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개용수 염도수준에 따른 시설 상추 및 당근의 생육 영향 분석

        전지혜,정한석,김학관,Jeon, Jihye,Jeong, Hanseok,Kim, Hakkwan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7 No.4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onitor and assess the effects of saline irrigation water on lettuce and carrot growth in protected cultivation. One control and 4 treatments with three replications, which we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alinity in irrigated water, were employed for each vegetable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irrigation with saline water. Monitoring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irrigation water containing above a certain level of salinity was found to cause excessive accumulation of salts in the soil as saline irrigation water increased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d sodium ($Na^+$) content in both lettuce and carrot soil samples, while tap water irrigation used as control decreased the salinity in the samples. The salinity higher than the threshold level of irrigation water was found to reduce the yields of lettuce and carrot, while in less than the threshold level the higher the salinity of the irrigation water increased the yields. The salinity of the irrigation water also appeared to increase the internal salinity of the plant as the $Na^+$ content in plant increased as the salinity of irrigation water increase. Increased $Na^+$ content was analyzed to be able to increase the sugar content in carrot.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suggest water quality criteria for safe use of saline water in protected cultivation, although long-term monitoring is needed to get more representative results.

      • KCI등재

        클러스터 진화에 있어서 회복력의 의의와 과제

        전지혜(Jeon, Jihye),이철우(Lee, Chulwo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클러스터 관점에서 회복력의 개념을 정립하고 클러스터 및 그 진화에 있어서의 회복력 개념 적용의 의의를 살펴본 뒤 이를 바탕으로 클러스터 회복력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회복력은 1970년대부터 생태학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 및 활용되면서 확대 · 발전되었고, 오늘날 경제지리학과 지역 연구에 있어서도 널리 도입되고 있다. 회복력은 클러스터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클러스터가 직면한 충격을 극복하도록 하여 선순환적인 진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유용하다. 더욱이 회복력은 클러스터 진화 과정에서 그 자체가 진화하며 클러스터 진화 패턴에 영구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따라서 클러스터 회복력은 다양한 성격의 중층적 경제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분석방법과 이를 경험적 연구에 적용한 사례 연구의 축적, 일련의 회복력 구축 과정이 포괄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 치밀한 분석틀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클러스터 회복력 연구는 학술적 측면에서 동태적 관점의 산업집적지 연구 패러다임의 자리매김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또한 정책적 측면에서 회복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선순환구조 확립에 대한 이정표를 제시할 수 있도록 진화경제지리학에서 하나의 확고한 연구영역으로 정착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resilience from a cluster perspective,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applying resilience concept to clusters and their evolution, and to suggest research issues of cluster resilience. Resilience has been expanded and developed since it was appli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ecology, since the 1970s and is now widely used in economic geography and regional studies. Resilience is a factor influencing cluster evolution, and is useful in seeking methods of virtuous evolution by allowing the clusters to overcome the shocks that clusters face in a more desirable direction. In addition, resilience is significant in that resilience not only evolves itself in the process of cluster evolution but also leads to a permanent change in the cluster evolution pattern. Thus, cluster resilience needs to accumulate analytical methods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multi-scale economic regions, and to be developed with a detailed analysis framework that can comprehensively deal with a series of resilience-building processes. In conclusion, research on cluster resilience contributes to establishing a paradigm of industrial complex research from a dynamic perspective. In addition, the research needs to be established as a definite research area in evolutionary economics geography so that it provides a milestone in establishing virtuous cycle of structure that can strengthen resilience.

      • 새만금호 3차원 수리ㆍ수질모델(EFDC)의 수치격자 민감도 분석

        전지혜 ( Jihye Jeon ),정세웅 ( Sewoong Chung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수치모델은 모델의 이론적 구조, 입력자료, 매개변수의 구성 과정에서 모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형태의 불확실성 요소를 내포할 수 있으므로 주요한 입력자료에 대한 민감도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해석하고자 하는 수체의 연속된(continuous) 공간적 영역을 이산된(discretized) 형태의 수치 격자로 구성하는 일은 전체 모델링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다. 수치격자의 구성은 해석하고자 하는 수체의 지형과 모의 영역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및 생지 화학적 현상을 적절히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수리, 수온, 염분도, 수질농도 등의 급격한 변화를 재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계산시간 간격과 수치 해의 안정성, 모의 시간의 효율성, 그리고 복잡한 지형과 수리 구조물, 국부적 취수 및 방류 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새만금호 수질관리를 위해 구축한 3차원 수리ㆍ수질 모델인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 Code)의 수치격자 해상도가 수리해석, 물질 수송 및 혼합, 그리고 수질 모의결과에 미치는 민감도를 분석하고, 적정한 모델 격자를 결정하는데 있다. 수치해석을 위한 격자의 해상도는 SMS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총 활성화된 셀 개수가 406, 1556, 3640개로 나누어 3개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였으며, 수층은 3개의 Layer로 나누어주었다. 수평방향으로는 직교곡선좌표계, 수직방향으로는 Sigma Stretching좌표계를 사용하였다. 직교곡선 좌표계의 직교성 판별결과 11.42~12.80로 나타나 격자구성이 적절히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상류 유량 경계조건은 HSPF를 이용하여 모의한 만경대교와 동진대교 지점에서의 시 유량을 사용하였고, 배수갑문을 통한 해수와 담수의 유ㆍ출입량은 내측 수위자료로부터 산정한 저수용량을 이용하여 저류함수식으로 산정하였다. 염도자료는 상, 중, 하층에서 측정한 월간 자료로 수직격자 3개에 층별로 입력해주었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치 추적자 모의결과 격자의 해상도가 높을수록 상류에서 유입하는 담수는 최심하도를 따라 수류가 형성되는 현상을 보였으며, 이로 인해 갑문쪽으로 더 넓게 확산이 일어났다. 또한 하류까지의 도달시간을 비교한 결과 해상도가 높을수록 도달시간이 더 짧게 나타났다. 둘째, 새만금호 내 각 지점별 염도 실측치와 모의치를 시계열로 비교한 결과, 격자의 해상도가 높을수록 만경수역에서 실측치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오차도 감소하였다. 이는 해상도가 높을수록 실제 지형을 잘 반영하기 때문에 염분도의 확산이 더 자세히 모의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높은 수치 격자 해상도에서도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영역에서 모델은 실측 염분도를 과소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그 원인은 바닥 퇴적층 탈염과 같은 고려되지 않은 염분도 생성 항에 있을 것으로 유추된다. 따라서 염분도 모의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퇴적층-수체 간 염분 전달 기작에 대한 상세한 조사와 해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근로장애인의 소득과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소극적 여가활동 및 적극적 여가활동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지혜(Jihye Jeon),남지현(Jihyun Na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4

        한국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련된 연구는 다수 진행되었으나 근로장애인에 초점을 두지 않았으며, 장애인의 여가활동을 적극적, 소극적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근로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소득 및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소극적 여가활동과 적극적 여가활동의 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에 응답한 근로장애인 1,4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고, SPSS Macro 프로그램인 PROCESS(ver.3.4)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소득과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근로장애인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와 건강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적극적 여가활동과 소극적 여가활동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근로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소득 및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적 노력과 함께 근로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여가활동의 개발 및 확산 노력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Many studies related to the life satisfaction of disabled people in Korea were conducted. However, no studies focused on the work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leisure activities of the disabled people by dividing them into active and passive typ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come and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of work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multi-mediating effects of passive and active leisure activities to suggest way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working people with disabilities. Data of 1,417 working disabled who responded to the 2017 survey on disabled people were analyzed, and SPSS Macro program PROCESS (ver.3.4)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higher the income and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disabled. Both passive and active leisure activiti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al multi-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life satisfaction and between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examined the need to develop and spread various leisure activities for the working disabled and policy efforts for income and health promotion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disabled.

      • KCI등재

        클러스터 적응주기 모델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전지혜 ( Jihye Jeon ),이철우 ( Chulwoo Lee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7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클러스터 진화의 분석에 있어서 클러스터 적응주기 모델의 의의와 한계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클러스터 진화 분석을 위한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1980년대 이전까지 클러스터를 비롯한 산업집적지 연구는 특정 시점에서 경제 공간의 양상에 주목하는 `정태적 관점`을 기초로 이루어졌지만, 최근에는 `복잡적응계`의 `진화`에 주목하는 `동태적 연구`로 패러다임이 전환되었다. 이에 역동적·지속적으로 진화하는 클러스터에 적절한 분석도구로 적응주기 모델이 주목받게 되었으나, 클러스터 및 그 진화의 속성에 맞게 수정 및 보완되어 클러스터적응주기 모델이 등장하게 되었다. 클러스터 적응주기 모델은 자원축적, 상호의존성 그리고 회복력의 측면에서 클러스터 진화의 특성을 규명하고, 클러스터 진화 경로를 6가지로 구분하여 살펴 볼 수 있는 포괄적인 분석틀이지만, 모델의 확대 및 심화를 위해서 이론적·경험적 연구 측면에서 더욱 활발한 논의와 보완이 요구된다. 따라서 향후 클러스터 진화 분석에 있어서의 연구 과제로는 클러스터 진화 모델의 구체화 및 정교화, 회복력 개념의 강조 그리고 경험적 연구를 통한 모델의 적용가능성과 유용성의 검증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seeks to critically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the cluster adaptive cycle model for analysis of cluster evolution and to propose research issues for future analysis of cluster evo-lution based on this critical examination. Until the 1980s, research on industrial complexes including clusters was based on a `static perspective` that focuses on the aspect of economic space at a specific point in time, but the research paradigm has recently shifted to a `dynamic perspective` focusing on `evolution` of `complex adaptive systems`. As a result, the adaptive cycle model has attracted attention as an analysis tool of dynamically evolving clusters. However, the cluster adaptive cycle model has emerged by being ap-propriately modified and expande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cluster and its evolution. The cluster adaptive cycle model is a comprehensive analysis framework that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cluster evolution in terms of resource accumulation, interdependence, and resilience and classifies cluster evolu-tion paths into six different categories. Nevertheless, there is still a need for further discussion and supple-mentation in terms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to expand and deepen the model. Therefore, research issues for future analysis of cluster evolution are to specify and elaborate the cluster evolution model, to emphasize the concept of resilience, and to verify the applicability and usefulness of the model through empirical research.

      • KCI등재

        독거 시각장애인이 인식하는 공공임대아파트 공간의 의미 : 사회적 공간 이론을 중심으로

        전지혜(Jeon JiHye),남지현(Nam JiHyun)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1 No.5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pace of public rental apartments perceived by the visually impaired living alone through social spatial theory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public rental apartments. Subject analysis was applied to intentionally sampling,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recruiting 7 blind people living alone who were willing to actively express their opinions about the environment of public rental apart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oor public rental apartment environment was created around the non-disabled, limiting the daily life experience of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living alone, and was disconn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due to poor accessibility. Because of this, the blind people living alone were experiencing both external and internal isolation. However, the visually impaired living alone felt grateful for the space to be independent and the continued support for housing management, and were in solidarity with the residents to create a better liv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y were actively using welfare institutions located near public rental apartments to request the support they needed. In the future, it was found that public rental apartments should change their role as a space where they can exercise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authority with resid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change of public rental apartment policy, the application of a universal design perspective, encouraging the visually impaired to participate in housing management, and the necessity of organizing residents. 본 연구는 독거시각장애인이 인식하는 공공임대아파트의 공간을 사회적 공간이론을 통해 살펴보고 공공임대아파트의 환경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주제분석을 적용하여, 의도적 표집을 진행하였으며, 공공임대아파트 환경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출할 의사가 있는 독거 시각장애인 7명을 모집하여 개별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열악한 공공임대아파트 환경은 비장애인 중심으로 조성되어 있어 독거 시각장애인의 일상생활 경험을 제한하고 있었고, 접근성이 좋지 않아 외부환경과 단절되어있었다. 이로 인해 독거 시각장애인들은 외부, 내부의 고립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었다. 그러나 독거 시각장애인들은 독립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는 것과 지속적인 주거 관리 지원에 감사함을 느끼며, 더 좋은 주거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주민과 연대하고 있었다. 또한 공공임대아파트 주변에 위치한 복지기관들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지원들을 요구하고 있었다. 향후 공공임대아파트가 주민들과의 소속감,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역할이 변해야 함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임대아파트 정책의 변화,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의 적용, 시각장애인의 주거 관리 참여의 독려, 주민조직화의 필요성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지방자치단체 유사조례 간의 연계성과 자치성에 관한 연구

        전지혜(Jihye Jeon),이세희(Sehee Lee) 한국사회정책학회 2018 한국사회정책 Vol.25 No.2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이를 모법으로 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유사 조례간 연계성(일치성) 및 자치성(차별성)을 분석하였다. 2017년 10월 기준으로 조회된 전국 63개의 지자체 조례와 발달장애인법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모법의 조항별 내용을 기준으로 조례와의 일치성을 분석하였고 자치성은 조례의 내용적 측면에서 모법과 다른 사례가 있는지 행정적 측면에서 이행 의지를 보다 강조한 사례가 있는지 내용분석으로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모법의 조례 반영률은 조항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복지지원을 강조하는 측면에서 일치율이 높았고 발달장애인의 권리 보장은 조례상 반영률이 낮았다. 이는 발달장애인을 보호적 관점에서 보는 법적 제도적 특징을 보이는 증거로 볼 수 있다. 향후에는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의사결정에 대한 존중이나 권리보장에 관한 내용이 조례에 적극적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조례 반영률이 0%인 조항도 있었는데, 해당 지역에서 타법에 의해 보장될 수도 있기에 지역 내 관련 제도의 부재를 의미하지는 않으나 제도적 사각지대의 가능성이 있다. 향후에는 발달장애인 관련 지역 내 여타 법제도와의 상보성에 관한 검토가 이루어져 제도적 사각지대에 발달장애인이 놓이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의 자치성이 내용적 측면 및 실질적 이행을 돕는 행정적 측면에서 검토되었다. 단체장의 책무를 강조하거나 실태조사를 강조하거나 복지위원회 운영을 명시하거나 모법상에 없는 내용을 추가적으로 조례에서 담아내고 있기도 했다. 향후 조례제정을 고려하는 지자체는 이와 같은 사례를 참고하여 지방자치의 특성을 살린 지역 밀착적인 실현가능한 조례를 제정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 on the guarantee of rights of and suppor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Act for PWDD) and the similar ordinance of the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is law and focused on the correspondence(the rate of reflection) and the autonomy(differentiation). As of October 2017, 63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and Act for PWDD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reflection in the ordinance of Act for PWDD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lause. In the aspect of emphasizing welfare support, the agreement between local ordinance and rate was high. While the Act for PWDD emphasized the right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 was little information about their right in the ordinance of local governments. This is evidence that current ordinance is based on the protective point of view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policy measures will be needed to ensure that respect for decision-making by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rights guarantees are included in the bylaws. Second, there is a provision that the rate of ordinance reflection is 0%, which may be guaranteed by other laws in the area, so it does not mean the absence of related system in the region, but there is possibility of institutional blind spot. In the futur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complementarity of other legal systems in the area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 that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not be placed in institutional blind spots. Third, the autonomy(differentiation) of local ordinance was examined from the contents aspect and the administrative aspect to help practical implementation.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he ordinances vary. Emphasizing the responsibilities of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emphasizing the fact-finding survey, setting up the welfare committee, or adding local needs were included to the ordinance. Local governments considering the enactment of ordinances in the future should refer to these cases and establish enactable local ordinances that take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autonomy.

      • KCI등재

        장애학적 관점에서의 사회변화와 한국 장애인 선교의 방향

        전지혜(Jihye Jeo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4 선교와 신학 Vol.34 No.-

        장애학적 관점에서는 장애가 열등함의 상징이 아니며 개인의 개성으로 이해되고, 사회가 변화되어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같은 삶의 질을 누려야 함을 강조한다. 즉 기존의 장애인에 대한 시혜적이고 보호적인 태도는 인권적 접근의 방식으로 바뀌어야 하는 것이다. 이미 영미권 국가를 중심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권적 접근은 보편화되는 추세이며, 한국에서도 2000 년대 이후 장애인의 지역사회 내 자립생활을 추진하면서 거주, 교육, 고 용, 교통 등의 영역에서 사회 정책적 변화를 이루어왔다. 이에 비하여 한국 교회는 장애인에 대한 인권적 접근이나 비장애인과의 통합을 위한 준비를 갖추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이 교회에서 분리 배제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고 교회 내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성경적이지 않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장애인권적 차원에서 사회변화를 주도하는 장애학적 관점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우리 사회 내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정 리하고 장애학적 관점과 성경적 관점의 장애관을 비교 검토하며, 이를 토 대로 장애인 선교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통합된 형태의 예배와 교회활동 이 되어야 하는 신학적, 장애학적, 실질적 근거를 제시하여 장애인들이 교 회 내에서 비장애인과 대등한 권리를 누리고 자유함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설명하였고, 이러한 장애학적 접근이 성경의 장애관과 일치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In the perspective of Disability Studies, disability is understood not as the inferiority of human being but as the mental o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People with disabilities also have equal rights in Korean society. So, social policy and services shifted from protective approach to human right approach. This new paradigm of Disability Studies has emerged in America and other western countries and recently adopted in South Korea. However, Korean church did not adopt the new perspective or prepare for social inclus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phenomenon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in Korean church. The perspective on disability is not based on Bible but based on social rule which oppressed people with disabilities. These days, Korean society have been changed into barrier free and inclusive society to people with disabilities. It is based on the social model and human right approach of Disability Studies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d academic characters of Disabilities Studies, compared its perspective with those of Bible, and provided some reasons to be a inclusive church. In a future,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have equal rights in churches and enjoy freedom in Jesus with people without disabilities.

      • 불투수면이 한강수계 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전지혜 ( Jihye Jeon ),최지용 ( Jiyong Choi ),김학관 ( Hakkwan Kim ),이동학 ( Donghak Lee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도시의 확장은 도로, 주차장, 건물의 지붕 등과 같은 불투수면의 증가를 가져오며, 동시에 삼림지, 농경지, 습지 등과 자연계에서 우수유출의 흡수와 정화기능을 갖는 다른 개방된 공간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투수-불투수 면적의 균형 변화는 강우유출량 증가, 지하수의 저하 등 물 순환 왜곡 및 유역시스템의 특성 변화를 야기하고, 결과적으로 수생태계의 변화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들은 결국 유역의 건강성을 해치는 중요한 원인으로 부각되고 있어 최근 불투수면 변화는 도시성장의 관리 및 유역계획 등에서의 주요 과제로 등장하고 있으며 하천 환경관리에 있어 새로운 지표로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강수계 불투수면적률에 따른 수질항목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그에 따른 한강수계의 불투수율 관리목표를 제시하는데 있다. 불투수면적률에 따른 수질 및 수생태계 영향 상관분석을 위하여 한강수계 290개의 소유역 중 불투수면적률에 따른 영향 외 외부조건에 의한 수질변화가 없는 지점 47개의 수질측정망을 기준으로 불투수면적률과 수질항목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수질자료는 2009년부터 2013년까지의 연평균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불투수면적률은 2013년 조사된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불투수면을 관리하기 위한 기준으로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분석법을 사용하여 한강수계의 좋은 물 기준 불투수면적률의 적절 기준점(Cut-off point)을 설정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개의 수질항목 BOD, COD, TOC, T-P에 대하여 불투수면적률에 따른 수질항목 간의 상관계수는 모두 0.7이상으로 강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투수면적률에 대한 수질항목 ROC분석결과 AUC가 0.95이상의 값으로 불투수면적률에 따른 수질항목 간 상관관계 분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Yoden지수(J)와 우도비(Likelihood ratio)을 이용하여 불투수면적률 관리목표 적절 기준점 판별한 결과 BOD에 대해서는 9.8%~15.3%, COD는 9.8~11.1%, TOD와 T-P의 경우 9.8~13.3%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영어수업에 적용가능한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평가 도구 개발

        전지혜(Jeon, Jihye)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13 초등영어교육 Vol.19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ssessment tools for measur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ICC) of sixth-grade students in elementary English classes, and to propose an assessment model based o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assessment tools. After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developing assessment tools to measure ICC, the major areas of assessment, based on the ICC model devised by Byram(1997), were set. Then, the assessment tools were developed by integrating performance tests and objective tests.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assessment tools were first verified through a review process performed by 10 Englis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reliability of the tools were further verified through the results of a pilot test given to 71 students in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problems exposed by this processes, the assessment tools were revised.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ICC assessment tools for sixth-grade students, it was acknowledged that it could be possible to assess culture. This study also suggests a model to assess ICC from four major areas; knowledge, skills, 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