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대구 인접지역에 대한 삼림식생의 군락분류

        정흥락,이호준,이재석,Choung, Heung-Lak,Lee, Ho-Joon,Lee, Jae-Seok 한국생태학회 2000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3 No.5

        1994년 9월부터 1997년 8월까지 대구 인접지역의 삼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조사지역에서 삼림식생은 신갈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대사초하위군락),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 고로쇠나무-까치박달군락(전형하위군락, 졸참나무하위군락, 층층나무하위군락), 소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오이풀하위군락, 철쭉꽃하위군락), 털진달래-그늘사초군락, 아까시나무식재림, 리기다소나무식재림, 일본잎갈나무식재림, 곰솔식재림, 잣나무식재림의 7군락, 8하위군락, 5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 신갈나무군락의 식별종은 신갈나무, 뱀고사리, 철쭉꽃, 쇠물푸레, 노린재나무, 노루오줌, 병꽃나무, 꽃며느리밥풀, 고로쇠나무-까치박달군락에서는 고로쇠나무, 까치박달, 서어나무, 고추나무, 소나무군락에서는 소나무, 졸참나무, 댕댕이덩굴, 노간주나무로 각각 나타났다. 특히 졸참나무는 소나무군락의 관목층과 초본층에서 높은 상재도를 보였다. DCA에 의한 요인분석에서는 표조작에 의한 군락분류와 유사한 군락의 분포패턴을 보였으며, 습도구배에 따라 각 군락의 특성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군락의 철쭉꽃하위군락과 신갈나무군락의 전형하위군락은 유사한 입지환경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forest vegetation surrounding Taegu area was investigated by the methodology of the ZM school of phytosociology, from September, 1994 to August, 1997.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8 subcommunities and 5 afforestations as follows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Typical subcommunity, Carex siderosticta sub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Quercus dentate community, Carpinus cordata-Acer mono community (Typical subcommunity, Quercus serrata subcommunity, Cornus controversa sub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Typical subcommunity, Sanguisorba officinalis subcommunity,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ubcommunity), Lespedeza maximowiczii-Rhododendron mucronulatum community , Robinia pseudo-acacia afforestation, Pinus rigida afforestation, Larix leptolepis afforestation, Pinus thunbergii afforestation, Pinus koraiensis afforestation. The differential species of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ere Quercus mongolica, Athyrium yokoscense,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Fraxinus sieboldiana, Acer pseudo-sieboldianum,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Weigela subsessilis, and Melampyrum roseum, those of the Carpinus cordata-Acer mono community were Acer mono, Carpinus cordata, Carpinus laxiflora, and Staphylea bumalda, those of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y were Pinus densiflora, Quercus serrata, Cocculus trilobus, and Juniperus rigida. Constance degree of the Quercus serrate was especially high in shrub and herb layers of the Pinus densiflora community.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by DCA showed that distribution pattern of the communities were similar to that by Z-M method and that communities were arranged according to soil moisture gradient.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ubcommunity of the P. densiflora community and the Typical subcommunity of the Q. mongolica community were distributed in similar environments.

      • SCOPUSKCI등재

        대구 인접 지역 삼림식생의 진행천이와 잠재자연식생

        정흥락,전영문,이호준,Choung, Heung-Lak,Chun, Young-Moon,Lee, Ho-Joon 한국생태학회 2006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9 No.3

        대구 인접지역 삼림식생에 대한 진행천이의 메카니즘과 잠재자연식생을 추정하였다. DCA 에 의한 요인 분석에서는 해발 고도 및 습도구배에 따라 각 군락의 특성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양의 수분 함량과 유기물 함량 및 전질 소량은 군락이 발달함에 따라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관 연관분석에서는 2개의 종집단으로 크게 구분되었으며, 이들 두 집단의 유형을 결정하는 요인은 기온 및 토양의 수분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두 종집단은 천이의 진행에 따라 종조성이 달라지는 군락의 발달단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이며, 생활형 조성도 이를 뒷받침하였다. 입지요인 및 종조성에 따라 소나무 군락,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및 떡갈나무군락은 졸참나무군락이나 신갈나무군락으로 각각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잠재자연식생은 종조성, 토양환경 및 지형요인에 의하여 산지 중 상부의 신갈나무군락, 계곡부의 고로쇠나무-까치박달군락, 산지 중 하부는 졸참나무군락 의 3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신갈나무군락과 고로쇠나무-까치박탈군락은 현존 식생이면서 잠재자연식생이며, 소나무군락은 현재의 종조성 및 해발 영역을 토대로 신갈나무군락과 졸참나무군락으로 각각 발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This study represents the mechanism of progressive succession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n the forest vegetation in and surrounding Daegu. As a result of DCA, the feature of community was determined by an altitude and humid gradients. The soil moisture, contents of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increased as the community developed. In the interspecific association analysis, the forest vegetation was divided into two species groups and they were influenced by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Especially, each two groups showed different stages of vegetation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progressive succession and life form composition supported those results. It was predicted that Quercus variabilis, Q. acutissima, Q. dentata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would develop into Q. serrata community or Q. mongolica community depending on their location or species composition. In the study area,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was divided into 3 communities by biogeographical gradients such as species composition, soil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features: 1)Q. mongolica community in the middle-upper area of the mountain, 2)Q. serrata community in the middle-lower area of the mountain and 3)Carpinus cordata-Acer mono community in the cove area. It is suggested that the Q.mongolica and C.cordata-A.mono communities become actual vegetation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But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P. densiflora community would be changed into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the Q. mongolica community and Q. serrata community on the basis of the present species composition.

      • KCI등재

        금호강 ( 대구 , 경북 ) 본류에서 유수변초본식생의 군락분류와 그 분포특성

        정흥락(Heung Lak Choung),이호준(Ho Joon Lee) 한국환경생물학회 200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19 No.4

        N/A The Herbal vegetation on Running Waterside in the Main Stream of Geumho River, Daegu and Gyeongsanbuk-do, Korea was investigated by the methodology from June to August of 1994 and analyze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that was related Water Environment. The vegetation is divided into 6 communities of Persicaria sieboldi-Persicaria hydropiper community, 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Impatiens textori community, Zizania latifolia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and Echinochloa crus-galli var. oryzicola community. A BOD and COD that indicate degree of contamination in water were showed 0.9 ppm and 1.6 ppm at upstream and 15.9 ppm and 24.8 ppm at downstream, respectively. The upstream, by Persicaria sieboldi-Persicaria hydropiper community from upstream to mid-upstream, by 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from upstream to midstream, by Zizania latifolia community from midstream to mid-downstream and b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and Echinochloa crus-galli var. oryzicola community from mid-downstream to downstream. Especially, I suggested that Persicaria sieboldi-Persicaria hydropiper community and 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will use as biotic indicator in water environment.

      • KCI등재
      • KCI등재
      • 한강하구습지보호지역의생태계서비스증진을위한보호관리방안

        이은혜,정흥락,오충현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은 2006년 4월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일대 지역은 지정학적인 이유와 더불어 군사적인 이유로 철책선을 통해 민간인의 접근이 통제되어 온 곳(민간인 통제구역 ; Civilian Controlled Area)으로 산업화에도 불구하고 개발압력이 낮은 지역이어 서 생태계교란이 최소화되어 생태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는 지역이다. 한강하구는 넓은 기수역, 생물서식처, 평화의 상 징적 공간 등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생태적, 인문 사회적, 높은 경제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지역으로 다양한 생태계서 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한강하구는 서울과 인접해 있고, 파주, 김포, 일산 등 개발이 활발한 지역에 근접해 있어 개발압력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으로 이로 인한 습지 면적의 감소, 습지 훼손, 철새 도래 개체수 감소 등 다양한 문제의 발생으로 생태 및 환경 등의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 하였다. 한강하구 훼손위협 및 관리에 대한 대응책 마련하 고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에서 제공되는 생태계 서비스 증 진을 위하여 한강하구의 생태, 인문 사회적 현황 조사를 바 탕으로 보전 관리 방안을 마련하였다. 한강하구의 공급서비 스 증진을 위해서는 어족자원의 확보와 어로 생산성 증대, 습지 담수 기능 향상 등이, 조절서비스 증진을 위해서는 훼 손된 습지의 건강성 회복과 환경개선이 필요하며, 지원서비 스의 증진을 위해서는 습지에서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을 위한 서식지 보전 및 관리 강화 및 생물다양성관리계약 등 을 통한 생물다양성 증진이, 문화서비스 증진을 위해서는 한강하구 탐방시설, 방문자센터 등의 거점 관리시설 구축과 한강하구 습지 생태탐방을 위한 생태관광과 습지 보전 및 체험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