다. 먼저 중년의 위기를 다룬 희곡은 가부장제의 모순을 인정하면서도 젠더 변화를 ‘남성성의 위기’로 인식하는 양가적 시선을 취한다. 그러나 그러면서도 여성과 남성을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로 보고 남성을 여성에 의존적인 존재로 봄으로써 남성성의 자기반성으로 나아간다. 그리고 마침내 <아름다운 꿈 깨어나서>, <동행> 등 노년희곡에 이르러 친밀하고 평등한 젠더 관계를 지향하는바 변화된 남성성을 드러낸다. 이로써 윤대성 희곡은 젠더 문제를 남성성의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다루면서 궁극적으로 미래지향적인 비전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여기에도 한계가 있으니, 무엇보다 윤대성 희곡에 나타난 여성상이 다분히 피상적이고 왜곡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래지향적인 젠더 관계가 ‘헤게모니적 남성성’으로부터 거리가 있는 노년을 주인공으로, 멜로드라마라는 양식에 의존함으로써 비현실적이라는 비판이 가능하다. 그러나 역으로 이것은 한국 현실에서 젠더 평등이 얼마나 지난한 것인가를 드러낸다. 이런 점에서 윤대성 희곡은 한국에서 젠더 문제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바로미터라고 볼 수 있다. This thesis analyzes the gender problem of Yoon Daesung’s late plays, from middle age plays to old age plays. Mr. Yoon’s plays keep an eyes on the change of patriarchy in Korea since 1990’s, in the point of masculinity. Mr. Yoon especially focuses on the gender rel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and at last presents the positive view of masculinity in aspect of gender. To say more concretely, middle age plays reflect the weakening of patriarchy and improvement of self identity of the female. But women are treated superficially and keep a sympathetic eye on men, which reveal the uneasiness and fear for the gender change. But Mr. Yoon regards women and men are in an inevitable relation and men rely on women, which are reflected the self-reflection in <Sorry for dreaming>. And at last old age plays like <Awakening from Beautiful Dream> and <Coming Together> reflect a new vision of masculinity moving toward gender equality. But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Mr. Yoon’s plays: At first, the female features are sophisticated and distorted; the new vision of masculinity and gender equality are expressed no other than in old age plays with melodramatic mode. This means that the positive vision of masculinity and gender relation are not expressed in realistic, but unrealitic way. But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gender equality is so difficult to realize in Korean society. In this respect, Mr. Yoon’s late plays are the barometer of gender problem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MBC 베스트셀러극장 <소나기> 각색 연구: 한국사의 아픔에 대한 애도와 치유

        조보라미 ( Zoh Borami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8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1 No.-

        본 논문은 MBC 베스트셀러극장 <소나기>(장선우 극본, 최종수 연출, 1987.10.4. 방영)를 대상으로, 원작에서 TV드라마로의 각색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이 작품은 소년 소녀의 풋풋한 사랑을 다룬 원작의 핵심적 이야기를 수용하면서도, 소녀의 아버지가 한국전쟁 무렵 빨갱이 활동으로 인해 비극적 죽음을 맞았다는 설정을 통해, 원작 「소나기」를 한국의 사회역사적 상황 아래 전치한다. 이러한 ‘주어진 상황’의 변경은 인물과 사건, 주제에도 변화를 가져오는데, 먼저 소녀는 동리 아이들로부터 ‘미친년’이라 불리며 따돌림을 당한다. 이는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강퍅한 현실 아래 국가이념과 상반된 이데올로기가 집단적인 외면과 핍박을 받는 현실을 드러낸다. 이런 상황에서 소년만이 소녀에게 관심을 가지고 진지하게 접근하는데, 이러한 소년에게도 ‘미친년과 함께 논다’는 놀림이 주어진다. 그러나 소년과 소녀가 함께 소나기를 맞게 되는 산 나들이 및 개울가에서의 재회를 통해 소년은 소녀의 가족사적 아픔에 대해 이해하고 공감하게 된다. 이로써 소녀가 죽은 후 소년은 개울에서 망초꽃을 물에 띄우던 소녀의 행동을 따라하며 그녀의 죽음을 애도한다. 그리고 이때 ‘미친년을 따라 미쳤다’는 동리 아이들의 놀림을 감수하는 모습을 통해, 소녀의 아픔을 외면하지 않고 기꺼이 떠맡으려는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준다. 이로써 MBC 베스트셀러극장 <소나기>는 한국 역사 속에 이데올로기적 폭력을 문제시하고, 희생자에 대한 이해와 공감, 더 나아가 책임의식을 일깨우고 있다. 이것은 원작이 한국의 대표적인 순수문학으로 이해되어 온 점을 감안할 때 수용자의 기대지평에 상당한 충격을 가한다고 할 수 있다. 이데올로기적 문제를 다룬 이러한 작품이 TV드라마로 가능했던 것은 1987년 민주항쟁 이후 달라진 사회 분위기와 함께 MBC 베스트셀러극장 자체가 가진 개방성, 그리고 한국사회에 대한 비판적 문제의식을 지닌 각색자 장선우의 의도가 반영된 결과라 하겠다. This thesis studies the adaptation of the MBC Bestsellerdrama The Shower (written by Jang Seonwoo;directed by Choi Jongsu;played on 4th October, 1987) from the original text of the Shower by Hwnag Soonwon. This drama accepts the main story of the original text, but makes the girl's father 'the red man' having acted and died in the Korean War, through which the situation of the girl changes. Such a change makes successive changes in character, event and subject. At first the girl is isolated and mocked as 'mad girl'. This shows the isolation and persecution to the 'red man' of the 'people' who pursues the desire in poverty in 1950's. Only the boy, Young-gu, has sincere interest in her and becomes her friend, but the persecution is plotted on him, too. But he understands her deeply and sympathizes her through the trip to the mountain and reunion by the brook. So after her death, he imitates her act picking and flowing Fleabane by the brook Then children mocked him as 'he becomes mad as her', but Young-gu endures the mocking, which shows his responsible love to her. In conclusion, MBC Bestseller the Shower brings into question the ideological violence and sacrifice of the minority, calling forth the sympathy and responsibility to the ideological minority. This drama gives a shock to the recipient, considering the 'ideological innocence of the original text. It becomes possible due to the different circumstance after the democratic movement in 1987, the free condition of MBC Bestsellerdrama, and the sociopolitical subject of the adaptor of Jang Sunwoo.

      • KCI등재

        오태석 역사극에 나타난 사실과 허구의 긴장관계

        조보라미(Zoh Borami)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8

        오태석은 1994년 〈도라지〉로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역사극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본고는 이 중에서 〈도라지〉, 〈천년의 수인〉, 〈잃어버린 강〉, 〈앞산아 당겨라 오금아 밀어라〉 등 4작품을 중심으로 사실과 허구의 긴장관계에 대해 분석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작가의 역사관을 고찰한다. 본고에서 우선적으로 주목한 것은, 오태석 역사극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역사적 사실에 대한 상세한 탐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 사실 중에는 일반인의 통념과 다른 것도 있어 오태석 역사극에 대한 섣부른 오해를 낳을 수 있는 소지 역시 있음이 발견된다. 그러나 오태석 역사극이 물론 역사적 사실만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사실과 허구를 양 축으로 오태석 역사극을 놓고 볼 때, 〈도라지〉는 사실의 축에 가장 가까운 작품으로, ‘역사극’과 ‘역사 서사’의 경계에 위치한다. 또한, 〈천년의 수인〉과 〈잃어버린 강〉은 역사적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되 허구적 요소가 적지 않게 나타남으로써 역사적 기대지평과 허구의 관습적 기대지평이 공존한다. 그런데 이 두작품은 역사적 사실과 다른 부분으로 말미암아 역사왜곡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반면, 〈앞산아 당겨라 오금아 밀어라〉는 허구적 인물과 허구적 사건을 중심적으로 다룬다. 따라서 역사 왜곡의 문제를 피해가는 것은 물론, 허구적 이야기를 과감하게 창조함으로써 작가의 역사관을 드러내는 데도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바 오태석 역사극의 성격상 가장 적합한 형태라 하겠다. 이들 역사극을 통해 작가는 가해자와 피해자 간의 용서와 화해, 곧 한국 역사상 친일과 반일, 좌익과 우익의 대립을 지양하는 시각을 드러낸다. 이것은 미래지향적 역사관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이 때 작가가 상정하는 미래란 민족주의적 시각으로 파악될 수 있다. Oh Taeseok has presented many historical dramas since 1994 which deal with modern history of Korea seriously. Among them, this thesis treats these four plays: Doraji(도라지), A Thousand Year Prisoner(천년의 수인), A Lost River(잃어버린 강), and Pull, Ap-san; Push, Oh-geum(앞산아 당겨라 오금아 밀어라〉. Especially this thesis focuses on the tension between historical fact and imagination at first, and then examines the author's historical view. Oh Taeseok's historical plays are based on historical facts, even though the degrees of dependence are different. Doraji, which deals with the lives of Kim Ok-gyun and Hong Jong-woo, the enlightenment intellectuals, is most dependent on historical facts among these works. A Thousand year Prisoner, of which the character is Ahn Du-hee, an assassin of Kim Gu, and A Lost River, which deals with the life of Ahn Jung-geun, the famous activist for independence i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base on historical facts also. But these works are full of historical imagination and both the historical and the conventional expectation reside there. That is, protagonists of these works are historical characters, so reader/spectator of these works requires the historical expectation from these works. But some events conflict with historical facts, so charge of historical distortion arises. On the other side, Pull, Ahp-san; Push, Oh-geum, which treats the Jeju revolution in 1948, treats fictional characters and events. So reality effect depends on the custom of realism, not on the outside of the text, whereby it avoids the problem of historical distortion. And that, this work creates fictional events which serves the representation of the historical view of the playwright. So it can be said that this form (invented historical drama) is suitable for Oh Taeseok's historical drama. After all, through these works Oh Taeseok reveals the historical view of rejecting the confrontation of pro- and anti-Japanese group, or that of the right wing and the left wing. This view can be interpreted as a historical view toward the future, and the future the playwright hopes can be seen as nationalism.

      • KCI등재

        소설에서 희곡으로의 각색 연구

        조보라미(Zoh Borami) 한국어문학회 2007 語文學 Vol.0 No.98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is a short story cycle by Cho Sehui, which deals with the problem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Korean society in 1970’s. It was adapted into play and film right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novel, and lately(2007) into play and TV drama. This thesis deals with the adaptation from novel to play in case of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A Small Ball- in abbreviation) in 2007. This novel is dramatic in the point that it has many dialogic scenes without intervention of narrator. Futhermore, there appears the form of a play such as ‘the name of a character:dialogue’. And the adaptation play takes these from the novel without change. The play also adapts as many parts of the novel as possible, and it also takes the cross structure of past and present, reality and fantasy, kernel(main event) and satellite(sub-event). And it also inherits many characters and theme of the novel.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lay is the faithful adaptation of the novel. But the faithfulness of the novel results in excessive ideal feature and boredom instead of dramatic strain. Also it is found distortion of meaning when literally translated. These reveal that the faithfulness of the original can not be the criteria of analysing or valuing of adaptation. The analysis of adaptation is, then, the comparative narratology in the base of narrative analysis of original and adaptation genre. In the base of this freedom of the burden in the faithfulness of the original, the transformation of context can be dealt in adapting this novel. When the play is adapted literally in the 1970’s context of the original novel, it seemed to be behind times. So keeping pace with the time the adaptation is presented needs to be considered even in the case of the intention of faithfulness to the original. Lastly, in adapting into the play, the possibility of non-verbal expression needs to be considered. In this sense, the symbol of a dwarf and the space discourse in A Ball- should be applied in this adaptation.

      • KCI등재

        오태석의 6ㆍ25 3부작 연구 1

        조보라미(Zoh Borami)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5

        본고는 오태석의 6ㆍ25 3부작 (〈산수유〉, 〈자전거〉, 〈운상각〉)의 구조적 상동성을 밝히고자 하는 의도 아래, 오태석의 최고작 중 하나로 일컬어지는 〈자전거〉를 먼저 분석한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전거〉에 대해 다음과 같은 새로운 사실이 밝혀진다. 〈자전거〉는 다른 6ㆍ25 3부작과 마찬가지로 전쟁세대와 전후세대가 골고루 등장한다. 그러나 다른 두 작품과 달리 전후세대를 중심인물로 취하며, 이것은 작가 오태석이 속한 세대라는 점에서 또다른 문제성을 함축하고 있다. 플롯의 측면에서 볼 때, 〈자전거〉는 ‘명시적 플롯’ 이면에 ‘숨겨진 플롯’이 존재하는 이중 구조로 파악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전쟁세대 가해자의 죄의식은 물론, 전쟁의 피해가 전후세대에까지 미친다는 6·25 3부작의 두 가지 이야기-구조가 효과적으로 드러난다. 한편, 이 극에서 문둥이의 존재는 우리나라 역사상 좌익의 알레고리로 볼 수 있다. 또한, 극중에서 문둥이 일가의 이야기에 집착하는 윤서기는 허구 속 등장인물로서의 역할을 넘어 극작가 의식을 이어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로써 〈자전거〉에 나타난, 6ㆍ25의 비극에 대한 알레고리적 성격은 더욱 심화된다. 또한, 절정에 이르기 직전 의도적으로 시간을 지연하면서 긴장을 고조시키는 방식 역시 상동적인데, 〈자전거〉에서는 특히 연극 놀이라는 비사실적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This thesis analyzes 〈the Bicycle〉 in respect of the Korean War(6.25) trilogy of Oh Taeseok. The trilogy is homologous in the respects of character, plot and the way of making tension. Through this analysis, new facts about 〈the Bicycle〉 are revealed as follows: Both the war-experiencing generation and the post-war generation appear in 〈The Bicycle〉 as the other works of the Korean War trilogy. But the protagonist(Mr. Yoon) in 〈Bicycle〉 belongs to the post-war generation, to which dramatist Oh also belongs. The events related with the leper family in this work constructs the foregrounding plot(the overt plot), while the concealed past of Mr. Yoon's uncle who set fire on a registry during the Korean War constructs the secret(the covert plot) in this work. And the events which a bull attacked Mr. Yoon but the dead rescued him become the other secret. Hereby, 〈the Bicycle〉 can be explained as a double structure where both the foregrounding plot and the secrets reside. And that, Mr. Yoon who mysteriously attached to the story of the leper's family can be seen as the playwright's consciousness in this work. With this, the allegorical features about the tragedy of Korean War in 〈the Bicycle〉 deepens more than before.

      • KCI등재

        ‘한국적인 심성의 근원’을 찾아서 : 최인훈 문학의 도정(道程)

        조보라미(Zoh Borami)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0

        탈식민주의적 시각은 최인훈 문학에 대해 본질적으로 접근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이것은 작가 자신이 ‘5부작’으로 읽히기를 바랐던 주요 소설-『광장』, 『회색인』, 『서유기』,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태풍』-이나 그 외 다른 소설은 물론, 희곡으로의 장르 전환에 대해 해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최인훈 소설은 서구의 가치와 문화가 한국을 지배하는 현실을 반복해서 표현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있다. 또한 후기 소설에는 이에 대한 극복 방안이 모색되고 있는데, 우선 『태풍』은 세계 패권국의 지배권 경쟁구도 가운데 약소국들의 국제적 연대의 필요성과, 민족이라는 고정 관념을 유보한 채 잡종성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식민지적 현실을 극복할 대안으로 불교를 중심으로 한 전통의 회복을 제시한다. 이때 『태풍』이 최인훈 소설사의 구도 속에서 다분히 예외적인 형식을 띠며 그 해결책 역시 독특하다면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작가의 다른 소설들과의 연계성이 강하다. 한편 최인훈 희곡은 이러한 탈식민주의적 인식의 연장선상에서 한국의 문화적 경험을 적극적으로 담보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창작되었다. 이것은 무엇보다 최인훈 희곡이 한국의 설화나 고전소설을 소재로 한 것과, 무대지시문과 대사에 있어 한국어의 아름다움을 최대로 살리고자 한 데서 확인된다. 또한 한국의 고유한 심성인 정(情)과 한(恨)을 바탕으로 한 인물을 형상화하고, 비극적인 극의 내용과 상반된 축제적 결말을 통해 한(恨)을 작품 구조의 측면에서 구현하고 있다. 그 외에 굿과 농악, 각설이 타령과 풍년가 등 연극적인 표현양식을 통해서도 ‘한국적인 것’이 구현된다. 그런데 이때 최인훈 희곡에서 ‘한국적인 것’은 남을 인정하는 바탕 위에서 나의 것을 주장하는, 보다 폭넓은 논리를 가지고 있음이 주목된다. 즉, 최인훈 희곡은 언어에의 의존도를 낮추고 움직임과 소리, 빛 등 비언어적 요소를 강화한다는 점에서 현대 연극의 흐름과 일치하며, 기존에 실용적이고 부차적인 기능만을 가져온 무대지시문에 본질적이며 미학적인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세계 희곡/연극의 측면에서 새로운 미학을 드러낸 의의가 있다. 이런 점에서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에서 아기장수의 생애를 예수의 생애와 유비하고 있는 것은 한국이라는 ‘특수성’과 세계라는 ‘보편성’을 결합시키기 위한 의도로 해석할 수 있다. 결국 최인훈 문학은 일본의 식민 체험은 물론 서구의 영향력이 점차 그 지배력을 강화하는 20세기 한국의 상황 속에서, 작가 자신이 ‘한국적인 심성의 근원’이라고 표현한바 한국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작업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e view of postcolonialism is one of the essential ways of approaching the literature of Choi Inhoon. It applies to his main novels which the writer Choi called 'pentalogy'-the Square, the Gray Man, Seoyugi, The Day of a Novelist, Gobo, and Typhoon- and the other novels as well. And it also provides the key to apprehending why he writes plays in 1970's. Writer Choi's novels express and criticize the reality that western culture dominates the Korean society. And his later novels, Typhoon and The Day of a Novelist, Gobo show how to overcome it in different ways. On the one hand, Typhoon represents the need of international solidarity of small nations against the world powers, and hibridity instead of a rationally homogeneous belief. On the other hand, The Day of a Novelist, Gobo provides the recovery of tradition centering Buddhism. In this respect, The Day of a Novelist, Gobo is in the main line of Choi Inhoon's novels, different from Typhoon. Meanwhile, Choi Inhoon's plays are also created in the postcolonial view, especially to express the Korean identity in positive way: At first, Writer Choi's plays deal with various folk tales and traditions; his works display the most attractive merits of Korean language; they also display the protagonists' emotional depiction of affection(情) and tragedy(恨) representing Korean mentality; they display a great aesthetic appeal of tragedy launched by some ritual ceremony in the end in a way of ironic interaction with grave main contents; in addition, Korean identity is also expressed by shamanistic and farming songs along with folk songs during the performance on the stage. Choi In-hoon's plays are conscious of universality. Writer Choi's plays reinforce the nonverbal elements such as movement, sound, light instead of verbal elements, which accords to the contemporary theatre toward performance beyond the text. And stage directions have essential and aesthetic function instead of practical and secondary function, thereby reveals the new aesthetics in the world of drama. In this respect, the analogy of the life of baby commander(아기장수) and that of Jesus in Long long time ago, whoee whoee(〈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can be interpreted to integrate the specificity of Korea and the universality of world. In conclusion, Choi Inhoon's literature is to search for the Korean identity which the writer Choi called 'the essence of Korean mind', in the dominance of Japan and western culture in the 20th century of Korea.

      • KCI등재

        오태석 희곡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조보라미(Zoh Borami)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4

        본고는 오태석 희곡 〈심청이는 왜 두 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우선 상호텍스트성의 개념과 논의의 틀을 검토한다. 문학 연구에서 상호텍스트성은 하이퍼텍스트와 히포텍스트 간에 ‘반복’과 ‘변형’의 규칙을 언어학적으로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상호텍스트성의 의미화를 위해 패로디, 패스티쉬, 인용, 꼴라주 등의 개념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심청이는 왜 두 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는 기존에 판소리 〈심청가〉에 대한 패로디로만 해석되어 왔다. 그러나 이것은 희곡 창작 당시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공중전화 살인 사건이나 탈주범의 인질극 등이 어느 정도 변형을 거쳐 하이퍼텍스트에 인용되거나 구조적으로 반복된 바, 당대 사회현실에 대한 꼴라주로 볼 수 있다. 또한, 기존 희곡과의 상호텍스트성도 발견된다. 이강백 희곡 〈셋〉에 나타나는 가학적-피학적 놀이, 그리고 오종우 희곡 〈칠수와 만수〉에 나타나는, 대중매체의 사생활 폭로 및 이에 대한 인물의 분노라는 형식적 구조가 반복된다. 그런데 이것이 어디까지나 하이퍼텍스트의 한 부분에 국한된 것이라면, 최인훈 희곡 〈달아 달아 밝은 달아〉는 〈심청이는 왜 두 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와 보다 밀접한 관계에 놓여 있다. 이것은 인물 및 사건의 구조 등 구조적 층위에서는 물론, 하이퍼텍스트의 대사 가운데 ‘달아 달아’가 의도적으로 반복됨으로써 표현적 층위에서도 유사성이 나타난다. 또한, 두 텍스트 모두 〈심청가〉와의 차이를 통해 현실의 포악함이 더욱 강조되는바, 주제적 층위에서도 유사하다. 따라서 〈심청이는 왜 두 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는 이상의 기존 희곡에 대한 패스티쉬로 볼 수 있되, 〈달아 달아 밝은 달아〉와 보다 긴밀한 패스티쉬의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태석 희곡은 이와 같이 기존의 다양한 텍스트를 창작의 원천으로 삼으면서도, 이것을 하이퍼텍스트 내에 자연스럽게 융합함으로써 창조적인 작품을 생산하는 데 그 독특성이 있다. 이로써 본고는 상호텍스트성이라는, 오태석 희곡의 창작 원리를 밝힘은 물론, 상호텍스트성을 문학 연구에 활용하기 위한 시론으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This thesis is on the intertextuality of Oh Taeseok's play, Why did Simcheong throw herself into Indangsu twice. For this, we have to discuss how intertextuality can be dealt in the study of literature. It is dealt in two respects. Firstly, the 'repetition' and 'transformation' between the hypertext and hypotext(these terms are by G. Genette) linguistically. Secondly, for explaining the meaning of intertextuality, parody, pastiche, citation, and collage need to be used. Why did Simcheong throw herself into Indangsu twice has been considered only as a parody of Pansori Simcheon-ga. But various social issues such as killing in the public telephone booth or hostage taking by Ji Gangheon were cited in the play, so we can interpret it as collage. And that, similarities with some plays are revealed, such as Three by Lee Gangbaek, Chilsu and Mansu by Oh Jong-u, and Moon, Moon, the Bright Moon by Choi Inhoon. Intertextuality of the first two plays is on the level of structure, whereas that of last one is on the levels of expression, structure and subject. So, we can say that Why did Simcheong throw herself into Indangsu twice is a pastiche of the three plays, and especially, it is a close pastiche of Choi's play. With this, this thesis argues intertextuality, one of the important principles in the playwritings of Oh Taeseok. And also it shows the model how to apply intertextuality in the study of literature.

      • KCI등재

        이반의 분단희곡 연구 -망향의식과 분단 극복 방식을 중심으로-

        조보라미 ( Zoh Borami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4

        이반은 함경도 출신의 월남 작가로 분단극과 종교극에 역점을 두고 창작했다. 이 중 이반의 분단극은 월남민의 삶을 사실적으로 다루고 있음은 물론, 함경도 출신 월남민들의 집단 거주지인 ‘아바이 마을’ 특유의 망탈리테를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1979년에 발표된 <그날, 그날에>에는 남한에서의 삶을 피난민의 그것으로 보고 한평생 고향으로 돌아갈 날을 손꼽아 기다리는 월남 1세대의 삶이 다루어진다. 여기서 월남 1세대들은 고향과 자아와의 상상적 동일시를 통해 상상계로 퇴행하고 있는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상상계적 영역이 오히려 이성과 상식을 바탕으로 한 상징계적 영역을 전도할 정도의 힘을 가짐으로써, 통일에 대한 소망이 희박해져 가는 현재, 통일의 심정적 당위성을 강하게 환기시켜 주고 있다. 한편 <아버지 바다>(1989)는 작가에 의해 ‘분단희곡의 마지막 편’이라 일컬어진 것으로 월남 1.5세대, 더 나아가 그 후속 세대의 삶에 관심을 두고 있다. 여기서 작가는 노사갈등과 분단 문제가 첨예한 당대 한국 현실을 아바이 마을로 축소시켜 옮겨 놓고 이러한 현실에 대응하는 다양한 삶의 방식을 표현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형철은 <그날, 그날에>의 김 노인을 잇는 망향의식을 드러냄은 물론 분단 극복을 위한 ‘행동’에 나서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이에 반해 분단 극복을 위한 형철의 비전이 모호하게 표현된 것은 한계로 지적된다. 결론적으로 이반의 분단희곡에서 분단 극복에 대한 구체적인 비전을 찾기는 어려우며, 오히려 이것은 한일 문제를 다룬 종교극에서 그 단초를 찾을 수 있다. <바람 타는 성>과 <샛바람>에서 보듯, 이반 희곡에서 분단 문제와 종교 문제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은 이러한 추정의 개연성을 높이고 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plays on the division of Korea written by Ban Lee. Ban Lee’s plays deal with the life of persons displaced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Wollammin) realistically, and express the mentality of persons living in ``Abaimaeul``(the residence of persons displaced from Hamgeong-do). Gnal, gnare(그날, 그날에) and Dongchangsaeong(동창생) deal with Wollnammin of first generation who has a very passionate homesickness to reverse reason and commonsense. So they make known the appropriateness of the unification of Korea. And Abeojibada(아버지 바다) deals with Wollammin of 1.5 generation and the passionate homesickness in Gnal, gnare converts to action by the protagonist of Abeojibada. But the action of the protagonist is so ambiguous that we can`t catch the connotation of his action clearly. In this point, we have to refer the religious drama of Ban Lee which treat the conflict of Korea and Japan, which can be hint of the solution of the conflict of North and South Korea. This study doesn`t treat this problem further, but only reveals that Ban Lee`s plays unify the motif of the division of Korea and the motif of religion through the analysis of Baram Taneun Sung(바람 타는 성) and Saetbaram(샛바람).

      • KCI등재

        일제 말기 국민연극에 대한 수용미학적 고찰

        조보라미(Zoh, Borami)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4

        함세덕의 일제 말기 희곡에 대한 연구는 친일성과 양가성 사이에 팽팽한 대립을 보이고 있으며, 그 논란의 중심에 〈어밀레종〉과 〈낙화암〉이 자리한다. 본고에서는 H.R.야우스-W.이저로 이어지는 수용미학과 심리적 독자반응이론에 의거하여 이들 작품이 친일 일의적으로 해석될 수 없음을 보이고 있다. 〈어밀레종〉에서 이화녀 이야기는 커다란 ‘빈틈’에 해당한다. 이화녀는 어밀레종 설화가 본래 지니고 있는 체제의 폭력성을 드러내는 인물이며, 주종 이야기 및 미추홀-시무나의 사랑 이야기와 화해되지 못하는 잉여적 존재이다. 다시 말해 그는 ‘소아를 희생하여 대아를 이룬다.’는 전체주의적 ‘기대지평’을 위반하는 인물인 것이다. 또한 나라의 대업을 위해 아이를 빼앗긴 그는 일제 말기 식민지인들에게 가장 큰 심리적 동화의 대상이기도 하다. 한편 〈낙화암〉에서 가장 큰 ‘빈틈’은 태자 륭의 존재이다. 그는 백제 재건을 위해 고구려로 가는 도상에서 궁녀들을 만나는데, 이때 일행의 반대를 무릅쓰고 궁녀들과 운명을 함께한다. 이것은 국가보다 민중을 우선시하는 입장으로, 만세일계의 천황을 절대 부동의 국체로 삼고 국가를 모든 것에 우선하는 일제 말기 담론과 상반된다. 아울러 태자 륭의 지도자적 위치에 가까운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현 시국에서 국가와 민중 사이에 어느 편에 서야 할 것인가를 고민하게 만들었을 가능성도 있다. 이렇게 볼 때 〈어밀레종〉과 〈낙화암〉은 친일에 부합하는 측면이 있으면서도 당대의 ‘기대지평’에 변화를 꾀하는 지점이 뚜렷이 존재한다. 이런 점에서 함세덕의 일제 말기 희곡은 친일 일의적으로 해석될 수 없는 양가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 나타난 ‘흔들리는 주체’는 일제말 현실에 고민하고 고뇌한 작가 함세덕의 일면이 투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National theater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has a propagandic and purposive feature, so interest of national theatre in the reader/spectator would be very strong. This study deals with the plays of HamSeduk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point of aesthetics of reception and psychoanalytic reader-response theory. Views on these plays are opposed as pro-Japanese and ambivalent works, andEmilejong andNakhwaam are in the center of this oppositional view. The story of Iwhanye makes the very big ‘blank’ in the text of Emilejong. It reveals the violence of the regime and makes the surplus contrasting the main story of the bell-making and the story of love between Michuhol and Simuna. That is, she violates the super rule of totalitarianism, and she, who was deprived of her only child by the ‘nation’, is the object of psychological assimilation of the people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the big ‘blank’ ofNakhwaam is the feature of Prince Ryung. On the way to Gogurye for reconstructing Baekje, he does not neglect the court ladies and he regards themin the first and nation in the second, which contrasts with the discourse of the time. Hereby,Emilejong andNakhwaam try to change the horizon of expectation, even though they have the pro-Japanese feature more or less. So the plays of Hamseduk in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can not be understood as pro-Japanese completely. The ‘wobbling subject’ revealed inMichuhol and Prince Ryung is, in one sense, the reflection of HamSeduk living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윤대성의 노년희곡 연구

        조보라미(Zoh Borami)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2 No.-

        본고는 윤대성 후기 희곡의 한 갈래인 노년희곡에 대해 고찰했다. 윤대성의 후기 희곡은 사회현실에서 실존적 문제에로 관심이 이동한 시기로, 특히 중년기와 노년기라는 인생 주기에 따른 ‘자아정체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중 <한 번만 더 사랑할 수 있다면>, <아름다운 꿈 깨어나서>, <동행> 등의 노년희곡은, 노년에 당면한 자아정체성의 위기를 드러내고 이것의 극복방안을 모색하는바 ‘자아정체성을 찾는 여정’이라 요약될 수 있다. 윤대성 노년희곡에서 자아정체성의 위기는 구체적으로 역할상실과 고독, 질병, 빈곤 등 노인의 4고(苦)뿐 아니라 독거노인의 문제, 자녀와의 관계, 요양시설 등 다양한 노인문제로 나타난다. 그리고 노년을 살아가는 긍정적인 비전으로 사랑과 기억, 추억이 제시된다. 이때 사랑은 노년에도 얼마든지 ‘낭만적 사랑’이 가능하다고 보면서도 ‘친밀감’과 ‘헌신’이라는 요소를 부각시킴으로써 노년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기억과 추억은 노년의 발달과업인 ‘자아통합감’ 형성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로, 윤대성의 희곡이 자아정체성을 찾는 여정임을 분명히 한다. 한편 윤대성의 노년희곡은 남성 젠더에 주목하여 그들의 삶과 고민을 그리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기존의 노년문학 및 노년학 연구는 젠더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있다 하더라도 여성 노인에 관심을 기울여 온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윤대성의 노년희곡은 여성노인과는 또 다른 의미에서 소외되어 있는 남성노인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그의 희곡은 남녀 간의 통속적인 사랑, 음악과 시, 우연성, 파토스, 도덕적 결말구조 등과 같은 특징을 가짐으로써 멜로드라마 양식을 취한다. 이것은 멜로드라마적 세계의 구현을 통해 노년의 삶을 긍정하고 위안을 제공하려는 태도로 이해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윤대성의 노년희곡은 노인문제를 제기하는 것을 넘어 노년의 긍정적인 비전을 드러냄으로써 대안적인 노년담론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자아정체성을 찾는 여정’이라는 주제는 물론, 작가의 인생주기에 따른 희곡이라는 점에서 노년희곡 창작에 하나의 모델을 제공한다. 아울러 멜로드라마 양식을 통해 대중적인 노년연극의 가능성을 제시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studies the old age plays of Daesung Yoon, If I love again, Awakening from a beautiful dream, Going together. Old men and women in these plays experience the crisis of self-identity and seek for the solution to overcome it, so these plays can be interpreted as the journey looking for the self-identity in old age. Self-identity is the keyword of late plays of Mr. Yoon which covers from his plays about the crisis in the middle age. The crisis of self-identity is expressed by various problems of the aged, including loss of role, poverty, illness and loneliness. Love, memory ability and beautiful memories of life are revealed as a positive vision for the life of the old. Therein romantic love is whatsoever possible, but intimacy and commitment are necessary for the love of old age. Memory ability and beautiful memories of life contribute to the ego-integrity, too. Especially, Mr. Yoon’s plays focus on the problems of old ‘male’ men which have been neglected in the old age literature as well as gerontology and take the melodramatic mod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main stream of Mr. Yoon’s past plays. In conclusion, old age plays of Mr. Yoon propose an alternative discourse of the old age through the positive vision; They also present a model for the writings of the old age plays such as the journey looking for the self-identity; Lastly they give a possibility of popular old age drama through the melodramatic mo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